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정의
Ⅲ.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분류
1. 진행속도에 의한 분류
2. 발생원인에 의한 분류
3. 경기상태에 의한 분류
4. 정부의 직접통제 유무에 의한 분류
5. 기타
Ⅳ.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원인
1. 초과수요
2. 비용상승
3. 기타 요인
Ⅴ.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영향
1. 소득의 재분배
2. 부의 재분배
3. 국제수지와 경제성장의 저해
Ⅵ. 미국의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사례
Ⅶ.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억제 정책
Ⅷ. 결론
참고문헌
Ⅱ.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정의
Ⅲ.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분류
1. 진행속도에 의한 분류
2. 발생원인에 의한 분류
3. 경기상태에 의한 분류
4. 정부의 직접통제 유무에 의한 분류
5. 기타
Ⅳ.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원인
1. 초과수요
2. 비용상승
3. 기타 요인
Ⅴ.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영향
1. 소득의 재분배
2. 부의 재분배
3. 국제수지와 경제성장의 저해
Ⅵ. 미국의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사례
Ⅶ.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억제 정책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이러한 형태의 인플레이션에 대해서는 부문간의 불균형을 시정하는 것과 비용인플레이션 요인 또는 소득 인플레이션 요인에 대해 적절한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정책 신뢰성을 얻기 위해서는 보강 장치가 필요한데 그것은 중앙은행이 물가안정에 전념할 수 있도록 독립성을 강화해야 하며 중앙은행이 정책수행에 책임을 질 수 있도록 책임성을 부여하여야 한다. 또한 대중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므로 통화정책의 투명성이 있어야 하며 정책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Ⅷ. 결론
최근 한은법의 개정을 계기로 한국은행은 통화정책의 운영에 있어서 물가안정(price stability)을 최종목표로 삼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통화정책을 운용하는 물가안정목표제(inflation targeting)를 도입·시행하고 있다. 새로운 통화정책 운용방식인 물가안정목표제를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통화정책의 인플레이션 파급경로와 파급시차를 정확히 파악하여 인플레이션 압력이 현재화하기 전에 선제적으로 정책을 집행하는 것이 매우 긴요하다. 이 제도하에서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한 종합판단을 토대로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만큼 인플레이션 진행과정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예측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된다.
아울러 최근 금리자유화, 외환자유화, 그리고 경제 각 부문에 걸쳐 진행중인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가격의 시장수급조절 기능이 강화되는 등 새로운 경제여건 및 정책환경이 조성됨에 따라 종래의 물가변동의 구조·행태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 경제의 구조 및 정책운용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을 뿐 아니라 물가안정목표제의 도입을 계기로 물가분석의 중요성과 정확성이 크게 요구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 인플레이션의 진행과정에 관한 실증분석을 통해 통화정책의 인플레이션 파급경로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 김배근, 우리나라 인플레이션 요인의 파급과정, 조사통계월보, 한국은행, 1995
◎ 김운욱, 인플레이션 이야기, 한국경제 신문사, 김운욱
◎ 김효명, 경제정책의 이해, 박영사, 2003
◎ 박홍립, 경제학 원론, 박영사, 1992
◎ 백웅기, 인플레이션과 단위노동비용의 동태적 구조, 한국 물가변동구조의 분석과 정책대응 제2장, 한국개발연구원, 1996
◎ 이준구·이창용, 경제학원론, 법문사, 2000
◎ 이남철·최유식·박유영, 현대 경제학 원론, 삼영사, 1997
또한 정책 신뢰성을 얻기 위해서는 보강 장치가 필요한데 그것은 중앙은행이 물가안정에 전념할 수 있도록 독립성을 강화해야 하며 중앙은행이 정책수행에 책임을 질 수 있도록 책임성을 부여하여야 한다. 또한 대중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므로 통화정책의 투명성이 있어야 하며 정책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Ⅷ. 결론
최근 한은법의 개정을 계기로 한국은행은 통화정책의 운영에 있어서 물가안정(price stability)을 최종목표로 삼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통화정책을 운용하는 물가안정목표제(inflation targeting)를 도입·시행하고 있다. 새로운 통화정책 운용방식인 물가안정목표제를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통화정책의 인플레이션 파급경로와 파급시차를 정확히 파악하여 인플레이션 압력이 현재화하기 전에 선제적으로 정책을 집행하는 것이 매우 긴요하다. 이 제도하에서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한 종합판단을 토대로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만큼 인플레이션 진행과정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예측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된다.
아울러 최근 금리자유화, 외환자유화, 그리고 경제 각 부문에 걸쳐 진행중인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가격의 시장수급조절 기능이 강화되는 등 새로운 경제여건 및 정책환경이 조성됨에 따라 종래의 물가변동의 구조·행태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 경제의 구조 및 정책운용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을 뿐 아니라 물가안정목표제의 도입을 계기로 물가분석의 중요성과 정확성이 크게 요구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 인플레이션의 진행과정에 관한 실증분석을 통해 통화정책의 인플레이션 파급경로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 김배근, 우리나라 인플레이션 요인의 파급과정, 조사통계월보, 한국은행, 1995
◎ 김운욱, 인플레이션 이야기, 한국경제 신문사, 김운욱
◎ 김효명, 경제정책의 이해, 박영사, 2003
◎ 박홍립, 경제학 원론, 박영사, 1992
◎ 백웅기, 인플레이션과 단위노동비용의 동태적 구조, 한국 물가변동구조의 분석과 정책대응 제2장, 한국개발연구원, 1996
◎ 이준구·이창용, 경제학원론, 법문사, 2000
◎ 이남철·최유식·박유영, 현대 경제학 원론, 삼영사, 199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