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자 선택이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배우자 선택의 의의

2. 배우자 선택의 이론

3.  배우자 선택의 유형

4. 배우자 선택의 조건

5. 배우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Influences upon Mate Selection)

6. 배우자 선택시 고려할 점(Wurren)

7. 배우자 선택시 고려할 점

본문내용

지 않도록 도움받을 수 있고, 혹은 좀 더 확신을 가지고 앞으로 나아가도록 도와줄 수 있다.
7. 배우자 선택시 고려할 점
1) 부모 및 친구의 지지가 무시되어서는 안된다(우리나라는 아직 중매혼이 많다).
Lewis(1973)는 친구나 친척에 의해 인정받을수록 그 관계는 지속적이며 의미 있는 사람들의 부정적 태도는 관계를 약화시킨다고 하였다.
2) 호감과 매력
Winch(1955)는 성격과 욕구는 상호보충성이 있어야 한다고 한 반면 Murstein(1989)은 성격의 유사성이 있을 때 더 매력적이라고 주장하였다.
3) 개방성과 성격의 유사성
자기개방은 신뢰감 형성에 있어 서로의 유사성과 보완적 측면을 인식하게 하지만 과도한 개방은 결혼욕구를 감소시킨다.
4) 성과 사랑
친족중심 사회에서 성과 사랑은 배우자 선택에 적합하지 않으나 자유로운 기회가 보장되는 사회에서 성과 사랑은 배우자 선택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우리나라도 점차 자유로운 이성교제를 하고 성과 사랑을 배우자 선택의 중요한 요인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다.
5) 사랑(Is It Love?)
‘사랑(Love)’이 배우자 선택의 가장 일반적인 조건이다. 사랑은 이상적인 관계이고 우리가 어렸을 때부터 교육받은 결혼의 특성이다.
사랑은 상호간의 염려와 우정을 제외한 인간적 측면에서 강한 매력에 바탕을 둔 인간관계이다. 사랑은 사실상 본질적으로는 성적인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우리는 사랑이 없는 많은 사람에게 육체적으로 매혹 당할 수 있다. 강한 육체적 매력 그 자체는 아주 하찮은 사랑의 표현이다.
‘우리가 처음 만났을 때 첫눈에 사랑을 느꼈다. 그 성적 매력이 강해서 빠져들게 되었다. 우리는 격렬한 사랑의 감정을 가졌고 데이트 시작 후 5달만에 결혼했다. 결혼한 지 약 3개월째 우리의 공동의식은 매우 작았고 내가 그를 진실로 사랑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그 당시 그도 역시 나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다’.
매력에 대한 무관심, 심취에서 시작된 관계는 파트너의 전반적인 인격을 수용할 수 있는 관계의 사랑으로 발전될 수 있다. 사랑 이상으로 표현되어 왔던 말은 거의 없다. 그것은 시인과 소설가에 대한 일반적인 화제였다.
심리분석학자인 Erich Fromm은 ‘The Art of Loving’에서 그런 사고는 대부분 현명하지 못한 배우자 선택과 실패적인 인간관계에 기인한다고 제의했다. 주는 것보다 받는 사랑은 순수한 애정관계를 방해하는 이기적인 태도를 초래한다. Fromm은 사랑에 관하여 가르칠 것이 많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랑이라는 것이 어떤 예술같이 하나의 예술이고 실천되고 발전되어져야 한다고 했다. 사랑의 예술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사랑의 요소를 알아야 한다.
Fromm(1958)은 배려, 책임, 존경, 지식의 4가지 주요소 외에 다섯 번째로 헌신이라고 하였다.
(1) 배려(care) : 우리는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그들의 안녕과 행복의 증진을 바라고 그들이 최선을 다하기를 원하고 그들이 성장하고 좋은 태도를 갖기를 원한다.
(2) 책임(responsibility) :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에 대하여 책임있게 행동한다.
(3) 존경(respect) : 사랑의 기본요소는 존경이다. 존경의 어원은 그리스어로 to lookat(바라보다)이다. 존경은 서로의 욕구와 감정을 알 수 있도록 충분히 가까이에서 눈여겨보는 것이다.
(4) 지식(knowledge) : 우리는 사랑하는 사람의 욕구, 가치, 목표와 감정의 인식을 얻는다.이런 지식으로 사랑하는 사람을 이해하게 된다.
(5) 헌신(commitment) : 사랑은 강한 육체적, 감정적 매력 그 이상이다. 그것은 상대방에게 헌신하게 되는 의식적인 결정을 의미한다. 헌신은 상대방의 안녕, 행복과 성장의증진을 의미하고, 관계에 있어서 신뢰와 안전의 발전을 위해 중요하다.
6) 이상적인 배우자상
Jung(1933)은 이상적인 배우자상은 여성에게는 animus, 남성에게는 anima로 나타난다고 하였다(animus : 여성중의 남성적 요소, anima : 남성중의 여성적 요소).
정신분석학적 입장에서는 부모의 이미지와 유사한 사람을 배우자로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 있다.
또한 Stinnett(1989)은 배우자를 선택할 때는
첫째, 자신을 알아야 한다.
둘째, 결혼상대자를 알아야 한다.
셋째, 두 사람의 관계가 타인에게 미칠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서로의 일치성을 확인해야 한다.
다섯째, 사랑이 있어야 한다.
여섯째, 결혼의 지속성 여부를 고려해야 한다고 하였다.
앞에서 제시한 배우자 선택의 요건과 더불어 바람직한 배우자 선택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Melville, 1983).
① 결혼은 책임과 의무를 수반하는 냉혹한 현실이기 때문에 사랑한다는 것만으로는 결혼의 이유가 충분치 않다.
② 성적인 매력이 사랑의 전부는 아니며 상호 애정, 존경, 신뢰감 등이 수반되지 않는 한성적 매력이 아무리 강하다 하여도 그 관계는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③ 인생관, 결혼관 등 기본적인 가치관이 상호 조화될 수 있어야 한다.
④ 상대방의 결점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하며, 자신의 약점 또한 솔직하게내보일 수 있어야 한다.
⑤ 특정한 상황에서 느낄 수 있는 매력이 또 다른 상황에서는 전혀 다른 느낌을 주는 수도 있으므로 다양한 상황에서의 상호관계를 통해 그 관계를 재검토해야 한다.
⑥ 결혼을 하면 무엇인가 변화할 것이라는 생각은 잘못된 생각이며 따라서 상대방을 변화시키려는 시도보다는 상호적응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
⑦ 오래 사귄다고 성공적인 결혼생활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지만 충분한 교제기간을 통하여 상대방을 이해하고 파악한 후에 결혼하는 것이 적응에 보다 도움이 된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9개월정도의 교제기간이 바람직하다고 한다.
⑧ 한 사람을 배우자로 선택한다는 것은 상대방의 약점, 부족한 점도 함께 받아들임을 의미하기 때문에 상대방으로부터 완전함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 개인의 욕구를 모두충족시켜 줄 상대방은 존재하지 않음을 깨달아야 한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9.06.18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9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