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비요 유기노초 마편초 곡정초 청상자 결명자 요실 마발 목별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본초비요 유기노초 마편초 곡정초 청상자 결명자 요실 마발 목별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劉寄奴草 유기노초

馬鞭草 마편초

穀精草 곡정초

青葙子 청상자

決明子 결명자

蓼實 여뀌열매

馬勃 마발

木鱉子 목별자

본문내용

)·대청엽(大靑葉)·금은화(金銀花) 각 1.5돈[錢], 박하(薄荷)·형개(荊芥; 이삭)·백강잠(白蠶)·현삼(玄蔘)·고길경(苦桔梗) 각 1돈, 마발(馬勃) 4푼[分], 감초(甘草; 날 것) 8푼을 노근(蘆根) 2냥(兩)의 전탕(煎湯)에 달여 복용한다.
中用之).
이동원 보제소독음중에 마발을 사용하였다.
散血止嗽。
마발은 혈을 흩어지게 하며 기침을 멎게 한다.
治喉咽痛
마발은 후비와 인통을 치료한다.
(吹喉中良,或加白礬,或硝掃喉,取吐痰愈).
마발을 인후에 불으면 좋으니, 혹은 백반이나 혹은 박초를 인후를 청소하니 담을 토하면 낫는다.
鼻失音,外用敷諸瘡良。
코피와 소리가 안 나옴에 마발을 외용으로 여러 창에 붙이면 좋다.
生濕地朽木上。
마발은 습지와 썩은 나무위에서 생긴다.
狀如肺肝,紫色虛,彈之粉出,取粉用。
마발은 폐와 간과 같은 형상으로 자색으로 비고 연하며 튕기면 가루가 나오니 가루를 취하여 사용한다.
木鱉子
목별자
瀉熱,外用治瘡.
목별자는 열을 끄고 외용으로 창을 치료한다.
苦溫微甘。
목별자는 고미와 온기로 약간 감미이다.
有小毒,利大腸。
목별자는 조금 독이 있고, 대장을 이롭게 한다.
治瀉痢疳積,瘡痔,乳癰蚌毒。
목별자는 설사, 이질, 감적, 나력창치, 유옹, 씹조개독을 치료한다.
消腫追毒,生肌除.
목별자는 종기를 소멸하며 독을 물리치며 새살을 생기게 하며 기미를 제거한다.
(音旱,黑斑).
간()은 발음이 한이며, 흑반이다.
專入外科。
목별자는 오로지 외과에 들어간다.
核扁如鱉,綠色。
핵은 평평하여 자라와 같고, 녹색이다.
揀去油者,能毒狗。
선택하여 목별자의 기름을 제거하며 개를 중독시킬 수 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6.24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29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