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이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성에 대한 침묵을 깨기 위한 섹슈얼리티로의 접근.
2.본론-섹슈얼리티에 대한 통찰.
3.결론-성에 대한 이야기의 필요성―탈 성화 전략.

본문내용

족위기론은 대중매체를 통해 널리 유포되면서 날로 힘을 얻어 가고 있다. 우리는 에이즈 공포와 결합된 성위기론의 정치적 효과에 대해 경계심을 갖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지금 성에 대해 이야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성적인 주변집단들의 도전도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성희롱'사건은, 지금까지 남성들이 일상생활에서 여성을 대하는 '자연스러운'방식이라고 생각해 온 것에 대한 반발이다. 또한 아직은 소수이지만 동성애자들의 단체도 생겨나고 있으며 '커밍아웃(coming out)'의 시도는 점차 늘어날 것이다. 성적소수집단의 문제는 매우 복잡한 윤리적 판단을 요구하기 때문에 아직 우리는 뚜렷한 답변을 갖고 있지 못하다. 다만 개인의 성적 선호가 '정상적인'이성애에서 벗어나 있다는 단 하나의 이유만으로 그의 모든 사회적 살이 고립되고 단죄당하는 것이, 민주주의적인 권리 원칙에 어긋난다는 점은 명백하다. 더욱 경계해야 할 것은, 서구의 신 우익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성위기론이 우리 사회를 교화시킬 위험성이다. 성위기론은 성적 소수집단을 단죄하는 것뿐 아니라, 우리 모두의 정체성을 얽어매는 것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성에 대한 지배적인 가치기준은 윅스가 말한 '절대주의'에 해당한다. 우리 사회의 성 정치지형은 서구의 그것보다 복합적이라고 생각된다. 절대주의는 전통적 유교이데올로기, 그리고 자본주의적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이데올로기 양면과 모두 맞닿아 있을 것이고, 따라서 자유주의와 진보의 의미도 더 복잡한 지형에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것 모두는 분석의 과제로 삼아야 할 것들이다.
그렇다면, 성에대해 어떻게 이야기 할 것인가? 이것은 성정치의 전략적 함의와 직결되는 질문이다. 그에 대한 대답은 다소 역설적이긴 하지만, 성을 탈 성화시키는 전략이라고 표현할 수 있겠다. 이념적 입장이 무엇이건 간에, 저항의 정치에서 최대의 자원은 연대이다. 성에 대한 금기의 벽이 아직도 높은 우리 사회에서, 성정치의 함의와 잠재력을 제대로 가늠하기 위해서는 섹슈얼리티의 탈 성화, 성과 관련된 광범한 탐사, 성적인 것의 경계에 대한 성찰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참고문헌:
김종엽, 1994, "사랑의 사회학 : 민주주의와 에로티즘의 융합을 위하여," 『웃음의 해석학, 행복의 정치학』,한나래.
미셸푸코, 1990, 『성의 역사 제1권 :앎의 의지』, 나남.
박설호, 1995 봄, "지베이데올로기, 혹은 해방으로서의 성 : 빌헬름 라이히의 성경제 학." 『문화과학』.
서동진, 1994, "누가 성정치학을 두려워하랴!" 『섹스 포르노 에로티즘 : 쾌락의 악 몽을 넘어서』, 현실문화연구.
성서경, 1994, "커밍아웃," 『섹스 포르노 에로티즘 : 쾌락의 악몽을 넘어서』, 현실 문화연구.
오세철, 1987, "빌헬름 라이히의 사회사상과 정신의학의 비판이론," 『파시즘의 대중 심리』, 현상과 인식.
J.윅스, 1994, 『섹슈얼리티 : 성의 정치』, 서동진·채규형 역, 현실문화연구.
콜린 고든 편, 1991, 『권력과 지식 : 미셸푸코와의 대담』, 홍성민 역, 나남.

키워드

섹슈얼리티,   ,   사랑,   섹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7.18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58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