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척수손상의 역학
신경학적 평가
척수 손상의 합병증
초기 치료
척수손상 환자 재활치료
간호 문제
#1. 다량의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기도개방유지 불능
#2.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3. 자율신경계 부전과 관련된 고체온
신경학적 평가
척수 손상의 합병증
초기 치료
척수손상 환자 재활치료
간호 문제
#1. 다량의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기도개방유지 불능
#2.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3. 자율신경계 부전과 관련된 고체온
본문내용
고려해야 하고 실제 작업장에서 수행능력을 평가해야 한다. 성공적인 직장복귀는 동기유발(motivation), 직장을 가지려는 희망, 사고초기부터의 훈련, 사고 전 교육수준, 직업적 계획 및 목표, 일에 대한 흥미와 가치, 사고이후 얼마나 조기에 직업적, 교육적 기회가 주어지는가에 달려 있고, 나아가 젊고 하지마비, 불완전 손상일 대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낸다.
간호과정
간호 문제
#1. 다량의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기도개방유지 불능
#2.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3. 자율신경계 부전과 관련된 고체온
#1. 다량의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기도개방유지 불능 ->호흡기 분비물이나 폐쇄요인을 제거하지 못하여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분비물 양이 많음.
-분비물이 많아 기관절개술을 시행함.
-자주 흡인을 해주나 흡인을 해도 잘 배출되지 않으며 덩어리가 나오기도 함.
-산소흡입을 하고 있으나 간간히 숨을 잘 못 쉬고 청색증이 온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기도 내 분비물이 감소하여 기도개방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① 규칙적인 호흡양상을 보인다.
② 기도 내 분비물의 양과 농도가 감소한다.
③ 비효율적인 기침의 횟수가 감소한다.
<진단적 계획>
① 대상자의 V/S을 2시간마다 측정한다. (특히 호흡수와 호흡의 규칙성, 그렁거림을 사정한다.)
② 기도 내 분비물의 양, 색깔, 점도를 사정한다.
③ 비효율적인 기침의 횟수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④ 병실에 가습기를 튼다.
⑤ 처방에 따라 진해거담제를 투여한다.
⑥ 필요시 흡인간호를 한다.
⑦ 필요 시 기도 내 삽관을 한다.
⑧ chest percussion을 4시간 마다 시행한다.
①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문제점을 찾아 해결할 수 있다. 기침 및 기도 분비물로 인해 호흡양상이 불규칙 해 질 수 있다.
② 기도 내 분비물이 많고 진하면 비효율적인 호흡양상을 보일 수 있다.
③ 기도 내 분비물에 의해 기도가 폐쇄되어 비효율적인 기침이 유발될 수 있다.
④ 가습된 공기는 기도 내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이 용이하도록 돕는다.
⑤ 진해거담제는 기도 내 분비물의 배출과 호흡을 용이하게 한다.
⑥ 기도 내 분비물을 흡인함으로써 기도개방을 유지시킨다.
⑦ 기도 내 분비물이 많아서 효율적인 호흡이 힘든 경우, 기도 내 삽관을 하여 관을 통하여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호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⑧ chest percussion을 함으로써 기도 내에 붙어있는 분비물이 쉽게 떨어져 나오도록 할 수 있다.
#2.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표피나 진피가 변화된 상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목 운동성을 금지시킴.
-앙와위로 누워있음
-머리 뒤쪽에 욕창이 2*2cm 크기로 abrasion됨
-꼬리뼈부분도 발적 되있음.
-대변이 계속 조금씩 묻어나와 피부와 마찰 됨.
<장기목표>
대상자는 피부손상이 사라진다.
<단기목표>
① 피부가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될 것이다.
② 피부손상과 관련된 발적의 증상이 없을 것이다.
<진단적 계획>
① back care시 마다 욕창 발생 부위와 발생위험성이 있는 부위을 사정한다. (특히 뼈 돌출부위인 견갑골, 둔부, 관절부위를 중심적으로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② 2시간 마다 뼈 돌출부위를 중심으로 back care(massage)를 한다.
③ back care시 마다
등을 alcohol로 cooling 시켜주고 건조하게 유지시켜준다.
(발열이 있음.)
④ back care시 마다 sheet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펴준다.
⑤ 1시간 마다 대 소변을 보았는지 기저귀를 사정하고, 대 소변을 보았다면 기저귀를 갈아준다.
⑥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준다.
⑦ 욕창방지 metress와 손 베개를 사용한다.
① 피부 시진을 통해 욕창 발생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제를 설계하고, 수행결과를 평가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② back massage는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욕창을 예방해준다.
