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저자양력
2. 책의 첫 느낌
3. 줄거리
4. 고찰
2. 책의 첫 느낌
3. 줄거리
4. 고찰
본문내용
1. 박노자씨 양력
1973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생
1993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교 동방학부 한국사학과 졸업
1996년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러시아 국립 인문대학교 강사 역임
현재 노르웨이 오슬로 대학 한국학 교수
우연히 ‘춘향전’을 보고 한국의 매력에 빠져들어 대학 전공도 한국사학을 택한 그는 한국의 역사를 본격적으로 공부하면서 더더욱 한국에 관심과 애정을 갖게 되었고, 결국 2001년에는 ‘박노자’라는 이름으로 귀화까지 하게 된다. ‘노자(露子)’라는 이름은 러시아를 뜻하는 한자어 노(露)에 아들 자(子)를 붙인 것이다. 귀화하기 전부터 다양한 매체에 글을 기고해왔던 박노자는 2001년 이후 두 권의 사회 비평집과 두 권의 역사 관련 책을 내고 본격적인 저술활동을 하고 있다. 박노자는 이제 그의 책들이 나오는 즉시 베스트셀러가 될 정도로 인기 있는 사학자이면서 논객이 됐다.
박노자의 글을 읽게 되면 두 번 놀라게 된다. 하나는 그의 뛰어난 어학 실력이다. 대학에 진학하고 나서야 배웠다는 것이 도저히 믿어지지 않을 만큼 박노자의 한국어 실력은 감탄을 자아내게 만든다. 하지만 더욱 놀라운 것은 한국사회를 보는 예리한 눈이다. 박노자가 보기에 한국은 사대주의가 가미된 인종주의적 편견, 오랜 국가주의적 군대문화에 ‘찌들은’ 사회다. <당신들의 대한민국>이나 <좌우는 있어도 위아래는 없다>에는 이런 주장에 대한 증거들이 다양하게 제시된다. 때로는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기도 하지만, 그는 어느 토종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잘 알고, 어떤 한국의 지식인보다 날카로운 눈을 가지고 있다. “명색이 비판적 지식인을 자처하는 내가 40년을 넘게 살면서 두루뭉실 인식하고 있던 문제들을 ‘불과’ 10년을 산 박노자가 너무나 분명하게 끄집어 낸다.”는 유시민 의원의 말은 박노자를 가장 정확하게 설명해 준다.
2. 책의 첫 느낌
한국사람이 세계를 접하고 한국과 한국인데 대해 자신의 생각을 쓴 글은 많이 있었다.
박노자씨는 우연한 계기에 춘향전을 듣고 한국에 대한 관심을 북한유학으로 풀어 낸 뒤, 냉전시대가 미침으로 해서 한국에 찾아 생활을 하고 귀화까지 하게 된 러시아인이다. 이러한 사람이 한국과 한국사회를 바라보며 느낀점을 쓴 칼럼이어서 그럴까? 나를 비롯한 한국인들에게는 신선하게 다가왔고, 다른 나라에서 보는 우리의 모습은 어떨까에 대한 호기심을 만족해 줄 수 있는 글이라고 생각이 든다.
1973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생
1993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교 동방학부 한국사학과 졸업
1996년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러시아 국립 인문대학교 강사 역임
현재 노르웨이 오슬로 대학 한국학 교수
우연히 ‘춘향전’을 보고 한국의 매력에 빠져들어 대학 전공도 한국사학을 택한 그는 한국의 역사를 본격적으로 공부하면서 더더욱 한국에 관심과 애정을 갖게 되었고, 결국 2001년에는 ‘박노자’라는 이름으로 귀화까지 하게 된다. ‘노자(露子)’라는 이름은 러시아를 뜻하는 한자어 노(露)에 아들 자(子)를 붙인 것이다. 귀화하기 전부터 다양한 매체에 글을 기고해왔던 박노자는 2001년 이후 두 권의 사회 비평집과 두 권의 역사 관련 책을 내고 본격적인 저술활동을 하고 있다. 박노자는 이제 그의 책들이 나오는 즉시 베스트셀러가 될 정도로 인기 있는 사학자이면서 논객이 됐다.
박노자의 글을 읽게 되면 두 번 놀라게 된다. 하나는 그의 뛰어난 어학 실력이다. 대학에 진학하고 나서야 배웠다는 것이 도저히 믿어지지 않을 만큼 박노자의 한국어 실력은 감탄을 자아내게 만든다. 하지만 더욱 놀라운 것은 한국사회를 보는 예리한 눈이다. 박노자가 보기에 한국은 사대주의가 가미된 인종주의적 편견, 오랜 국가주의적 군대문화에 ‘찌들은’ 사회다. <당신들의 대한민국>이나 <좌우는 있어도 위아래는 없다>에는 이런 주장에 대한 증거들이 다양하게 제시된다. 때로는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기도 하지만, 그는 어느 토종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잘 알고, 어떤 한국의 지식인보다 날카로운 눈을 가지고 있다. “명색이 비판적 지식인을 자처하는 내가 40년을 넘게 살면서 두루뭉실 인식하고 있던 문제들을 ‘불과’ 10년을 산 박노자가 너무나 분명하게 끄집어 낸다.”는 유시민 의원의 말은 박노자를 가장 정확하게 설명해 준다.
2. 책의 첫 느낌
한국사람이 세계를 접하고 한국과 한국인데 대해 자신의 생각을 쓴 글은 많이 있었다.
박노자씨는 우연한 계기에 춘향전을 듣고 한국에 대한 관심을 북한유학으로 풀어 낸 뒤, 냉전시대가 미침으로 해서 한국에 찾아 생활을 하고 귀화까지 하게 된 러시아인이다. 이러한 사람이 한국과 한국사회를 바라보며 느낀점을 쓴 칼럼이어서 그럴까? 나를 비롯한 한국인들에게는 신선하게 다가왔고, 다른 나라에서 보는 우리의 모습은 어떨까에 대한 호기심을 만족해 줄 수 있는 글이라고 생각이 든다.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기술론3공통) 잔여적 사회복지실천과 제도적 사회복지실천의 차이를 논의. 한 가...
사회복지실천기술론3) 잔여적 사회복지실천과 제도적 사회복지실천의 차이를 논의하시오. 한 ...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기능 및 이념 지역사회복지 구성요건 지역사회복지의 접근방향 지역사...
의료사회복지의 개념 의료사회복지사업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과 대상 의료복지서비스 관련제...
사회복지의 개념정의(사회복지의 언어적 의미 기능적 사회복지의 개념 사회복지개념의 변화 ...
지역사회복지의 분야(사회복지관 재가복지봉사센터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회복지협의회)
사회복지정책의 개념과 특성 사회복지정책과 사회복지실천의 관계 사회복지정책과정 사회복지...
학교사회복지의 개념(학교사회복지의 정의 목적 대상) 학교사회복지 발달과정(미국과 한국의 ...
지역사회복지 실천주체(지역사회복지실천기관 지역사회복지사의 역할 지역사회복지의 전망)
사회복지의 가치와 구성요소(사회복지 및 사회복지전문직의 가치 사회복지의 주체와 대상 및 ...
의료사회복지의 정의와 기능 의료사회복지 발달과정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의료사회복지의 ...
지역사회복지기관(사회복지관 재가복지봉사센터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지역사회복지협의회 사회...
사회복지실천론)사회복지기관에서 시행되는 프로그램 및 사회복지사의 역할사회복지지관 중 ...
사회복지를 처음 접하는 학생으로서 사회복지란 무엇인가를 고찰해 보시기 바랍니다 사회복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