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그램명
2. 프로그램의 목적
3. 프로그램의 목표
4. 프로그램의 필요성
5. 프로그램의 대상
6. 프로그램의 기대효과
7. 프로그램의 세부사항
8. 프로그램 담당인력 구성
9. 프로그램 예산
10, 프로그램 평가계획
2. 프로그램의 목적
3. 프로그램의 목표
4. 프로그램의 필요성
5. 프로그램의 대상
6. 프로그램의 기대효과
7. 프로그램의 세부사항
8. 프로그램 담당인력 구성
9. 프로그램 예산
10, 프로그램 평가계획
본문내용
트)
- 프로그램 종결 후 소감문 작성
- 운영일지 및 지도계획안 검토
3) 평가내용
- 강사섭외에 관한 평가
- 참가지속여부 현황 파악(출석부)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홍보 내용, 홍보방법, 홍보지역에 관한 평가
고령자의 취업희망직종
6월 10일
~
6월 30일
25명
1) 평가일시 : 6월 30일
- 종합평가
2) 평가방법
- 참여자들과 함께 평가회를 갖는다,( 취업 희망직종 체크리스트)
- 참여율 파악
- 프로그램 종결 후 소감문 작성
- 운영일지 및 지도계획안 검토
3) 평가내용
- 강사섭외에 관한 평가
- 참가지속여부 현황 파악(출석부)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홍보 내용, 홍보방법, 홍보지역에 관한 평가
취업정보 / 취업교육 제공
7월
~
8월
25명
1) 평가일시 : 사업종료후 매회 자체평가 실시
2) 평가방법
- 참여자들과 함께 평가회를 갖는다,
- 참여율 파악
- 운영일지 및 지도계획안 검토
- 프로그램 진행과정상의 평가 실시
3) 평가내용
- 장소섭외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홍보 내용, 홍보방법
홍보지역에 관한 평가
적성직종 개발 및 훈련
9월
~
11월
25명
1) 평가일시 : 사업종료 후 자체평가 실시
2) 평가방법
- 참여율 평가(중도 탈락자 현황파악)
- 운영일지 및 지도계획안 검토
-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상의 진행상의 어려움, 문제점 토론 및 평가 실시
3) 평가내용
-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구성원들간의 교육과정 수행능력 평가
사회교육 실시
9월
~
11월
25명
1) 평가일시 : 사업종료 후 자체평가 실시
2) 평가방법
- 참여율 평가
- 강사 섭외 관련 평가
- 교육에 대한 노인의 호응도 평가
- 교육 내용의 적절성 평가
- 프로그램 종결 후 소감문 작성
3) 평가내용
- 교육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취업 알선 및 취업 연결
12월
~
2월
15명
1) 평가일시 : 사업종료 후 자체 평가/ 종합평가 실시
2) 평가방법
- 참여율 평가
- 취업률 평가
- 지역사회 구인회연계 관련 평가
3) 평가내용
- 지역사회 구인회 연계, 취업률관련 평가
취업이후 사후관리
2월 이후
2) 성과평가
목표1
목표2
목표3
평가내용
자신의 욕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는 희망직종을 제공
재사회화로 인한 사회적응력을 강화시키고 재교육화 하면서 새로운 직종에 대한 정보를 제공
프로그램 대상자 중 자신이 원하는 직종의 취업여부
성공의 기준
고령자 자신의 특성과 희망직종에 가장 유사하게 취업이 되었으면 성공으로 본다.
취업 정보나 교육이 얼마나 효과가 있었으며, 현장에서 도움이 많이 되면 성공으로 본다.
프로그램 대상자 중 취업률이 높을수록 성공률이 높은 것으로 본다.
평가방법
취업 후 자신의 욕구와 희망직종과의 상관관계
취업 후 효과성을 측정한다.
대상자의 취업현황
측정도구
체크리스트
체크리스트
참여자의 취업률
- 프로그램 종결 후 소감문 작성
- 운영일지 및 지도계획안 검토
3) 평가내용
- 강사섭외에 관한 평가
- 참가지속여부 현황 파악(출석부)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홍보 내용, 홍보방법, 홍보지역에 관한 평가
고령자의 취업희망직종
6월 10일
~
6월 30일
25명
1) 평가일시 : 6월 30일
- 종합평가
2) 평가방법
- 참여자들과 함께 평가회를 갖는다,( 취업 희망직종 체크리스트)
- 참여율 파악
- 프로그램 종결 후 소감문 작성
- 운영일지 및 지도계획안 검토
3) 평가내용
- 강사섭외에 관한 평가
- 참가지속여부 현황 파악(출석부)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홍보 내용, 홍보방법, 홍보지역에 관한 평가
취업정보 / 취업교육 제공
7월
~
8월
25명
1) 평가일시 : 사업종료후 매회 자체평가 실시
2) 평가방법
- 참여자들과 함께 평가회를 갖는다,
- 참여율 파악
- 운영일지 및 지도계획안 검토
- 프로그램 진행과정상의 평가 실시
3) 평가내용
- 장소섭외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홍보 내용, 홍보방법
홍보지역에 관한 평가
적성직종 개발 및 훈련
9월
~
11월
25명
1) 평가일시 : 사업종료 후 자체평가 실시
2) 평가방법
- 참여율 평가(중도 탈락자 현황파악)
- 운영일지 및 지도계획안 검토
-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상의 진행상의 어려움, 문제점 토론 및 평가 실시
3) 평가내용
-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구성원들간의 교육과정 수행능력 평가
사회교육 실시
9월
~
11월
25명
1) 평가일시 : 사업종료 후 자체평가 실시
2) 평가방법
- 참여율 평가
- 강사 섭외 관련 평가
- 교육에 대한 노인의 호응도 평가
- 교육 내용의 적절성 평가
- 프로그램 종결 후 소감문 작성
3) 평가내용
- 교육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취업 알선 및 취업 연결
12월
~
2월
15명
1) 평가일시 : 사업종료 후 자체 평가/ 종합평가 실시
2) 평가방법
- 참여율 평가
- 취업률 평가
- 지역사회 구인회연계 관련 평가
3) 평가내용
- 지역사회 구인회 연계, 취업률관련 평가
취업이후 사후관리
2월 이후
2) 성과평가
목표1
목표2
목표3
평가내용
자신의 욕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는 희망직종을 제공
재사회화로 인한 사회적응력을 강화시키고 재교육화 하면서 새로운 직종에 대한 정보를 제공
프로그램 대상자 중 자신이 원하는 직종의 취업여부
성공의 기준
고령자 자신의 특성과 희망직종에 가장 유사하게 취업이 되었으면 성공으로 본다.
취업 정보나 교육이 얼마나 효과가 있었으며, 현장에서 도움이 많이 되면 성공으로 본다.
프로그램 대상자 중 취업률이 높을수록 성공률이 높은 것으로 본다.
평가방법
취업 후 자신의 욕구와 희망직종과의 상관관계
취업 후 효과성을 측정한다.
대상자의 취업현황
측정도구
체크리스트
체크리스트
참여자의 취업률
추천자료
2009년 2학기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기말시험 핵심체크
2009년 1학기 청소년프로그램개발및평가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0년 1학기 청소년프로그램개발및평가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0년 2학기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청소년프로그램개발및평가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중간시험과제물 C형(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2016년 2학기 청소년프로그램개발및평가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청소년프로그램개발및평가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유아교육과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