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정의
II. 목적
III. 적응증
IV. 간호
V. External Ventricular Drainage Catheters (35~90cm) & Bag set
VI. 합병증
II. 목적
III. 적응증
IV. 간호
V. External Ventricular Drainage Catheters (35~90cm) & Bag set
VI. 합병증
본문내용
s (35~90cm) & Bag set
1. Single Lumen
Tip으로부터 최단거리에 Side Hole이 있어 Drainage에 효과적.
텅스텐 X-Ray Line이 있어 Catheter의 위치 확인가능.
2. Double Lumen
Drainage Lumen, Injection Lumen이 따로 있어 주입과 배출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주입양 최소화 가능.
Drainage Flow의 중단 없이 Irrigation이 가능하며, 두 개강 속으로 혈전 등이 밀려 들어 가지 않아 Infection의 위험이 적고 일시적 뇌압 상승이 없음.
3. Drainage Circuit & Bag Sets
VI. 합병증
1. 측로기능부전
-뇌실도관, 원위도관, 저장소 부위에 발생. 관이 꼬이거나 배액계 연결이 분리될 경우.
종창, 체액정체, 뇌실도관의 폐쇄 (혈괴, 고단백 뇌척수액의 폐쇄)
2. 감염으로 인한 뇌압상승
3. 경막하 혈종
4. 뇌내출혈
5. 지속적인 두통, 오심, 빈맥, 발한
---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현문사. p886~p887
http://www.isgoho.co.kr/surgery3.html
http://www.nurscape.net
1. Single Lumen
Tip으로부터 최단거리에 Side Hole이 있어 Drainage에 효과적.
텅스텐 X-Ray Line이 있어 Catheter의 위치 확인가능.
2. Double Lumen
Drainage Lumen, Injection Lumen이 따로 있어 주입과 배출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주입양 최소화 가능.
Drainage Flow의 중단 없이 Irrigation이 가능하며, 두 개강 속으로 혈전 등이 밀려 들어 가지 않아 Infection의 위험이 적고 일시적 뇌압 상승이 없음.
3. Drainage Circuit & Bag Sets
VI. 합병증
1. 측로기능부전
-뇌실도관, 원위도관, 저장소 부위에 발생. 관이 꼬이거나 배액계 연결이 분리될 경우.
종창, 체액정체, 뇌실도관의 폐쇄 (혈괴, 고단백 뇌척수액의 폐쇄)
2. 감염으로 인한 뇌압상승
3. 경막하 혈종
4. 뇌내출혈
5. 지속적인 두통, 오심, 빈맥, 발한
---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현문사. p886~p887
http://www.isgoho.co.kr/surgery3.html
http://www.nurscape.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