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각 학자의 방서에서 고르고, 보고 들은 것 중에서 경험 효방을 채록하였는데, 선방이 정요하다. 현재 1795년 일본에서 복간한 15권본이 있다. 중국에서는 청나라 초기에 실전(失傳)된 후 『사고전서(四庫全書)』를 편수할 때, 『영락대전(永樂大典)』 중에서 흩어져 없어지게 된 것을 모아 5권본으로 개편한 것이 있는데, 조보(調補), 소도(消導), 노상(勞傷), 유탁(遺濁), 천수 등 24문으로 나뉘었고, 따로 보존된 1권이 부록되어 모두 180여 방으로 되었다. 현재 인쇄본이 나와 있다.
齒牙打動者,藜根燒灰敷之)。
서죽당경험방에서 말하길 치아가 쳐서 움직이면 질려뿌리를 태운 재를 붙인다.
使君子
사군자
補脾,殺蟲,消積.
사군자는 비를 보하며, 살충하고 적을 소멸케 한다.
甘溫。
사군자는 감미와 온기이다.
健脾胃,除虛熱,殺臟蟲。
사군자는 비위를 건장케 하며 허열을 제거하고 장충을 죽인다.
治五疳便濁,瀉痢瘡癬,爲小兒諸病要藥.
사군자는 5종감질과 소변탁함과 설사, 이질, 창선을 치료하니 소아의 여러 병의 중요한 약이 된다.
(《經疏》曰五疳便濁,瀉痢腹蟲,皆由脾胃虛弱,因而乳停食滯、濕熱瘀塞而成。脾胃健,則積滯消,濕熱散,水道利,而前證盡除矣。)
신농본초경소에서 말하길 5감증, 소변탁, 설사, 이질, 복부벌레는 모두 비위허약에 유래하며 그에 기인하여 젖이 정체와 식체로 습열이 어로 막혀 생성한다. 비위가 건장하면 적체가 소멸하며 습열이 흩어지고 수도가 잘 나가며 앞의 증상이 다 제거된다.
(時珍曰凡能殺蟲之藥,多是苦辛,獨使君子、榧子,甘而殺蟲。每月上旬,蟲頭向上,中旬頭橫,下旬向下。)
이시진이 말하길 살충하는 약은 많이 고신미이나 홀로 사군자, 비자는 감미로 살충한다. 매월 상순에는 벌레 머리가 위를 향하며, 중순에는 머리가 가로로 되며, 하순에는 아래를 향한다.
(《道藏》云初一至初五,蟲頭向上。凡有蟲病者,每月上旬,空心食數枚,蟲皆死而出也。按地黃、胡麻皆殺蟲)。
도장에서 말하길 매월 초일에서 5일까지 벌레 머리가 위를 향한다. 벌레병이 있으면 매월 상순에 빈 속에 사군자 몇 매를 먹으면 벌레가 모두 죽어서 배출된다. 살펴보니 지황, 호마는 모두 살충할 수 있다.
出蜀,五瓣有稜,內仁如榧。
사군자는 민과 촉땅에서 산출되며 5판에 모가 있고 안의 인은 비자와 같다.
亦可食,久則油,不可用。
사군자는 또한 구워 먹을 수 있으나 오래되면 기름져서 사용할 수 없다.
忌熱茶,犯之作瀉。
사군자는 뜨거운 차를 마심을 금기하니 범하면 설사가 생긴다.
齒牙打動者,藜根燒灰敷之)。
서죽당경험방에서 말하길 치아가 쳐서 움직이면 질려뿌리를 태운 재를 붙인다.
使君子
사군자
補脾,殺蟲,消積.
사군자는 비를 보하며, 살충하고 적을 소멸케 한다.
甘溫。
사군자는 감미와 온기이다.
健脾胃,除虛熱,殺臟蟲。
사군자는 비위를 건장케 하며 허열을 제거하고 장충을 죽인다.
治五疳便濁,瀉痢瘡癬,爲小兒諸病要藥.
사군자는 5종감질과 소변탁함과 설사, 이질, 창선을 치료하니 소아의 여러 병의 중요한 약이 된다.
(《經疏》曰五疳便濁,瀉痢腹蟲,皆由脾胃虛弱,因而乳停食滯、濕熱瘀塞而成。脾胃健,則積滯消,濕熱散,水道利,而前證盡除矣。)
신농본초경소에서 말하길 5감증, 소변탁, 설사, 이질, 복부벌레는 모두 비위허약에 유래하며 그에 기인하여 젖이 정체와 식체로 습열이 어로 막혀 생성한다. 비위가 건장하면 적체가 소멸하며 습열이 흩어지고 수도가 잘 나가며 앞의 증상이 다 제거된다.
(時珍曰凡能殺蟲之藥,多是苦辛,獨使君子、榧子,甘而殺蟲。每月上旬,蟲頭向上,中旬頭橫,下旬向下。)
이시진이 말하길 살충하는 약은 많이 고신미이나 홀로 사군자, 비자는 감미로 살충한다. 매월 상순에는 벌레 머리가 위를 향하며, 중순에는 머리가 가로로 되며, 하순에는 아래를 향한다.
(《道藏》云初一至初五,蟲頭向上。凡有蟲病者,每月上旬,空心食數枚,蟲皆死而出也。按地黃、胡麻皆殺蟲)。
도장에서 말하길 매월 초일에서 5일까지 벌레 머리가 위를 향한다. 벌레병이 있으면 매월 상순에 빈 속에 사군자 몇 매를 먹으면 벌레가 모두 죽어서 배출된다. 살펴보니 지황, 호마는 모두 살충할 수 있다.
出蜀,五瓣有稜,內仁如榧。
사군자는 민과 촉땅에서 산출되며 5판에 모가 있고 안의 인은 비자와 같다.
亦可食,久則油,不可用。
사군자는 또한 구워 먹을 수 있으나 오래되면 기름져서 사용할 수 없다.
忌熱茶,犯之作瀉。
사군자는 뜨거운 차를 마심을 금기하니 범하면 설사가 생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