목차
1. Freud의 정신분석학적 성격이론
(1) 정신의 구성
(2) 성격의 구조
(3) 정신에너지와 본능
(2) 정신분석 이론
2. 에릭슨Erikson의 정신사회적 발달이론
(1) 영아기(출생-1세); 신뢰감 대 불신감
(2) 소아기 초기(1-3세): 자율성 대 수치심과 의심
(3) 소아기 후기(3-6세): 주도성 대 죄의식
(4) 학령기(7-12세): 근면성 대 열등감
(5)소년기(12-18세): 주체성(또는 정체감) 대 주체성 혼동
(6)청년기(18세 이후): 친교 대 고립
(7) 중년기: 생산성 대 정체
(8) 노년기: 완전감 대 절망감
3. 융Jung의 분석심리학
4. 아들러Adler의 개인심리학
5. 신프로이드학파
(1)호나이Karen
(2) 설리반
(3) 프롬
(1) 정신의 구성
(2) 성격의 구조
(3) 정신에너지와 본능
(2) 정신분석 이론
2. 에릭슨Erikson의 정신사회적 발달이론
(1) 영아기(출생-1세); 신뢰감 대 불신감
(2) 소아기 초기(1-3세): 자율성 대 수치심과 의심
(3) 소아기 후기(3-6세): 주도성 대 죄의식
(4) 학령기(7-12세): 근면성 대 열등감
(5)소년기(12-18세): 주체성(또는 정체감) 대 주체성 혼동
(6)청년기(18세 이후): 친교 대 고립
(7) 중년기: 생산성 대 정체
(8) 노년기: 완전감 대 절망감
3. 융Jung의 분석심리학
4. 아들러Adler의 개인심리학
5. 신프로이드학파
(1)호나이Karen
(2) 설리반
(3) 프롬
본문내용
)때문에 권력으로 향한 의지가 자극 되며, 열등감에 대한 보상으로 우월함을 얻으려고 하게 된다고 한다.
여기서 공격성과 그에 대한 인식이 중요 개념이 된다. 이러한 추구는 사회적 관심과 유용성에 대한 인식을 갖게 하여 각 개인이 주어진 사회환경에서 자존심을 유지하며 독특한 생활양식life style을 갖고 살게 하는 중요한 원동력이 된다. 즉, 모든 사람은 자기나름의 목표를 갖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그들대로의 독특한 방법으로 노력한다고 했다. 바로 이 방법이 그 사람을 남과 구별하게 하는 것이며 그의 성격구조를 결정하는 것이라고 했다.
자신의 열등감을 부정하고 비현실적인 목표를 유지하려는 여러가지 심적과정이 신경증증상을 이루며, 이와 같은 신경증의 원천은 소아기 때 과잉보호를 받았거나 소홀하게 길러졌거나 또는 이와 같은 2가지 방법이 일관성 없게 사용되어 마음이 혼란해진 것에 있다고 한다.
따라서 정신질환의 치료에서도 생활양식, 열등의식을 밝히고 스스로가 가지고 있는 창조적이고 자기 분석적인 자원을 활용하여, 자신에 대하여 보다 낙관적이고 긍정적인 입장이 되는 것과 사회적 협력을 이루는 것을 강조한다.
그의 심리학을 개인심리학inspanidual psychology이라 한다.
5. 신프로이드학파 Neo-Freudian schools
(1)호나이Karen Horney
호나이Horney(1985-1952)에 따르면 부모의 불가피한 미워함, 적의, 잘못 다룸, 몰이해 등으로 말미암아 무력함과 격리를 느끼며 여기서 '근본적인 불안'basic anxiety이 생긴다고 한다.
프로이드와는 달리 사람의 근본적 불안은 우리들 자신 속에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조건 때문에 생긴다고 하고 있다. 이 불안을 해결하기 위해서 어린이는 처음에는 순종, 적대, 회피, 독립 또는 완벽주의 등 여러가지 전략을 사용하지만 결국은 3가지 기본적 '성격특성' 즉, 남에게 사랑과 인정을 받기 원하고, 순종하는 태도를 보이는 '사람들을 향한moving toward people', 권력을 추구하고, 반항적이며 건방지고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는 '사람들에 반항하는 moving against people', 또는 사회적으로 위축되고 이탈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사람으로부터 떨어져 나오는moving away from people' 성격특성 중 하나가 우세하게 된다.
그러나, 한 가지 특성이 다른 것을 배척하는 경우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즉, 한가지 성격특성이 불안을 해결하기는 하나 부분적일 따름이며, 다른 성격특성과의 관계에 융통성이 없이 경직되어 있어서 악순환을 일으키는 결과, 없애거나 방지하려고 했던 문제가 새롭게 생기게 되기 때문이다.
호나이는 경직된 성격특성에 집착하게 되면 근본적 갈등이 생기게 되는데, 이는 신경증적 성격특성이 그리는, 허구적이고 이상화된 자화상idealized self image으로 피할 수 있다고 한다.
