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손상 case study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척추손상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척수손상의 역학
신경학적 평가
척수 손상의 합병증
초기 치료
척수손상 환자 재활치료


간호 문제
#1. 다량의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기도개방유지 불능
#2.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3. 자율신경계 부전과 관련된 고체온

본문내용

고려해야 하고 실제 작업장에서 수행능력을 평가해야 한다. 성공적인 직장복귀는 동기유발(motivation), 직장을 가지려는 희망, 사고초기부터의 훈련, 사고 전 교육수준, 직업적 계획 및 목표, 일에 대한 흥미와 가치, 사고이후 얼마나 조기에 직업적, 교육적 기회가 주어지는가에 달려 있고, 나아가 젊고 하지마비, 불완전 손상일 대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낸다.
간호과정
간호 문제
#1. 다량의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기도개방유지 불능
#2.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3. 자율신경계 부전과 관련된 고체온
#1. 다량의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기도개방유지 불능 ->호흡기 분비물이나 폐쇄요인을 제거하지 못하여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분비물 양이 많음.
-분비물이 많아 기관절개술을 시행함.
-자주 흡인을 해주나 흡인을 해도 잘 배출되지 않으며 덩어리가 나오기도 함.
-산소흡입을 하고 있으나 간간히 숨을 잘 못 쉬고 청색증이 온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기도 내 분비물이 감소하여 기도개방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① 규칙적인 호흡양상을 보인다.
② 기도 내 분비물의 양과 농도가 감소한다.
③ 비효율적인 기침의 횟수가 감소한다.
<진단적 계획>
① 대상자의 V/S을 2시간마다 측정한다. (특히 호흡수와 호흡의 규칙성, 그렁거림을 사정한다.)
② 기도 내 분비물의 양, 색깔, 점도를 사정한다.
③ 비효율적인 기침의 횟수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④ 병실에 가습기를 튼다.
⑤ 처방에 따라 진해거담제를 투여한다.
⑥ 필요시 흡인간호를 한다.
⑦ 필요 시 기도 내 삽관을 한다.
⑧ chest percussion을 4시간 마다 시행한다.
①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문제점을 찾아 해결할 수 있다. 기침 및 기도 분비물로 인해 호흡양상이 불규칙 해 질 수 있다.
② 기도 내 분비물이 많고 진하면 비효율적인 호흡양상을 보일 수 있다.
③ 기도 내 분비물에 의해 기도가 폐쇄되어 비효율적인 기침이 유발될 수 있다.
④ 가습된 공기는 기도 내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이 용이하도록 돕는다.
⑤ 진해거담제는 기도 내 분비물의 배출과 호흡을 용이하게 한다.
⑥ 기도 내 분비물을 흡인함으로써 기도개방을 유지시킨다.
⑦ 기도 내 분비물이 많아서 효율적인 호흡이 힘든 경우, 기도 내 삽관을 하여 관을 통하여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호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⑧ chest percussion을 함으로써 기도 내에 붙어있는 분비물이 쉽게 떨어져 나오도록 할 수 있다.
#2.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표피나 진피가 변화된 상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목 운동성을 금지시킴.
-앙와위로 누워있음
-머리 뒤쪽에 욕창이 2*2cm 크기로 abrasion됨
-꼬리뼈부분도 발적 되있음.
-대변이 계속 조금씩 묻어나와 피부와 마찰 됨.
<장기목표>
대상자는 피부손상이 사라진다.
<단기목표>
① 피부가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될 것이다.
② 피부손상과 관련된 발적의 증상이 없을 것이다.
<진단적 계획>
① back care시 마다 욕창 발생 부위와 발생위험성이 있는 부위을 사정한다. (특히 뼈 돌출부위인 견갑골, 둔부, 관절부위를 중심적으로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② 2시간 마다 뼈 돌출부위를 중심으로 back care(massage)를 한다.
③ back care시 마다
등을 alcohol로 cooling 시켜주고 건조하게 유지시켜준다.
(발열이 있음.)
④ back care시 마다 sheet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펴준다.
⑤ 1시간 마다 대 소변을 보았는지 기저귀를 사정하고, 대 소변을 보았다면 기저귀를 갈아준다.
⑥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준다.
⑦ 욕창방지 metress와 손 베개를 사용한다.
① 피부 시진을 통해 욕창 발생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제를 설계하고, 수행결과를 평가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② back massage는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욕창을 예방해준다.
③ alcohol은 휘발성 액체로 피부로부터 열을 빼앗아 가고, 피부를 건조하게 한다.
④ sheet에 주름이 있으면 장기부동 대상자의 피부에 자극을 주어 욕창을 유발할 수 있다.
⑤ 배설물을 오래 방치해 두면 세균이 성장할 수 있어 피부손상의 위험이 있다.
⑥ 한 부위에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면 피부손상 및 욕창이 발생할 수 있다.
⑦ 압력을 감소시켜 주는 기구는 피부손상 및 욕창을 예방해 줄 수 있다.
#3. 자율신경계 부전과 관련된 고체온 ->체온이 정상범위 이상으로 상승된 상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명은 경추손상이다.
-금일 아침 오한이 있었다.
-체온 측정 시 38.0도 였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정상 체온범위를 유지한다.
<단기목표>
① 체온이 37.0℃이하로 유지된다.
② 대상자 얼굴의 홍조가 사라진다.
③ 대상자는 탈수증상을 나타내지 않아, 피부와 점막이 촉촉하게 유지된다.
<진단적 계획>
① 대상자의 V/S을 2시간 마다 측정한다.
② 이마의 열감, 발한, 구강건조, 오한 등의 발열의 증상이 있을 때 추가적으로 체온을 측정한다.
③ 매일 대상자의 피부색의 변화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④ 발한에 의한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수액을 IV로 공급한다.
⑤ 처방에 따라 Tylenol등 해열제를 투약한다.
①②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신속하게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 할 수 있다.
③ 체온이 상승하면 피부에 발적이 나타날 수 있다.
④ 발한에 의한 과도한 수분 손실은 탈수를 유발할 수 있다.
⑤ 해열제는 체온을 낮출 수 있다.
Ⅴ.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Ⅱ(2007), 서문자 외, 수문사
- 해리슨 내과학(Harrison's Principles of Interal Medicine, 2006), 대한내과학회, MIP
- 기본간호학 Ⅰ,Ⅱ(2007), 손정태 외, 현문사
- 최신 기본간호학(2001), 김명자 외, 현문사
- 신경학(2007), 대한신경과학회, 군자출판사
- 신경학(2005),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 가격3,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09.06.29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34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