③ alcohol은 휘발성 액체로 피부로부터 열을 빼앗아 가고, 피부를 건조하게 한다.
④ sheet에 주름이 있으면 장기부동 대상자의 피부에 자극을 주어 욕창을 유발할 수 있다.
⑤ 배설물을 오래 방치해 두면 세균이 성장할 수 있어 피부손상의 위험이 있다.
⑥ 한 부위에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면 피부손상 및 욕창이 발생할 수 있다.
⑦ 압력을 감소시켜 주는 기구는 피부손상 및 욕창을 예방해 줄 수 있다.
#3. 자율신경계 부전과 관련된 고체온 ->체온이 정상범위 이상으로 상승된 상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명은 경추손상이다.
-금일 아침 오한이 있었다.
-체온 측정 시 38.0도 였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정상 체온범위를 유지한다.
<단기목표>
① 체온이 37.0℃이하로 유지된다.
② 대상자 얼굴의 홍조가 사라진다.
③ 대상자는 탈수증상을 나타내지 않아, 피부와 점막이 촉촉하게 유지된다.
<진단적 계획>
① 대상자의 V/S을 2시간 마다 측정한다.
② 이마의 열감, 발한, 구강건조, 오한 등의 발열의 증상이 있을 때 추가적으로 체온을 측정한다.
③ 매일 대상자의 피부색의 변화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④ 발한에 의한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수액을 IV로 공급한다.
⑤ 처방에 따라 Tylenol등 해열제를 투약한다.
①②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신속하게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 할 수 있다.
③ 체온이 상승하면 피부에 발적이 나타날 수 있다.
④ 발한에 의한 과도한 수분 손실은 탈수를 유발할 수 있다.
⑤ 해열제는 체온을 낮출 수 있다.
Ⅴ.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Ⅱ(2007), 서문자 외, 수문사
- 해리슨 내과학(Harrison's Principles of Interal Medicine, 2006), 대한내과학회, MIP
- 기본간호학 Ⅰ,Ⅱ(2007), 손정태 외, 현문사
- 최신 기본간호학(2001), 김명자 외, 현문사
- 신경학(2007), 대한신경과학회, 군자출판사
- 신경학(2005),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간호과정
간호 문제
#1. 다량의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기도개방유지 불능
#2.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3. 자율신경계 부전과 관련된 고체온
#1. 다량의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기도개방유지 불능 ->호흡기 분비물이나 폐쇄요인을 제거하지 못하여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분비물 양이 많음.
-분비물이 많아 기관절개술을 시행함.
-자주 흡인을 해주나 흡인을 해도 잘 배출되지 않으며 덩어리가 나오기도 함.
-산소흡입을 하고 있으나 간간히 숨을 잘 못 쉬고 청색증이 온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기도 내 분비물이 감소하여 기도개방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① 규칙적인 호흡양상을 보인다.
② 기도 내 분비물의 양과 농도가 감소한다.
③ 비효율적인 기침의 횟수가 감소한다.
<진단적 계획>
① 대상자의 V/S을 2시간마다 측정한다. (특히 호흡수와 호흡의 규칙성, 그렁거림을 사정한다.)
② 기도 내 분비물의 양, 색깔, 점도를 사정한다.
③ 비효율적인 기침의 횟수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④ 병실에 가습기를 튼다.
⑤ 처방에 따라 진해거담제를 투여한다.
⑥ 필요시 흡인간호를 한다.
⑦ 필요 시 기도 내 삽관을 한다.
⑧ chest percussion을 4시간 마다 시행한다.
①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문제점을 찾아 해결할 수 있다. 기침 및 기도 분비물로 인해 호흡양상이 불규칙 해 질 수 있다.
② 기도 내 분비물이 많고 진하면 비효율적인 호흡양상을 보일 수 있다.
③ 기도 내 분비물에 의해 기도가 폐쇄되어 비효율적인 기침이 유발될 수 있다.
④ 가습된 공기는 기도 내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이 용이하도록 돕는다.
⑤ 진해거담제는 기도 내 분비물의 배출과 호흡을 용이하게 한다.
⑥ 기도 내 분비물을 흡인함으로써 기도개방을 유지시킨다.
⑦ 기도 내 분비물이 많아서 효율적인 호흡이 힘든 경우, 기도 내 삽관을 하여 관을 통하여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호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⑧ chest percussion을 함으로써 기도 내에 붙어있는 분비물이 쉽게 떨어져 나오도록 할 수 있다.
#2.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표피나 진피가 변화된 상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목 운동성을 금지시킴.
