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산두근
우방자
산자고
누로
관중
사간
속수자
우방자
산자고
누로
관중
사간
속수자
본문내용
鱉甲煎丸,治母用之,皆取其降厥陰相火也)。
별갑전환은 학모를 치료하는데 사용하니 궐음의 상화를 하강함을 취함이다.
通經閉,利大腸,肝明目。
사간은 무월경을 통하게 하며, 대장을 이롭게 하며, 간을 진압하고 눈을 밝게 한다.
扁竹花根也.
사간은 편죽화근이다.
(葉橫鋪,如烏羽及扇,故一名烏扇,烏翌女 ).
사간의 잎은 가로로 깔면 마치 까마귀 깃털과 부채와 같다. 그래서 일명 오선, 오익녀라고 한다.
水浸一日, (껍질 흰 대 근; -총17획; *)
竹葉煮半日用。
쌀뜨물에 하룻밤 담가서 껍질흰대죽잎을 반일 달여서 사용한다.
續隨子
속수자
一名千金子 瀉,行水,破血,解毒.
속수자는 일명 천금자로 사제이며, 수를 운행하며 어혈을 깨고 해독한다.
辛溫有毒,行水破血。
속수자는 신미와 온기로 독이 있고 수를 운행하며 어혈을 깬다.
治痰,冷氣脹滿,蠱毒鬼。
속수자는 징하와 담음, 냉기와 창만, 고독과 귀주를 치료한다.
利大、小腸,下惡滯物,塗疥癬瘡.
속수자는 대장, 소장을 이롭게 하며 나쁜 정체물건을 내리며, 개선창에 바른다.
(玉樞丹用之,治百病多效。《經疏》曰乃以毒治毒之功)。
옥추단에 속수자를 사용하면 모든 병을 치료하는데 많은 효과가 있다. 신농본초경소에 말하길 독으로써 독을 치료하는 공로이다.
去殼,取色白者,壓去油用.
속수자의 껍질을 벗기고 백색을 취하여 눌러 기름을 제거해 사용한다.
(時珍曰續隨子、大戟、澤漆、甘遂,莖葉相似,主療亦相似,長於利水,用之得法,皆要藥也)。
이시진이 말하길 속수자, 대극, 택칠, 감수는 줄기와 잎이 서로 유사하며 주치료도 또한 서로 유사하니 이수에 장점이 있으면 사용에 법을 얻으니 모두 중요한 약이다.
별갑전환은 학모를 치료하는데 사용하니 궐음의 상화를 하강함을 취함이다.
通經閉,利大腸,肝明目。
사간은 무월경을 통하게 하며, 대장을 이롭게 하며, 간을 진압하고 눈을 밝게 한다.
扁竹花根也.
사간은 편죽화근이다.
(葉橫鋪,如烏羽及扇,故一名烏扇,烏翌女 ).
사간의 잎은 가로로 깔면 마치 까마귀 깃털과 부채와 같다. 그래서 일명 오선, 오익녀라고 한다.
水浸一日, (껍질 흰 대 근; -총17획; *)
竹葉煮半日用。
쌀뜨물에 하룻밤 담가서 껍질흰대죽잎을 반일 달여서 사용한다.
續隨子
속수자
一名千金子 瀉,行水,破血,解毒.
속수자는 일명 천금자로 사제이며, 수를 운행하며 어혈을 깨고 해독한다.
辛溫有毒,行水破血。
속수자는 신미와 온기로 독이 있고 수를 운행하며 어혈을 깬다.
治痰,冷氣脹滿,蠱毒鬼。
속수자는 징하와 담음, 냉기와 창만, 고독과 귀주를 치료한다.
利大、小腸,下惡滯物,塗疥癬瘡.
속수자는 대장, 소장을 이롭게 하며 나쁜 정체물건을 내리며, 개선창에 바른다.
(玉樞丹用之,治百病多效。《經疏》曰乃以毒治毒之功)。
옥추단에 속수자를 사용하면 모든 병을 치료하는데 많은 효과가 있다. 신농본초경소에 말하길 독으로써 독을 치료하는 공로이다.
去殼,取色白者,壓去油用.
속수자의 껍질을 벗기고 백색을 취하여 눌러 기름을 제거해 사용한다.
(時珍曰續隨子、大戟、澤漆、甘遂,莖葉相似,主療亦相似,長於利水,用之得法,皆要藥也)。
이시진이 말하길 속수자, 대극, 택칠, 감수는 줄기와 잎이 서로 유사하며 주치료도 또한 서로 유사하니 이수에 장점이 있으면 사용에 법을 얻으니 모두 중요한 약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