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나무토막 잘라놓은 것, 나뭇잎, 밀짚, 견과류, 씨앗, 조개껍질, 솔방울, 눈코입 등이 없는 인형 등이 있다.
평가
몬테소리: 관찰을 중심으로 영유아의 발달상황을 평가한다. 관찰은 교구와의 상호작용과 또래와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실시한다. 각 유아별로 발달상태를 상세히 기록하며, 작업의 수행상황 및 수행능력을 기록한 표를 작성하며, 작업의 근거로 정기적인 평가를 실시한다.
발도르프: 평가활동이나 작품 활동의 결과를 공개적으로 전시하지 않는다. 유아들이 경험하는 활동 그 자체를 소중하게 생각하여 주위에서 관찰한 사물이나 형태를 표현하도록 하는데 더욱 주시한다. 대신 유아의 작품은 포트폴리오 형식으로 모아 유아 발달에 대한 자료로 삼는다.
부모, 학교, 지역사회
몬테소리: 부모는 자녀의 교육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데 부모와 자녀는 수직적 관계가 아닌 수평적 존재로 아이에게 지나친 교육열이나 간섭을 요구하지 않는 조력자여야 한다.
몬테소리는 학교가 지역사회의 센터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 교육은 교육기관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가정과 학교, 교사와 부모가 상호 협조적으로 노력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발도르프: 교사와 학부모가 구성원인 학교조합이 전반적인 학교의 책임자이자 학교 대표이다. 지역사회 성원들 중 발도르프 교육학에 공감하고 후원할 수 있는 이들도 학교 대표 구성원이 된다.
학부모회, 학부모와 교사와의 연대 협의회, 학부모교사 모임, 학부모 신뢰 모임 등의 기구가 형성되어 학교생활과 학교 발전을 위한 중요한 문제들이 이루어진다. 이렇듯 발도르프 학교의 운영 형태는 학부모, 교사, 학생들의 공동체로서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
교육목적
몬테소리: 어린이를 정상화시키기 위함이다. 정상화된 어린이란 독립적으로 자기 인격을 만들어 나갈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자기의 관심과 능력을 계발할 수 있는 자유를 지닌 어린이이다.
발도르프: 교육을 통하여 인간이 자기 자신의 발전을 이루어 전인으로서 통합적인 인식을 갖추도록 한다. 더 나아가 조화로운 사람이 되는 것을 포함하여 인간존재, 인류의 역사, 인간의식의 발전 등을 이루는 것이다.
총체적 비교
① 슈타이너와 몬테소리는 인간 정신을 존중하고 유아기 아동의 존엄성을 인정하는 공통점이 있다.
② 슈타이너와 몬테소리는 인간발달 단계를 제시하고 이에 적절한 적기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③ 슈타이너와 몬테소리는 유아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실제적인 장을 마련하였다.
④ 감각 교육과 동작 교육을 중요시 하고 우선시 하였다.
⑤ 슈타이너는 실물위주의 자연주의 교구를 이용한 교육방법을,
몬테소리는 체계적으로 조직된 몬테소리 교구를 이용한 자기 자동 교육을 실행하였다.
⑥ 슈타이너는 교사가 수업에 적극적으로 개입과 참여를 인정하였고,
몬테소리는 안내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소극적인 교사를 주장하였다.
슈타이너와 몬테소리는 외부적 필요성에 의한 교육이 아닌 인간 내부의 잠재력을 키우는 것을 교육의 목적으로 두고 있다. 또한 인간의 움직임의 욕구를 중요시하고 이를 중요한 교육내용으로 삼았으며, 감각 교육을 중시하였다. 그러나 슈타이너는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적인 교구를, 몬테소리는 정형화된 교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교사의 역할 측면에서 슈타이너와 몬테소리는 공통적으로 교사의 인격적인 면을 강조하였으나 슈타이너는 적극적인 개입과 참여를 인정하였고 몬테소리는 안내자의 역할을 하는 수동적인 존재의 교사의 역할을 제창하였다. 그리고 수업의 구조적인 측면에서도 다른 점을 나타내는데 슈타이너는 계절의 변화에 따른 리듬의 교육을, 몬테소리는 유아 스스로가 선택해서 작업하는 자유 작업을 핵심으로 하여 교육을 실행하였다.
평가
몬테소리: 관찰을 중심으로 영유아의 발달상황을 평가한다. 관찰은 교구와의 상호작용과 또래와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실시한다. 각 유아별로 발달상태를 상세히 기록하며, 작업의 수행상황 및 수행능력을 기록한 표를 작성하며, 작업의 근거로 정기적인 평가를 실시한다.
