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ⅰ. 최인훈의 생애
ⅱ. 서구화에 대한 인식
ⅲ. 분단에 대한 인식
Ⅲ. 결론
Ⅱ. 본론
ⅰ. 최인훈의 생애
ⅱ. 서구화에 대한 인식
ⅲ. 분단에 대한 인식
Ⅲ. 결론
본문내용
태어나 자아가 형성되기 시작한 청소년기까지 북한 사회를 직접 겪은 인물이고, 그 이후의 삶은 남한에서 보낸, 소위 말하는 탈북 1세대 작가이다. 그래서 더 중립적인 시각에서 극명하게 대비되는 두 이데올로기를 바라볼 수 있었다. 모든 일들이 마찬가지겠지만, 한 쪽만 겪고 한 쪽만 바라봐서는 당연히 한 쪽으로 치우친 시각을 가질 수밖에 없다. 만일 작가가 남한에서만 태어나고 자랐다면 이런 균형 있는 시각을 가질 수 없었을 것이다. 양 극단의 체제를 다 겪은 작가이기 때문에 양 쪽을 균형 있게 - 두 쪽 다 비판적일지라도 - 바라보고 서술할 수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더라도 최인훈은 1960년대라는 특수한 상황, 격동의 한 가운데에 서서 한국 사회의 문제를 바라보고 그려낸 작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그랬기 때문에 우리 문학사에 커다란 획을 그은 작가 중에 하나로 최인훈이라는 작가를 주저하지 않고 꼽을 수 있을 것이다.
◎ 참 고 문 헌
김영찬, 특집 1960년대 소설의 근대성과 주체 - 불안한 주체와 근대, 상허학보 제 12집, 2004.
최인훈, 회색인, 문학과 지성사, 1977년.
조보라미, 최인훈 소설의 탈식민주의적 고찰, 관악어문연구, 2000.
최인훈, 하늘의 다리/두만강, 문학과 지성사, 1978년.
김병익 김현 편, 최인훈, 은애, 1979.
이재선, 현대 한국 소설사, 민음사, 1992.
최인훈, 광장, 이문수의 국어 사랑, http://munsu.new21.org/sosul/광장-최인훈.htm
이종호, 최인훈의 광장 연구. 한국 현대 소설 학회, 2007. p,118.
◎ 작 가 연 보
1936년. 함경북도 회령에서 출생, 4남 2녀 중 장남.
1943년. 초등학교 입학.
1945년. 해방.
1947년. 함경남도 원산으로 이사.
1950년. 6. 25 동란 발발, 12월에 부산으로 월남.
1951년. 목포로 이사, 목포 고등학교 입학.
1952년. 서울대 법대 입학.
1956년. 대학교 중퇴.
1957년. 군 입대. 통신 장교로 복무.
1959년. ‘GREY 구락부 전말기’ 발표. ‘라울전’발표.
1960년. ‘9월의 다알리아’, ‘우상의 집’, ‘가면고’, ‘광장’ 발표.
1962년. ‘구운몽’, ‘열하일기’, ‘7월의 아이들’ 발표.
1963년. 중위로 제대.
1964년. ‘전사연구’ 발표.
1966년. ‘서유기’ 연재 시작, ‘웃음소리’로 동인 문학상 수상.
1967년. ‘총독의 소리’ 발표.
1970년. ‘하늘의 다리’ 발표, 희곡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발표.
1972년.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발표.
1973년. ‘태풍’ 연재 시작.
1977년. ‘봄이 오면 산에 들에’ 발표.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로 한국연극영화예술인상 희곡상 수상, 서울예술전문대학 교수 취임.
1982년. ‘한스와 그레텔’ 출간.
1989년. ‘달과 소년병’ 출간. ‘길에 관한 명상’ 출간.
1994년. ‘화두’ 발표.
2001년. 서울예술전문대학 문예 창작과 교수 정년 퇴임.
2003년. ‘바다의 편지’ 발표.
이러한 측면에서 보더라도 최인훈은 1960년대라는 특수한 상황, 격동의 한 가운데에 서서 한국 사회의 문제를 바라보고 그려낸 작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그랬기 때문에 우리 문학사에 커다란 획을 그은 작가 중에 하나로 최인훈이라는 작가를 주저하지 않고 꼽을 수 있을 것이다.
◎ 참 고 문 헌
김영찬, 특집 1960년대 소설의 근대성과 주체 - 불안한 주체와 근대, 상허학보 제 12집, 2004.
최인훈, 회색인, 문학과 지성사, 1977년.
조보라미, 최인훈 소설의 탈식민주의적 고찰, 관악어문연구, 2000.
최인훈, 하늘의 다리/두만강, 문학과 지성사, 1978년.
김병익 김현 편, 최인훈, 은애, 1979.
이재선, 현대 한국 소설사, 민음사, 1992.
최인훈, 광장, 이문수의 국어 사랑, http://munsu.new21.org/sosul/광장-최인훈.htm
이종호, 최인훈의 광장 연구. 한국 현대 소설 학회, 2007. p,118.
◎ 작 가 연 보
1936년. 함경북도 회령에서 출생, 4남 2녀 중 장남.
1943년. 초등학교 입학.
1945년. 해방.
1947년. 함경남도 원산으로 이사.
1950년. 6. 25 동란 발발, 12월에 부산으로 월남.
1951년. 목포로 이사, 목포 고등학교 입학.
1952년. 서울대 법대 입학.
1956년. 대학교 중퇴.
1957년. 군 입대. 통신 장교로 복무.
1959년. ‘GREY 구락부 전말기’ 발표. ‘라울전’발표.
1960년. ‘9월의 다알리아’, ‘우상의 집’, ‘가면고’, ‘광장’ 발표.
1962년. ‘구운몽’, ‘열하일기’, ‘7월의 아이들’ 발표.
1963년. 중위로 제대.
1964년. ‘전사연구’ 발표.
1966년. ‘서유기’ 연재 시작, ‘웃음소리’로 동인 문학상 수상.
1967년. ‘총독의 소리’ 발표.
1970년. ‘하늘의 다리’ 발표, 희곡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발표.
1972년.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발표.
1973년. ‘태풍’ 연재 시작.
1977년. ‘봄이 오면 산에 들에’ 발표.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로 한국연극영화예술인상 희곡상 수상, 서울예술전문대학 교수 취임.
1982년. ‘한스와 그레텔’ 출간.
1989년. ‘달과 소년병’ 출간. ‘길에 관한 명상’ 출간.
1994년. ‘화두’ 발표.
2001년. 서울예술전문대학 문예 창작과 교수 정년 퇴임.
2003년. ‘바다의 편지’ 발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