(2) 설리반Harry Stack Sullivan
설리반Sullivan(1892-1949)의 대인관계 이론에 의하면, 성격이란 인간 생활을 특징짓는 비교적 지속적인 형태의 대인관계 상황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는 사람의 성격은 남들과의 사회적 교류에서 생기는 것이며 그런 과정은 어린이의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시작된다고 한다. 바꾸어 말하면, 사람의 성격은 대인관계이며 대인관계가 우리의 마음이라는 것이다. 그는 성격의 건전한 발육과 기능에는 생물학적 욕구의 만족과, 지위와,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안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설리반은 경험양식model of experience에는 세가지 길이 있다고 하였다. 미분화되어 있으며 순간적이고 경험과 나 혹은 남의 감정이나 사고와 구별이 없는 유아기에서 특징적으로 보는 '원향'prototaxic, 시간적 관계를 갖고 앞뒤 연결은 있는 것 같으나 현실적인 해석과 그릇된 논리의 결론으로 생기는 공상적인 것과 혼동하는 '준향'parataxic, 그리고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를 하는 가장 성숙한 경험 양식인 '공향'syntaxic이 있다고 했다.
설리반은 불안과 불안이 발생하게 된 대인관계가 치료의 초점이라고 했다.
그는 치료를 정신과적 면담의 연장으로 보았으며,정신과 의사는 문제를 파고들어가는 과정에서 같이 참여하는 참여자이나, 환자가 자신의 문제를 깨우치는 것을 방해하고 있는 방어를 관찰하는 관찰자의 역할도 하므로 참여관찰자participant abserver라고 명명했다.
치료자의 능동적인 역할을 강조했으며,치료과정이란 억압되고 해리된 일들을 파고 들어가는 과정 뿐 아니라 새로운 대인관계 패턴을 치료자와의 관계를 통해서 재현하도록 도와주는 학습과정도 포함된다고 했다.
(3) 프롬Erich Fromm
사회철학자이며 심리학자인 프롬Fremm(1900-1980)은 정신질환에 있어서의 사회의 역할을 강조한 프로이드의 제자 중 한사람으로서, 인간의 근본적인 문제를 다른 인간동포들과의 관계의 상실로 보고 있다. 이런 격리감은 불안을 일으키고 또한 그것은 방어적 행동을 낳게 한다고 했다.
프롬에 따르면, 사회에 대한 순응의 강요는 개인의 자발성과 자유를 포기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했다.
신경증적 행동은 부모가 자식에게 따뜻한 사랑과 격려로써 사회에 대항하며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강화시켜 주지 못한 경우에 나타난다고 했다. 프롬은 치료목표는 자기 스스로에의 책임을 통해 적응이 원활히 되도록 하는데 있다고 했다.
그는 또한 프로이드의 신경증적 성격헝을 사회적 인격형으로 수정했다.
①수용적 성격receptive character는 프로이드의 구강적 수동성격에 해당되며,
②착취형 성격exploitative character은 구강적 공격성격에,
③축적형 성격hoarding character은 항문적 자기애 성격에,
④시장형 성격marketing charcter은 음경적 성격phallic charcter에,
⑤생산적 성격은 생식기적 성격genital character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들 성격이 남들과 관계를 맺는 형태는
①피학증masochism
②가학증sadism
③파괴적 경향
④기계적 순종automaton conformity
⑤사랑 이라고 했다.
여기서 공격성과 그에 대한 인식이 중요 개념이 된다. 이러한 추구는 사회적 관심과 유용성에 대한 인식을 갖게 하여 각 개인이 주어진 사회환경에서 자존심을 유지하며 독특한 생활양식life style을 갖고 살게 하는 중요한 원동력이 된다. 즉, 모든 사람은 자기나름의 목표를 갖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그들대로의 독특한 방법으로 노력한다고 했다. 바로 이 방법이 그 사람을 남과 구별하게 하는 것이며 그의 성격구조를 결정하는 것이라고 했다.
자신의 열등감을 부정하고 비현실적인 목표를 유지하려는 여러가지 심적과정이 신경증증상을 이루며, 이와 같은 신경증의 원천은 소아기 때 과잉보호를 받았거나 소홀하게 길러졌거나 또는 이와 같은 2가지 방법이 일관성 없게 사용되어 마음이 혼란해진 것에 있다고 한다.
따라서 정신질환의 치료에서도 생활양식, 열등의식을 밝히고 스스로가 가지고 있는 창조적이고 자기 분석적인 자원을 활용하여, 자신에 대하여 보다 낙관적이고 긍정적인 입장이 되는 것과 사회적 협력을 이루는 것을 강조한다.
그의 심리학을 개인심리학inspanidual psychology이라 한다.
5. 신프로이드학파 Neo-Freudian schools
(1)호나이Karen Horney
호나이Horney(1985-1952)에 따르면 부모의 불가피한 미워함, 적의, 잘못 다룸, 몰이해 등으로 말미암아 무력함과 격리를 느끼며 여기서 '근본적인 불안'basic anxiety이 생긴다고 한다.
