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제목
2.작가,번역자,출판사,출판연도
3.등장인물
4.극 중 장소
5.Plot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
6.소감
2.작가,번역자,출판사,출판연도
3.등장인물
4.극 중 장소
5.Plot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
6.소감
본문내용
메디아를 비난할 때 죽어 가는 아이들의 소리가 들린다. 이아손은 코린토스 백성의 분노로부터 아이들을 구하려고 서둘러 들어가지만 그의 두 아들은 이미 제 어미의 손에 살해된 뒤였다. 메디아는 용들이 끄는 마차를 타고 기적 같이 집 위로 나타난다(이것은 일종의 연극적 해결장치로 그리스 드라마에서 절박한 장면을 해결하는 사건, 등장인물 또는 신의 힘 등 절박한 장면의 해결책을 뜻한다). 이아손은 그토록 야만스런 여인을 사랑했었다는 사실을 후회하며 소중한 두 아들의 죽음을 애통해하는 가운데, 메디아에게 남부끄럽지 않게 매장할 수 있도록 아이들의 시체만이라도 내어 줄 것을 간곡히 청한다. 그러나 메디아는 그의 청을 거절하고 그의 죽음을 예언하면서 완전히 파괴된 남편을 버리고 떠난다. 그녀는 마차를 타고 죽은 아이들을 데리고 아이게우스가 약속한 아테네로 날아간다.
6. 소감
< 에우리피데스는 도덕 가치가 무너진 곳에서 살아남기 위해 벌이는 무서운 갈등을 우리에게 보여주었다. 자기 이익 이외에는 정의도 없고 편의를 위한 것 이외는 권리도 없는 세계이다. 자신에게 행해진 일이 부당하다고 주장하는 메디아의 행동은 그와 똑같은 일을 그녀가 타인에게 범할 때는 적법한 보복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와 같은 도덕적 공백에서는 어떤 해결도 없다. 에우리피데스는 우리에게 인간이 합리적이지 못하고 모순이 훨씬 더 강한 부조리한 존재임을 보여 주는 것 같다. 이 극에선 인간이 이성을 지속시킬 수 있는 시간이 매우 짧고 이성보다는 감정이 앞서게 되어 있고 또 사랑보다는 증오심을 훨씬 더 강하게 오래 남는 것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
6. 소감
< 에우리피데스는 도덕 가치가 무너진 곳에서 살아남기 위해 벌이는 무서운 갈등을 우리에게 보여주었다. 자기 이익 이외에는 정의도 없고 편의를 위한 것 이외는 권리도 없는 세계이다. 자신에게 행해진 일이 부당하다고 주장하는 메디아의 행동은 그와 똑같은 일을 그녀가 타인에게 범할 때는 적법한 보복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와 같은 도덕적 공백에서는 어떤 해결도 없다. 에우리피데스는 우리에게 인간이 합리적이지 못하고 모순이 훨씬 더 강한 부조리한 존재임을 보여 주는 것 같다. 이 극에선 인간이 이성을 지속시킬 수 있는 시간이 매우 짧고 이성보다는 감정이 앞서게 되어 있고 또 사랑보다는 증오심을 훨씬 더 강하게 오래 남는 것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