발도르프: 평가활동이나 작품 활동의 결과를 공개적으로 전시하지 않는다. 유아들이 경험하는 활동 그 자체를 소중하게 생각하여 주위에서 관찰한 사물이나 형태를 표현하도록 하는데 더욱 주시한다. 대신 유아의 작품은 포트폴리오 형식으로 모아 유아 발달에 대한 자료로 삼는다.
부모, 학교, 지역사회
몬테소리: 부모는 자녀의 교육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데 부모와 자녀는 수직적 관계가 아닌 수평적 존재로 아이에게 지나친 교육열이나 간섭을 요구하지 않는 조력자여야 한다.
몬테소리는 학교가 지역사회의 센터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 교육은 교육기관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가정과 학교, 교사와 부모가 상호 협조적으로 노력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발도르프: 교사와 학부모가 구성원인 학교조합이 전반적인 학교의 책임자이자 학교 대표이다. 지역사회 성원들 중 발도르프 교육학에 공감하고 후원할 수 있는 이들도 학교 대표 구성원이 된다.
학부모회, 학부모와 교사와의 연대 협의회, 학부모교사 모임, 학부모 신뢰 모임 등의 기구가 형성되어 학교생활과 학교 발전을 위한 중요한 문제들이 이루어진다. 이렇듯 발도르프 학교의 운영 형태는 학부모, 교사, 학생들의 공동체로서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다.
교육목적
몬테소리: 어린이를 정상화시키기 위함이다. 정상화된 어린이란 독립적으로 자기 인격을 만들어 나갈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자기의 관심과 능력을 계발할 수 있는 자유를 지닌 어린이이다.
발도르프: 교육을 통하여 인간이 자기 자신의 발전을 이루어 전인으로서 통합적인 인식을 갖추도록 한다. 더 나아가 조화로운 사람이 되는 것을 포함하여 인간존재, 인류의 역사, 인간의식의 발전 등을 이루는 것이다.
총체적 비교
① 슈타이너와 몬테소리는 인간 정신을 존중하고 유아기 아동의 존엄성을 인정하는 공통점이 있다.
② 슈타이너와 몬테소리는 인간발달 단계를 제시하고 이에 적절한 적기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③ 슈타이너와 몬테소리는 유아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실제적인 장을 마련하였다.
④ 감각 교육과 동작 교육을 중요시 하고 우선시 하였다.
⑤ 슈타이너는 실물위주의 자연주의 교구를 이용한 교육방법을,
몬테소리는 체계적으로 조직된 몬테소리 교구를 이용한 자기 자동 교육을 실행하였다.
⑥ 슈타이너는 교사가 수업에 적극적으로 개입과 참여를 인정하였고,
몬테소리는 안내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소극적인 교사를 주장하였다.
슈타이너와 몬테소리는 외부적 필요성에 의한 교육이 아닌 인간 내부의 잠재력을 키우는 것을 교육의 목적으로 두고 있다. 또한 인간의 움직임의 욕구를 중요시하고 이를 중요한 교육내용으로 삼았으며, 감각 교육을 중시하였다. 그러나 슈타이너는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적인 교구를, 몬테소리는 정형화된 교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교사의 역할 측면에서 슈타이너와 몬테소리는 공통적으로 교사의 인격적인 면을 강조하였으나 슈타이너는 적극적인 개입과 참여를 인정하였고 몬테소리는 안내자의 역할을 하는 수동적인 존재의 교사의 역할을 제창하였다. 그리고 수업의 구조적인 측면에서도 다른 점을 나타내는데 슈타이너는 계절의 변화에 따른 리듬의 교육을, 몬테소리는 유아 스스로가 선택해서 작업하는 자유 작업을 핵심으로 하여 교육을 실행하였다.
키워드
추천자료
<유아교육기관운영>영.유아보육 및 교육기관에서의 의사결정과정을 기술하고 참여문제에 대해...
유아교육의 중요성과 의의 및 유아교육사상가의 교육사상
개별화교육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은 영유아들에게 어떻게 개별화...
덴마크의 유아교육(역사적발달, 법규, 행정체제, 특징, 교사, 정책과제, 외국의 유아교육 사...
특수아교육A형)유아교육기관에서 장애 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고찰
유아경제교육의 필요성과 유아에 적절한 경제교육의 내용을 조사하고 그에 대한 근거를 쓰시...
[현대사회와 유아교육 보육] 현대사회와 아동교육 - 아동교육의 중요성과 아동교육의 내용 및...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A형]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
[루돌프 슈타이너 (Rudolf Steiner)] 슈타이너의 생애와 슈타이너의 인지학, 유아교육, 현대...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프로젝트 접근법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정에 ...
[유아교육과정 공통] 유아교육과정의 접근법 중 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 접근법을 개념...
[유아교육과정 공통] 유아교육과정의 접근법 중 성숙주의, 행동주의, 구성주의 접근법을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