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스 고두노프의 문제(The Problem of Boris Godunov)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리스 고두노프의 문제(The Problem of Boris Godunov)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보리스 고두노프 극작배경과 극에서 제기되는 문제점

2. 주목해야 할 “comedy\" 버전

3. Canonical text가 나오기까지의 변천 과정

4. Canonical text 정립 이후의 연구

1938년 Anthony Briggs의 연구

1985년 Simon Karlinsky의 연구

1986년 Caryl Emerson의 연구

1989년 Stephanie Sandler의 연구

1994년 Monika Greenleaf의 연구

1996년 Alyssa W. Dinegama의 연구

2004년 Douglas Clayton의 연구

5. 결론

본문내용

lpolitik)이라고 한다. 여기에 따르면 푸쉬킨은 민중과 다른 인물을 제정 러시아 정치와 황제의 신비성을 없애기 위해 활용한 똑똑하고 냉소적인 인물이다. 주류의견에 따라 그녀도 푸쉬킨이 역사적 기록에 큰 관심은 없었다고 보았다. 대신 그녀는 드미뜨리를 르네상스와 낭만주의 시대의 문예특징과 연관해 “사기의 수사학”을 탐구하기 위한 장치로 보았다.
1996년 Alyssa W. Dinegama의 연구
1996년 Alyssa W. Dinegama는 두가지 버전을 인정하고 시작과 결말의 잘 계획된 일치(Symmetry)에 주목했다. 그러나 이 논의에서 Comedy의 결말과의 비교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녀는 푸쉬킨이 셰익스피어의 영향을 받았지만 흉내만 낸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표면적으로만 봐도 보리스 고두노프는 리처드 4세와 비슷하고, 마지막에 영국 국민이 찬탈자 리차드 왕에게 보이는 침묵은 보리스 고두노프의 민중이 드미뜨리에게 보이는 침묵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역시 드미뜨리를 악당으로 파악했으며, 민중의 침묵은 보통사람의 윤리적 힘이 아닌 셰익스피어의 패러디로, 이를 통해 푸쉬킨은 셰익스피어적 모델이 러시아의 문맥에는 맞지 않음을 선언한다. 그리하여 Dinega는 실제로 보리스 고두노프를 리차드 3세에 대조를 이룬다고 보았다.
(중략: 1997년 연구, 1999년 연구)
2004년 Douglas Clayton의 연구
Clayton는 대담하게 보리스 고두노프가 푸쉬킨이 Decembrist와 떨어져 자신만의 젊은이 특유의 자유를 표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에 의하면 이 극을 통해 푸쉬킨이 보수주의자로서의 위기를 느낀 것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을 독재 정치와 러시아 정교회에 대한 방어로 이해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Clayton는 스탈린 시대부터 계속 무시되던 보리스 고두노프 속의 종교적 요소를 깨달았다. 1930년대에는 독재정치, 정교회, 국가주의가 러시아의 슬로건적인 요소였음을 발견했다. 그의 이론은 확실히 증명된 바 없지만 이 시도는 푸쉬킨을 성실한 정교회 신자이자 독재정치의 지지자였던 개인적 모습을 통해 파악하려 한 점에서 러시아 문학연구의 새로운 물결을 명확히 보여준다. 그러나 우리는 여기서, 푸쉬킨에 대한 평가가 시대의 필요에 따라 달려졌다는 것도 생각해야 한다. 시대의 바퀴가 돌 때마다 푸쉬킨은 거기에 묶였다. 러시아의 국민 시인은 또다시 “애국자”가 될 필요에 따라 수정되고 있다.
5. 결론
아직도 많은 학자들에게 푸시킨의 진정한 의도는 연구과제로 남아있다. Sergei Fomichev와 Liddiia Lotman은 스탈린 시대의 변종 text는 보리스가 193년에 의도한 것도 25년에 의도한 것도 아니라고 지적하며 1996년에 주석을 단 편집본을 낸 바 있다. 이 버전은 31년판에 충실했다. Fomichev는 1917년 혁명 이후 처음으로 1993년에 원본 Comedy도 한정 출판했다. 오랜 연구 끝에 그들은 25년판이 canonical text만큼 중요하다는 걸 알게 되어 이 책의 연구에도 참여했다.
앞의 간략한 리뷰만 보아도 지난 세대에 수업이 많은 보리스 고두노프에 대한 분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충분히 밝혀지지 않은 중요한 주제들이 남아있다. 어쩌면 가장 중요하고도 주목받지 못했던 부분이 푸쉬킨의 원작 Comedy의 내용일 것이다. 마지막 줄에 대한 논의 빼고는 거의 연구된 바가 없다. 이상하게도 보리스 고두노프 연구에서 빠진 부분은 동란의 시대에 대한 사건과 인물에 대한 역사적 관점을 보이고 그의 극에서 모양을 갖추는 것을 도와준 부분이다. 이 중요한 부분에 주목하면 푸쉬킨의 문제점 많은 역사극과 그가 왜 이것을 높이 평가했는지에 대해 빛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독자들은 물론 푸쉬킨이 의도한대로 원하는 것을 택해 읽어도 된다. 그러나 Comedy에 주목할 필요는 있다. 불행히도 Comedyvks은 정말 손에 넣거나 재구성하거나 연구하기가 힘들다. 그것은 간단히 무시될 수 있는 것이 아니고, canonical text와 함께 주목받을 자격을 타고 났다. 누군가가 한 번은 잘 알려진 보리스 고두노프를 제쳐두고 Comedy판의 손을 들어주는 것이 합리적이라 할 수 있다. 1831년 판과 달리, Comedy는 한 차원에서만 봐도 셰익스피어적 형식에, 마지막 장면에서의 카타르시스적 해결로 완성된다. (사실 조금은 리차드 3세와 비슷하다.) 반면에 1831년 판은 여러 복합적인 압력의 산물이며, 예술적인 압력은 거의 없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7.03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40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