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안지형에서 그 유례를 볼 수 없는 것이어서, 이른바 한국식 해안(Korean coast)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서쪽의 전남해안에는 1,840여 개, 동쪽의 경남해안에는 400여 개에 이르는 크고 작은 섬들이 산재하여 한국 총도서 중 60 % 이상을 차지한다. 섬은 모두 육지의 구릉 및 산맥이 침강한 것이므로, 그 배열은 육지의 구조선에 일치한다.
서쪽의 전남해안 일대에는 넓은 간석지가 전개되어 간척 적지가 되고 있다. 해상은 난류의 북상으로 수온이 연중 거의 고른 데다가 해안지형의 지절이 복잡하여 어류의 산란장으로 적합하고, 또 수산양식업에 유리하기 때문에 휴어기가 없는 좋은 어장을 이루는 한편 국내에서 해조류·어패류의 양식이 가장 성한 해역이 되고 있다. 한편, 역사적으로는 우리 민족의 대외항쟁이 줄기차게 전개된 해역이기도 하다. 즉, 일찍이 신라시대에는 장보고가 청해진(지금의 완도)을 거점으로 왜·당의 해적을 무찔러 해상왕국을 세운 바 있고, 고려시대에는 삼별초군이 진도를 거점으로 원나라에 끝까지 대항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충무공(忠武公) 이순신이 이 해역에서 명량·노량·한산도 등지의 특이한 지형과 조류를 이용하여 왜적을 괴멸시킨 바 있었다.
해안 일대는 기후가 온화하여 예로부터 마산·진해·동래 등지를 중심으로 휴양지가, 율포·송지·수문리·남일대·송호리 등지의 각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피서지가 발달되었다. 또한, 한산도를 중심으로 곳곳에 산재하는 충무공의 전적지와 크고 작은 섬들이 해상에 점철하는 다양한 경치로 한국 유일의 해상관광지를 이루기 때문에 1968년 12월에는 다도해 동반부를 중심으로 하는 한려해상국립공원이, 81년 12월에는 다도해 서반부를 중심으로 하는 다도해국립공원이 각각 지정되었다. 해안 일대는 1972년 이래 제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일환으로 남동연안의 임해공업단지가 형성되어 중화학공업지대가 대상으로 발전되고 있다.
<연도별 연안오염도 변화추이(COD)>
(단위:㎎/ℓ)
연도
오염도
1990
2.0
1995
1.7
1996
1.7
1997
1.4
<근해의 오염도 현황(1997)>
(단위:㎎/ℓ)
방향
오염도
COD 화학적 산소요구량
남해동부:0.1
남해서부:0.1
SS 부유물질
남해동부:1.7
남해서부:1.2
DO 용존산소량
남해동부:6.5
남해서부:6.3
T-N 총 질소
남해동부:0.222
남해서부:0.011
T-P 총 인
남해동부:0.005
남해서부:0.001
서쪽의 전남해안 일대에는 넓은 간석지가 전개되어 간척 적지가 되고 있다. 해상은 난류의 북상으로 수온이 연중 거의 고른 데다가 해안지형의 지절이 복잡하여 어류의 산란장으로 적합하고, 또 수산양식업에 유리하기 때문에 휴어기가 없는 좋은 어장을 이루는 한편 국내에서 해조류·어패류의 양식이 가장 성한 해역이 되고 있다. 한편, 역사적으로는 우리 민족의 대외항쟁이 줄기차게 전개된 해역이기도 하다. 즉, 일찍이 신라시대에는 장보고가 청해진(지금의 완도)을 거점으로 왜·당의 해적을 무찔러 해상왕국을 세운 바 있고, 고려시대에는 삼별초군이 진도를 거점으로 원나라에 끝까지 대항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충무공(忠武公) 이순신이 이 해역에서 명량·노량·한산도 등지의 특이한 지형과 조류를 이용하여 왜적을 괴멸시킨 바 있었다.
해안 일대는 기후가 온화하여 예로부터 마산·진해·동래 등지를 중심으로 휴양지가, 율포·송지·수문리·남일대·송호리 등지의 각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피서지가 발달되었다. 또한, 한산도를 중심으로 곳곳에 산재하는 충무공의 전적지와 크고 작은 섬들이 해상에 점철하는 다양한 경치로 한국 유일의 해상관광지를 이루기 때문에 1968년 12월에는 다도해 동반부를 중심으로 하는 한려해상국립공원이, 81년 12월에는 다도해 서반부를 중심으로 하는 다도해국립공원이 각각 지정되었다. 해안 일대는 1972년 이래 제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의 일환으로 남동연안의 임해공업단지가 형성되어 중화학공업지대가 대상으로 발전되고 있다.
<연도별 연안오염도 변화추이(COD)>
(단위:㎎/ℓ)
연도
오염도
1990
2.0
1995
1.7
1996
1.7
1997
1.4
<근해의 오염도 현황(1997)>
(단위:㎎/ℓ)
방향
오염도
COD 화학적 산소요구량
남해동부:0.1
남해서부:0.1
SS 부유물질
남해동부:1.7
남해서부:1.2
DO 용존산소량
남해동부:6.5
남해서부:6.3
T-N 총 질소
남해동부:0.222
남해서부:0.011
T-P 총 인
남해동부:0.005
남해서부:0.001
추천자료
해양오염 정의,실태,대책
세계 각국의 자유무역 현황과 이에 따라 우리 나라가 대처해야 할 방안 모색
습지란....
패총을 통해 본 신석기인들의 생활
[적조][적조현상][적조발생][적조생물][수산피해][적조피해][적조예방]적조의 개념, 적조의 ...
지진에 대한 고찰
평택학의 현황와 활성화 방안
우르과이의 농업형태
[해삼][해삼 생식][해삼 저항성][해삼 인공종묘생산][인공종묘생산]해삼의 유형, 해삼의 성, ...
무척추_동물의_산업화_전망
생명과환경_2학년 공통) 기후변화가 가져올 결과에 대해서 생각해보시오. - 기후변화의 개념,...
[★★평가우수자료★★][정책사례분석] 대양해군정책 분석, 정책 분석 사례, 분석 사례, MSF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