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Ⅰ장 서론
제 1 절. 연구의 목적
제 2 절. 연구방법

제II장. 루소의 일반적인 사상(思想)
제1절. 자연주의(自然主義) 사상
제2절. 인간본질론(人間本質論)

제III장. 루소의 교육사상(敎育思想)
제1절. 교육의 목적
제2절. 교육의 조직 및 내용

제Ⅳ장. 루소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의
제1절. 루소 교육사상의 영향
제2절. 루소의 교육사상의 비판
제3절. 루소의 교육사상의 시사점

제V장. 결론

본문내용

육을 강력히 주장하는 교육학자가 있고, 부모들이 많은 지지를 하여 조기 언어교육이 많이 행해지고 있는 오늘날 국제화 시대의 현실과는 상반되는 점으로 논쟁의 여지(餘地)가 있다. 특히 수월성(秀越性) 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현실과도 상반(相反)되는 것이다. 오히려 청소년의 비행이 큰 사회문제로 등장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적극적인 교육의 기능이 강력히 요청된다 하겠다.
특히 루소는 여자교육은 그의 근본사상에서 열외로 취급하여 남자를 즐겁게 해 주는 것이 여자의 청직(淸職)으로 여기고, 순종. 겸양의 미덕을 기르고 가사를 알뜰히 정리하는 것을 여자교육의 이상으로 여겼다. 그는 여성을 아내. 어머니. 주부로서 가정에 머물러 있는 것이 자연의 법칙에 따르는 것이라 하여 여성의 자율적인 자아실현을 저해(沮害)하는 불행한 결과를 가져왔으며 여성의 사회적 역할을 경시한 것은 사실상 개방적인 현대사회 문화의 현실과는 유리되어 있는 것으로써 전근대적인 사고방식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루소가 여성을 가정에 유폐시키고 사회참여의 영역에서는 지나치게 폐쇄적이고 남성에게만 특권을 준 것은 비판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유아교육에 있어서 어머니 역할을 중요시한 점은 현대교육에서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제 3 절. 루소의 교육사상의 시사점
루소가 서거(逝去)한지 210여 년이 지났다. 그간 그의 교육사상이 여러 가지 형태로 근대교육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쳤음은 주지(主旨)의 사실로 아무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오늘날까지 그가 주장한 교육의 본질적 사항이 충분히 실현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평등교육, 가정교육의 기능 약화, 암기위주의 교육, 사회의 비교육적 환경, 인간성 상실, 경쟁교육에 의한 부진아의 비행(非行), 올바른 직업 교육의 미비로 인한 노동기피, 각종 사회부조리 등 총체적 난국을 당한 오늘날의 우리 현실로 볼 때 교육의 근본문제를 놓고 다시 한 번 깊이 있게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된다. 지금 우리는 다시 루소에게 돌아가 그에게 배우고 시사를 얻어야 할 점이 적지 않을 것이다.
첫째, 루소의 교육목적은 우리 교육의 올바른 방향제시에 시사점을 주고 있다.
둘째, 루소의 교육사상은 한국교육현장의 비인간화 현상을 극복하는 데 시사점을 준다.
셋째, 루소의 진보적 교육사상은 한국의 뿌리 깊은 전통적 교육의 부정적 문제 해결에 시사를 준다.
넷째, 루소의 아동중심의 교육사상은 오늘날 지나친 부모의 교육열에 의한 비뚤어진 아동관 시정에 큰 시사점을 준다.
다섯째, 루소의 교육사상이 현대 교육에 끼친 영향 중 가장 큰 것은 역시 교육방법 면이라 할 수 있다.
여섯째, 루소는 언어적, 문학적 교수보다 자기교수를, 타의 이성보다 자신의 이성을 강조하였다.
제V장. 결론
우리는 교육개혁(敎育改革)이 필요하다는 말을 자주 듣게 되고 우리 모두가 인정하고 있는 바다. 이것은 우리 나라의 교육에 많은 문제가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대 교육의 창시자라 할 수 있는 루소의 교육사상을 재조명하고 여기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보는 것은 매우 뜻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루소가 에밀을 통해 제기한 그의 교육사상의 핵심은 자연주의(自然主義) 교육사상 이다. ‘자연’ 개념을 위주로 한 교육사상은 16세기 이후 여러 사상가와 교육자들에게서도 볼 수 있으나 그 절정을 이룬 것은 루소였으며 그 후에도 많은 교육사상가들에 의해 계승되었으나 자연주의를 대표하는 것은 코메니우스, 루소, 페스탈로찌를 손꼽을 수 있다.
교육상의 자연의 개념은 무엇보다도 ‘합자연(合自然)의 원리(原理)’로 쓰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자연에 일치하는 교육, 자연 복귀의 교육, 인간의 자연성을 밑받침하는 교육, 자연적인 방법에 의하여 자연에 도달하는 교육의 원리를 말하며 그래서 루소 교육의 이념은 자연인(自然人)의 형성(形成)과 회복(回復)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인간은 선하게 태어나고 본질적으로 선하며 어떤 면에서는 완전하게 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교육목적을 자연인형성에 두었다. 그가 말하는 자연인은 선천적으로 선한 존재이며 기성사회의 악에 물들지 않은 천진무구한 존재이고, 또한 자기자신만으로도 가장 행복할 수 있고 양심의 소리에 의해 신에게로 통할 수 있는 자족(自足), 자전(自全)의 절대적 완결체(完決體)로서의 자연인인 것이다. 따라서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은 교육은 자연에 따라야 한다는 대명제(大命題) 하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것은 아동의 자연성을 잘 보존하게 하면서 자연법칙에 따라 교육해야 하며 타락한 사회로부터 격리시켜 가르쳐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그의 주장은 교육의 포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자유로워야 할 아동들의 시간을 뺏고 억압하는 어른들의 태도에 대한 비판으로 아동들을 구속하고 간섭하는 강제성(强制性)에 대하여 어른들은 소극적이 되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오늘날 우리의 교육현실은 부모들의 과잉 교육열에 의해 교육 본래의 목적보다는 출세를 위한 수단이나 입시 준비가 오히려 목적시 되어 우리의 많은 학생들이 억압당하고 있으며, 교육현장과 조건 또한 인간의 타고난 자연성인 선을 기르기 위해서는 너무나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아이들을 아이답게 기르고 인간성 회복을 위해서는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을 겸허(謙虛)히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본다.
< 참 고 문 헌>
강 기현 J. J 루소의 교육원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9.
권 응호 역. 에밀, 흥신문화사, 서울, 1994.
김 경식 외. 교육사철학강의, 교육과학사, 서울, 1991.
김 종철. J. J 루소의 평등이론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3.
손 정수 역. 에밀, 배제서관, 서울, 1990.
신 순숙. 루소의 자연주의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93.
오 점랑. 루소의 교육사상, 부산대학교 논문집 제 23집, 1993.
장 걸우.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논문집 제10호, 1975.
조 승규. 교육사, 교육과학사, 서울, 1981.
최 정웅. 자연주의 교육의 이념과 방법,
효성여자대학, 논문집 제29호, 1992.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9.07.02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39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