-앙와위로 누워있음
-머리 뒤쪽에 욕창이 2*2cm 크기로 abrasion됨
-꼬리뼈부분도 발적 되있음.
-대변이 계속 조금씩 묻어나와 피부와 마찰 됨.
<장기목표>
대상자는 피부손상이 사라진다.
<단기목표>
① 피부가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될 것이다.
② 피부손상과 관련된 발적의 증상이 없을 것이다.
<진단적 계획>
① back care시 마다 욕창 발생 부위와 발생위험성이 있는 부위을 사정한다. (특히 뼈 돌출부위인 견갑골, 둔부, 관절부위를 중심적으로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② 2시간 마다 뼈 돌출부위를 중심으로 back care(massage)를 한다.
③ back care시 마다
등을 alcohol로 cooling 시켜주고 건조하게 유지시켜준다.
(발열이 있음.)
④ back care시 마다 sheet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펴준다.
⑤ 1시간 마다 대 소변을 보았는지 기저귀를 사정하고, 대 소변을 보았다면 기저귀를 갈아준다.
⑥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준다.
⑦ 욕창방지 metress와 손 베개를 사용한다.
① 피부 시진을 통해 욕창 발생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제를 설계하고, 수행결과를 평가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② back massage는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욕창을 예방해준다.
③ alcohol은 휘발성 액체로 피부로부터 열을 빼앗아 가고, 피부를 건조하게 한다.
④ sheet에 주름이 있으면 장기부동 대상자의 피부에 자극을 주어 욕창을 유발할 수 있다.
⑤ 배설물을 오래 방치해 두면 세균이 성장할 수 있어 피부손상의 위험이 있다.
⑥ 한 부위에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면 피부손상 및 욕창이 발생할 수 있다.
⑦ 압력을 감소시켜 주는 기구는 피부손상 및 욕창을 예방해 줄 수 있다.
#3. 자율신경계 부전과 관련된 고체온 ->체온이 정상범위 이상으로 상승된 상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명은 경추손상이다.
-금일 아침 오한이 있었다.
-체온 측정 시 38.0도 였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정상 체온범위를 유지한다.
<단기목표>
① 체온이 37.0℃이하로 유지된다.
② 대상자 얼굴의 홍조가 사라진다.
③ 대상자는 탈수증상을 나타내지 않아, 피부와 점막이 촉촉하게 유지된다.
<진단적 계획>
① 대상자의 V/S을 2시간 마다 측정한다.
② 이마의 열감, 발한, 구강건조, 오한 등의 발열의 증상이 있을 때 추가적으로 체온을 측정한다.
③ 매일 대상자의 피부색의 변화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④ 발한에 의한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수액을 IV로 공급한다.
⑤ 처방에 따라 Tylenol등 해열제를 투약한다.
①②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신속하게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 할 수 있다.
③ 체온이 상승하면 피부에 발적이 나타날 수 있다.
④ 발한에 의한 과도한 수분 손실은 탈수를 유발할 수 있다.
⑤ 해열제는 체온을 낮출 수 있다.
Ⅴ.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Ⅱ(2007), 서문자 외, 수문사
- 해리슨 내과학(Harrison's Principles of Interal Medicine, 2006), 대한내과학회, MIP
- 기본간호학 Ⅰ,Ⅱ(2007), 손정태 외, 현문사
- 최신 기본간호학(2001), 김명자 외, 현문사
- 신경학(2007), 대한신경과학회, 군자출판사
- 신경학(2005),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키워드
추천자료
내과 병동 실습 레포트- 당뇨병, 심근경색을 앓고 있는 환자 간호과정 적용
[노인] 세균성폐렴(Bacterial pneumonia)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여성] 정상분만[Normal delivery(NFSD)]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아동] 급성 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APN)]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성인] 악성피부암(Malignant melanoma)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NICU) 미숙아 케이스 스터디 A+ (premature baby, CASE, 간호과정, 사례연구)
고위험 신생아(패혈증) 및 고위험 신생아와 가족의 간호과정
pleural effusion 흉막삼출증 케이스, 흉수 케이스, 흉막삼출증 간호과정, pleural effusion ...
담석증 케이스(Cholelithiasis,담석증 케이스, 담석증 간호과정, 담석증 CASE, 담석증 사례연...
대퇴경부골절 케이스(Femur neck FX, 대퇴경부골절 케이스, 대퇴경부골절 간호과정, 대퇴경부...
Parkinsons disease CASE STUDY (파킨슨,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사례연구)
늑골골절, 혈흉 문헌고찰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간호과정
추간판탈출증(디스크) A+받은 케이스스터디! (문헌고찰, 간호과정 내용빵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