프로이드와는 달리 사람의 근본적 불안은 우리들 자신 속에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조건 때문에 생긴다고 하고 있다. 이 불안을 해결하기 위해서 어린이는 처음에는 순종, 적대, 회피, 독립 또는 완벽주의 등 여러가지 전략을 사용하지만 결국은 3가지 기본적 '성격특성' 즉, 남에게 사랑과 인정을 받기 원하고, 순종하는 태도를 보이는 '사람들을 향한moving toward people', 권력을 추구하고, 반항적이며 건방지고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는 '사람들에 반항하는 moving against people', 또는 사회적으로 위축되고 이탈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사람으로부터 떨어져 나오는moving away from people' 성격특성 중 하나가 우세하게 된다.
그러나, 한 가지 특성이 다른 것을 배척하는 경우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즉, 한가지 성격특성이 불안을 해결하기는 하나 부분적일 따름이며, 다른 성격특성과의 관계에 융통성이 없이 경직되어 있어서 악순환을 일으키는 결과, 없애거나 방지하려고 했던 문제가 새롭게 생기게 되기 때문이다.
호나이는 경직된 성격특성에 집착하게 되면 근본적 갈등이 생기게 되는데, 이는 신경증적 성격특성이 그리는, 허구적이고 이상화된 자화상idealized self image으로 피할 수 있다고 한다.
(2) 설리반Harry Stack Sullivan
설리반Sullivan(1892-1949)의 대인관계 이론에 의하면, 성격이란 인간 생활을 특징짓는 비교적 지속적인 형태의 대인관계 상황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는 사람의 성격은 남들과의 사회적 교류에서 생기는 것이며 그런 과정은 어린이의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시작된다고 한다. 바꾸어 말하면, 사람의 성격은 대인관계이며 대인관계가 우리의 마음이라는 것이다. 그는 성격의 건전한 발육과 기능에는 생물학적 욕구의 만족과, 지위와,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안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설리반은 경험양식model of experience에는 세가지 길이 있다고 하였다. 미분화되어 있으며 순간적이고 경험과 나 혹은 남의 감정이나 사고와 구별이 없는 유아기에서 특징적으로 보는 '원향'prototaxic, 시간적 관계를 갖고 앞뒤 연결은 있는 것 같으나 현실적인 해석과 그릇된 논리의 결론으로 생기는 공상적인 것과 혼동하는 '준향'parataxic, 그리고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를 하는 가장 성숙한 경험 양식인 '공향'syntaxic이 있다고 했다.
설리반은 불안과 불안이 발생하게 된 대인관계가 치료의 초점이라고 했다.
그는 치료를 정신과적 면담의 연장으로 보았으며,정신과 의사는 문제를 파고들어가는 과정에서 같이 참여하는 참여자이나, 환자가 자신의 문제를 깨우치는 것을 방해하고 있는 방어를 관찰하는 관찰자의 역할도 하므로 참여관찰자participant abserver라고 명명했다.
치료자의 능동적인 역할을 강조했으며,치료과정이란 억압되고 해리된 일들을 파고 들어가는 과정 뿐 아니라 새로운 대인관계 패턴을 치료자와의 관계를 통해서 재현하도록 도와주는 학습과정도 포함된다고 했다.
(3) 프롬Erich Fromm
사회철학자이며 심리학자인 프롬Fremm(1900-1980)은 정신질환에 있어서의 사회의 역할을 강조한 프로이드의 제자 중 한사람으로서, 인간의 근본적인 문제를 다른 인간동포들과의 관계의 상실로 보고 있다. 이런 격리감은 불안을 일으키고 또한 그것은 방어적 행동을 낳게 한다고 했다.
프롬에 따르면, 사회에 대한 순응의 강요는 개인의 자발성과 자유를 포기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했다.
신경증적 행동은 부모가 자식에게 따뜻한 사랑과 격려로써 사회에 대항하며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강화시켜 주지 못한 경우에 나타난다고 했다. 프롬은 치료목표는 자기 스스로에의 책임을 통해 적응이 원활히 되도록 하는데 있다고 했다.
그는 또한 프로이드의 신경증적 성격헝을 사회적 인격형으로 수정했다.
①수용적 성격receptive character는 프로이드의 구강적 수동성격에 해당되며,
②착취형 성격exploitative character은 구강적 공격성격에,
③축적형 성격hoarding character은 항문적 자기애 성격에,
④시장형 성격marketing charcter은 음경적 성격phallic charcter에,
⑤생산적 성격은 생식기적 성격genital character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들 성격이 남들과 관계를 맺는 형태는
①피학증masochism
②가학증sadism
③파괴적 경향
④기계적 순종automaton conformity
⑤사랑 이라고 했다.
추천자료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사회복지에 미친 영향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및 비판
[인간과심리A]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 배경과 의의,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 특징과 주요개념, 프로이드 정신...
(정신건강)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방어기제에 대해 설명
(A+ 레포트)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대상관계이론(object relations theory)간의 관계 분석
(A+ 레포트)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대상관계이론(object relations theory)간의 관계 분석
정신건강1공통) 성격이론 3가지를 비교하여 설명, 성격측정 검사 3가지에 대해 설명하시오 - ...
[기독교심리] 프로이드(프로이트 / Freud)의 정신분석학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 (프로이드의 ...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성격심리학과 인본주의적 성격심리를 비교 및 대조하여 기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