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소아마취시 점검사항
Ⅲ. 소아마취시 주의점
1. Behavioral characteristics
1) child`s age
2) cognitive development
3) degree and expression of fear and anxiety
4) child temperament
2. Anatomic and physiologic characteristics
Ⅳ. 소아마취의 방법
1. inhalation induction
2. Intravenous induction of anesthesia
3. intramuscular induction
4. 마취제의 직장내 투여
Ⅴ. 소아마취 이후의 모니터링
1. 맥박(심박수와 rhythm)
2. 혈압
3. Electroradiograghy
4. 호흡
5. Pulse oximetry
6. 이산화탄소 관찰
7. 체온
Ⅵ. 소아마취 이후의 관리
참고문헌
Ⅱ. 소아마취시 점검사항
Ⅲ. 소아마취시 주의점
1. Behavioral characteristics
1) child`s age
2) cognitive development
3) degree and expression of fear and anxiety
4) child temperament
2. Anatomic and physiologic characteristics
Ⅳ. 소아마취의 방법
1. inhalation induction
2. Intravenous induction of anesthesia
3. intramuscular induction
4. 마취제의 직장내 투여
Ⅴ. 소아마취 이후의 모니터링
1. 맥박(심박수와 rhythm)
2. 혈압
3. Electroradiograghy
4. 호흡
5. Pulse oximetry
6. 이산화탄소 관찰
7. 체온
Ⅵ. 소아마취 이후의 관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 손톱부위(그런데 러버댐은 입술과 구강내 연조직을 덮고 있으므로 점막의 관찰은 감시 방법으로 부적절), 흡입진정이나 산소가 투여되는 경우(환자가 구호흡이 아닌 비호흡이 원활하다면) 호흡낭의 팽창과 수축 상태를 관찰한다. 이러한 호흡상태의 평가는 청진기를 통해서 쉽게 감시될 수 있다.
5. Pulse oximetry
호흡음과 호흡률을 monitoring하는 것이 비록 전신마취와 진정요법동안 환자치료에 중요하다 할지라도 ventilatory effort의 적합성에 대해 완벽히 정확한 평가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Pulse oximetry의 기능은 전신요법이나 진정마취시 저산소증을 감지하고 어느 정도인지를 정량화하는 것이다. 즉, 이는 동맥혈내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데 산소포화도는 헤모글로빈에 의해 운반되는 산소의 양이다.
6. 이산화탄소 관찰
호기말(end tidal) 이산화탄소가 선택된 기준치(<23mmHg 또는 3%) (>51mmHg 또는 6.5%)보다 크거나 작다면 혹은 무호흡이 발생된다면 시각적, 청각적인 경고가 술자에게 알려진다.
7. 체온
체온은 흔히 구강과 직장을 통해 측정한다.(치과의사의 경우 주로 구강을 통해서 측정한다.) 환자의 협조를 얻을 수 없고 수술전 체온을 기록해야 할 때는 이마에서 기록하는 체온계가 사용될 수 있다.
Ⅵ. 소아마취 이후의 관리
흔히 마취 술 후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airway patency, arterial hypoxemia, hypoventilation, hypotension and hypertension, hypoglycemia, hypothermia가 있다. 이 중에서 hypoglycemia같은 것은 소아 환자에게 위험성이 매우 높다. 이것은 intravenous glucose solutions을 투여함으로 예방할 수 있고, 어린이에서는 50% dextrose 25ml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hypoxemia와 hypoventilation 또한 생명에 지장을 초래할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주의해서 살펴봐야 할 부분이다. 또한 술 후 pain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management로 NSAIDs 계통의 약물(aspirin, ibuprofen, naproxen, diflunisal, ketoprofen)과 Opioids 계통의 약물(hydrocodone, codeine, oxycodone)을 정확한 용량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용량은 주어진 manual대로 해야 한다.
참고문헌
○ 강병철 외, 임상간호의 핵심, 한우리 출판사, 2003
○ 김현정·염광원, 소아치과 환자에서 propofol을 이용한 마취의 진정조절법 : 정맥마취 1998
○ 마취과학(개정3판), 대한마취과학회 교과서편집위원회, 여문각, 1996
○ 이상웅·윤희석·신용섭·손수창·이정은, 소아에서의 propofol의 정주통에 대한 lidocaine과 ketolac의 효과 비교, 대한마취과학회지, 2002
○ 이광욱,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1999
○ 윤혜상, 수술실 환자, 간호청구문화사, 1993
5. Pulse oximetry
호흡음과 호흡률을 monitoring하는 것이 비록 전신마취와 진정요법동안 환자치료에 중요하다 할지라도 ventilatory effort의 적합성에 대해 완벽히 정확한 평가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Pulse oximetry의 기능은 전신요법이나 진정마취시 저산소증을 감지하고 어느 정도인지를 정량화하는 것이다. 즉, 이는 동맥혈내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데 산소포화도는 헤모글로빈에 의해 운반되는 산소의 양이다.
6. 이산화탄소 관찰
호기말(end tidal) 이산화탄소가 선택된 기준치(<23mmHg 또는 3%) (>51mmHg 또는 6.5%)보다 크거나 작다면 혹은 무호흡이 발생된다면 시각적, 청각적인 경고가 술자에게 알려진다.
7. 체온
체온은 흔히 구강과 직장을 통해 측정한다.(치과의사의 경우 주로 구강을 통해서 측정한다.) 환자의 협조를 얻을 수 없고 수술전 체온을 기록해야 할 때는 이마에서 기록하는 체온계가 사용될 수 있다.
Ⅵ. 소아마취 이후의 관리
흔히 마취 술 후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airway patency, arterial hypoxemia, hypoventilation, hypotension and hypertension, hypoglycemia, hypothermia가 있다. 이 중에서 hypoglycemia같은 것은 소아 환자에게 위험성이 매우 높다. 이것은 intravenous glucose solutions을 투여함으로 예방할 수 있고, 어린이에서는 50% dextrose 25ml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hypoxemia와 hypoventilation 또한 생명에 지장을 초래할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주의해서 살펴봐야 할 부분이다. 또한 술 후 pain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한 management로 NSAIDs 계통의 약물(aspirin, ibuprofen, naproxen, diflunisal, ketoprofen)과 Opioids 계통의 약물(hydrocodone, codeine, oxycodone)을 정확한 용량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용량은 주어진 manual대로 해야 한다.
참고문헌
○ 강병철 외, 임상간호의 핵심, 한우리 출판사, 2003
○ 김현정·염광원, 소아치과 환자에서 propofol을 이용한 마취의 진정조절법 : 정맥마취 1998
○ 마취과학(개정3판), 대한마취과학회 교과서편집위원회, 여문각, 1996
○ 이상웅·윤희석·신용섭·손수창·이정은, 소아에서의 propofol의 정주통에 대한 lidocaine과 ketolac의 효과 비교, 대한마취과학회지, 2002
○ 이광욱, 최신 임상간호메뉴얼, 현문사, 1999
○ 윤혜상, 수술실 환자, 간호청구문화사, 199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