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태극기의 유래
Ⅲ. 태극기의 의미
1. 흰 바탕
2. 태극원형
3. 태극음양
4. 4괘 (건곤감이<乾坤坎離>)
Ⅳ. 태극기의 변천사
1. 1단계태극기
2. 2단계태극기
3. 3단계태극기
4. 4단계태극기
5. 5단계태극기
Ⅴ. 태극기의 제작법
1. 기면
2. 깃봉과 깃대
3. 기의 대소
Ⅵ. 태극기의 게양법
참고문헌
Ⅱ. 태극기의 유래
Ⅲ. 태극기의 의미
1. 흰 바탕
2. 태극원형
3. 태극음양
4. 4괘 (건곤감이<乾坤坎離>)
Ⅳ. 태극기의 변천사
1. 1단계태극기
2. 2단계태극기
3. 3단계태극기
4. 4단계태극기
5. 5단계태극기
Ⅴ. 태극기의 제작법
1. 기면
2. 깃봉과 깃대
3. 기의 대소
Ⅵ. 태극기의 게양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방형을 그리고 넓이를 4등분하여 효(爻)는 각각 반푼으로 하며 검은빛으로 함. 위치는 건을 향좌상(向座上), 곤을 우하(右下), 감을 우상, 이를 좌하로 한다.
2. 깃봉과 깃대
첫째, 깃봉은 대체(大體)로 구형(그 직경이 태극직경의 5분지 1)에 가까운 무궁화 봉우리를 징하되 하반부에 꽃받침(五片)을 뚜렷이 표시하며 전부 금색으로 한다.
둘째, 깃대는 대(竹)로 하되 색칠을 하지 않고 대제대로 순색으로 한다.
3. 기의 대소
첫째, 옥상에 높이 걸거나 식장용의 대기(大旗)는 넓이 180센티미터, 140센티미터의 두 가지로한다.
둘째, 일반가정용의 중기는 넓이 1미터, 70센티미터의 두 가지로 한다.
셋째, 손에 들소기는 넓이 30센티미터, 20센티미터의 두 가지로 함. 형편에 따라서는 임의의 치수로 만들어도 좋다.
Ⅵ. 태극기의 게양법
국기는 그 나라 국민의 힘을 한데 뭉치게 하는 지표가 된다. 국기를 게양하는 데는 일정한 규칙이 있으므로 바르게 알고 실천해야 한다.
○ 경축일에는 깃봉과 깃폭 사이를 떼지 않고 게양한다.
○ 조기는 깃봉에서 깃폭의 너비(세로)만큼 내려서 게양한다.
○ 일반 가정
· 집 밖에서 보아 대문의 왼쪽에 게양한다.
· 아파트에서는 베란다에 게양한다.
○ 건물의 옥상에는 그 중앙에 게양한다.
○ 회의장, 강당, 사무실
· 전면의 벽면 중앙에 게양한다.
· 국기를 깃대에 달아서 세워 놓을 때는 전면 단상의 중앙 또는 무대 앞에서 보아 단상의 왼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 차량에는 차 앞에서 보아 왼쪽에 세워 게양한다.
○ 두 개를 교차시켜 게양 할 때는 왼쪽으로 가는 깃면을 깃대가 바깥쪽이 되게 교차시킨다.
○ 게양대가 2개 있을 경우
2개의 게양대 중에서 국기만 게양하려면 앞에서 보아 왼쪽의 게양대에 국기를 게양해야 한다.
○ 게양대가 3개 있을 경우
3개의 게양대 중에서 국기만 게양하려면 앞에서 보아 가운데의 게양대에 국기를 게양해야 한다.
○ 국기를 다른 기와 함께 게양할 때
· 홀수인 경우에는 국기를 중앙에 게양한다.
○ 짝수인 경우에는 국기를 앞에서 보아 왼쪽의 첫 번째에 게양한다.
○ 국기를 다를 국기와 함께 게양할 때
· 홀수인 경우에는 국기를 중앙에 세우고 외국기는 국호의 알파벳 순성 따라 게양한다.
· 짝수인 경우에는 국기를 앞에서 보아 왼쪽의 첫 번째에 게양하고 외국 기는 알파벳 순서에 따라 차례로 게양한다.
○ 국기를 국제 연합(UN)기 및 외국기와 함께 게양할 때는 국제연합기를 가장 윗자리에, 다음에 국기, 그 다음에 외국기를 알파벳 순서에 따라 위와 같이 게양한다.
○ 국기와 외국기를 교차시켜 게양할 때는 앞에서 보아 국기의 왼쪽이 되게 하고 국기의 깃대가 외국기의 깃대 앞에 오도록 게양한다.
○ 국기와 다른 기 또는 외국기를 함께 게양할때 그 깃대의 높이는 같게 한다.
○ 경축 행사 등의 깃면을 늘려서 달고자 할 때는 괘의 『건』과『이』가 위로 오도록 게양한다.
