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언어,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언어,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본 론

1. 빌헬름 폰 훔볼트의 생애

2. 도야란 무엇인가?

3. 도야 이론의 시대적 등장 배경

4. 훔볼트의 교육학적 사고의 기본 구조

결 론

본문내용

96, 116쪽
훔볼트에게 있어 세계와 인간은 물리학에서의 ‘작용과 반작용’에 비유할 수 있다. 물리학에서의 ‘작용과 반작용’에서 작용이 없으면 반작용이 있을 수 없는 것처럼, 서로 때려야 땔 수 없는 관계인 것이다.
그러나 자신의 본질에서 벗어난 채 세계만을 탐닉함으로써 자신을 상실하는 일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한 방식으로 자신을 양도하는 일을 훔볼트는 소외라고 부르는데, 이는 인간이 자기 자신을 포기하거나 또는 세계의 충만함이 인간에게 더 이상 작용하지 않는 상태임을 뜻한다. 우리 인간은 자신의 사람됨을 보전하기 위해 바로 이러한 소외를 피해야 한다. 정영근, 인간 언어 교육, 문음사, 1996, 117쪽
인간의 자기 결정과 자아실현은 무작정 세계 속으로 뛰어드는 것이 아니라 세계와 자신을 서로 관련지음으로써 자신의 본질을 찾는 것이다.
결 론
지금까지 <인간, 언어, 교육>에서 나타나는 훔볼트의 도야 이론, 인간 이해, 교육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이 중에서도 훔볼트의 도야 이론은 현재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 현실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현재 한국의 교육 현실이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여전히 학생 개개인의 특기와 적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오로지 성공적인 입시만을 위한 주입식 교육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교육적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던 ‘특기 적성 교육’도 그 내면을 들여다보면 사실상 입시를 위한 ‘보충수업’으로 전락해버린 지 오래이다. 많게는 50여명의 학생들이 같은 수업을 듣고, 같은 문제를 풀고, 같은 숙제를 하는 현실은 학생 각각의 타고난 능력과 소질을 완전한 모습으로 계발하기보단 획일화된 인간을 길러내고 있다. 이 밖에도 한국 교육 현실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현실에서 훔볼트의 도야 이론은 앞으로 한국의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18세기의 계몽주의 시대의 교육이 추구하던 이상은 각 직업 분야에서 유능한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었다. 신분에 맞는 직업 교육을 통하여 사회가 필요로 하는 유능한 직업인을 양성하는 교육이 관건이었다. 정영근 외 공저, 교육학적 사유를 여는 교육의 철학과 역사, 2004, 310쪽
위에서 언급한 한국의 교육 현실과 18세기 유럽의 교육 현실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는데, 그것은 바로 교육이 진정한 의미의 교육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진정한 의미의 교육이란 인간 개개인이 항구적인 자기 도야의 길로 나아갈 수 있도록 인도해 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 훔볼트의 도야 이론의 가르침이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면, 그리고 이를 현실에 맞게 적용시키기 위한 노력을 한다면 비로소 한국 교육 현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정영근, 인간 언어 교육, 문음사, 1996
신익성, 대학고전총서 - 훔볼트, 서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3
정영근 외 공저, 교육학적 사유를 여는 교육의 철학과 역사, 2004
위르겐 트라반트, 훔볼트의 상상력과 언어, 인간사랑, 1998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7.17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58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