참고문헌
1. 김상섭(2005), 태극기의 정체, 동아시아
2. 백운곡(2006), 태극기 그 원리와 비밀, 생각하는 백성
2. 깃봉과 깃대
첫째, 깃봉은 대체(大體)로 구형(그 직경이 태극직경의 5분지 1)에 가까운 무궁화 봉우리를 징하되 하반부에 꽃받침(五片)을 뚜렷이 표시하며 전부 금색으로 한다.
둘째, 깃대는 대(竹)로 하되 색칠을 하지 않고 대제대로 순색으로 한다.
3. 기의 대소
첫째, 옥상에 높이 걸거나 식장용의 대기(大旗)는 넓이 180센티미터, 140센티미터의 두 가지로한다.
둘째, 일반가정용의 중기는 넓이 1미터, 70센티미터의 두 가지로 한다.
셋째, 손에 들소기는 넓이 30센티미터, 20센티미터의 두 가지로 함. 형편에 따라서는 임의의 치수로 만들어도 좋다.
Ⅵ. 태극기의 게양법
국기는 그 나라 국민의 힘을 한데 뭉치게 하는 지표가 된다. 국기를 게양하는 데는 일정한 규칙이 있으므로 바르게 알고 실천해야 한다.
○ 경축일에는 깃봉과 깃폭 사이를 떼지 않고 게양한다.
○ 조기는 깃봉에서 깃폭의 너비(세로)만큼 내려서 게양한다.
○ 일반 가정
· 집 밖에서 보아 대문의 왼쪽에 게양한다.
· 아파트에서는 베란다에 게양한다.
○ 건물의 옥상에는 그 중앙에 게양한다.
○ 회의장, 강당, 사무실
· 전면의 벽면 중앙에 게양한다.
· 국기를 깃대에 달아서 세워 놓을 때는 전면 단상의 중앙 또는 무대 앞에서 보아 단상의 왼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 차량에는 차 앞에서 보아 왼쪽에 세워 게양한다.
○ 두 개를 교차시켜 게양 할 때는 왼쪽으로 가는 깃면을 깃대가 바깥쪽이 되게 교차시킨다.
○ 게양대가 2개 있을 경우
2개의 게양대 중에서 국기만 게양하려면 앞에서 보아 왼쪽의 게양대에 국기를 게양해야 한다.
○ 게양대가 3개 있을 경우
3개의 게양대 중에서 국기만 게양하려면 앞에서 보아 가운데의 게양대에 국기를 게양해야 한다.
○ 국기를 다른 기와 함께 게양할 때
· 홀수인 경우에는 국기를 중앙에 게양한다.
○ 짝수인 경우에는 국기를 앞에서 보아 왼쪽의 첫 번째에 게양한다.
○ 국기를 다를 국기와 함께 게양할 때
· 홀수인 경우에는 국기를 중앙에 세우고 외국기는 국호의 알파벳 순성 따라 게양한다.
· 짝수인 경우에는 국기를 앞에서 보아 왼쪽의 첫 번째에 게양하고 외국 기는 알파벳 순서에 따라 차례로 게양한다.
○ 국기를 국제 연합(UN)기 및 외국기와 함께 게양할 때는 국제연합기를 가장 윗자리에, 다음에 국기, 그 다음에 외국기를 알파벳 순서에 따라 위와 같이 게양한다.
○ 국기와 외국기를 교차시켜 게양할 때는 앞에서 보아 국기의 왼쪽이 되게 하고 국기의 깃대가 외국기의 깃대 앞에 오도록 게양한다.
○ 국기와 다른 기 또는 외국기를 함께 게양할때 그 깃대의 높이는 같게 한다.
○ 경축 행사 등의 깃면을 늘려서 달고자 할 때는 괘의 『건』과『이』가 위로 오도록 게양한다.
참고문헌
1. 김상섭(2005), 태극기의 정체, 동아시아
2. 백운곡(2006), 태극기 그 원리와 비밀, 생각하는 백성
추천자료
호모루덴스 - 유희적 인간, 그리고 교양
한국의 영화흐름
한국영화의 성장과 전망
[태극기]태극기의 기원, 태극기의 발견, 태극기의 변천사, 4단계의 태극기 변형, 5단계 현재...
[태극기][한국 국기][대한민국 국기][태극기 변천사][태극기 게양방법]우리나라 최초 태극기...
[태극기][태극기의 관리][태극기의 제작][태극기게양][태극기에 담긴 의미]태극기의 역사, 태...
[태극기][국기에 대한 맹세][태극기 게양][태극기 강하]태극기의 유래, 태극기의 의의, 태극...
[태극기][태극기 변천사][태극기 보관법][태극기 제작방법]태극기의 의미, 태극기의 내력, 태...
[태극기][태극기 제정][태극기 변형과정][태극기 그리는 방법][태극기 관련 제언]태극기의 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