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휠체어의 종류와 구조 ]
1. 휠체어의 역사
2. 휠체어의 재료와 무게
3.휠체어의 가공절차
4. 휠체어의 종류
1) 현대식 자주용 휠체어
2) 현대식 개조용 휠체어
3) 전동 휠체어
5. 휠체어 각부의 제원 및 원리
1) 뒷바퀴(Main Wheel)
2) 핸드림(Hand rim)
3) 좌석(Seat)
4) 발판(Foot rest)
5) 다리받침대(Leg rest)
6) 등받이(Back rest)
7) 팔걸이(Arm rest)
8) 앞바퀴(Caster)
9) 브레이크(Break)
1. 휠체어의 역사
2. 휠체어의 재료와 무게
3.휠체어의 가공절차
4. 휠체어의 종류
1) 현대식 자주용 휠체어
2) 현대식 개조용 휠체어
3) 전동 휠체어
5. 휠체어 각부의 제원 및 원리
1) 뒷바퀴(Main Wheel)
2) 핸드림(Hand rim)
3) 좌석(Seat)
4) 발판(Foot rest)
5) 다리받침대(Leg rest)
6) 등받이(Back rest)
7) 팔걸이(Arm rest)
8) 앞바퀴(Caster)
9) 브레이크(Break)
본문내용
킬 수 있는데 경련성 마비가 있는 경우나 또는 지면이 거친 곳을 갈 때에 도움을 준다. 발뒤꿈치 지지대는 발이 뒤쪽으로 미끄러지는 것과 앞바퀴쪽으로 가려는 것을 막아준다. 분리형 발판이 일반적이다.
5) 다리받침대(Leg rest)
접는식 X자형 휠체어에 사용 할 수 있는 다리 받침대는 고정형, 각도조절형, 분리형, 회전형등 여러 종류가 있다. 분리형 다리 받침대는 침대나 화장실 변기로 옮겨가고자 할 때보다 쉽게 접근 할 수 있게 해주며, 각도 조절형 다리 받침대는 종아리 받침과 같이 사용하고,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다리의 길이에 맞출 수 있다. 대퇴부 그리고 발을 포함한 하퇴부는 다리받침대에 90 각도로 놓여지게 된다.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 받침대는 무릎 받침대로 받쳐지며, 혈액 순환장애에 사용이 된다. 그것은 장딴지 쿠션을 가지고 있으며, 하퇴부의 무게를 수용한다. 다리받침대에는 허용 외 압력을 가해서는 안되며, 각각의 모델에 따라 휠체어 무게에 영향을 미침으로 이동 트랩위의 주행에 있어 고려가 되어야만 한다. 종아리 받침과 함께 사용함으로 여러 자세로 앉을 수 있게 하여 둔부나 무릎의 순환을 좋게 하고, 유연성을 길러주는데 도움을 준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형식은 회전형과 분리형이다.
6) 등받이(Back rest)
고정된 등받이는 최대 10 까지 경사를 갖으며, 장애인의 체격, 몸통지지의 필요성 여부, 활동능력에 따라 결정된다. 표준형은 어깨가지의 높이지만 목과 몸체의 근력이 매우 약한 경우에는 머리 위까지 연장하여 목받침대가 있고, 약간 경사지게 하여 기대어 앉을 수 있게 된 것도 있다. 장애가 심하여 똑바로 앉을 수 없는 장애인의 경우에는 180 까지 등받이를 젖히고 누울 수 있는 휠체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 등받이가 길어져서 쿠션 등을 더 잘 지지하여 주므로 때로는 편리하지만, 좌석의 길이가 짧아 지게 되어 잘못하면, 휠체어의 균형을 잃어 전복 될 우려가 있기도 하다.
7) 팔걸이(Arm rest)
팔걸이는 양손과 팔을 받쳐 주기 위한 것이며 자리를 이동 할 때 양손으로 눌러 몸통을 들어올릴 때 사용된다. 팔걸이는 좌석에서 팔꿈치까지 길이에다 1인치(2.5cm)를 더한 높이가 적당한데, 팔걸이의 높이가 낮으면 상체가 앞으로 숙여지게 되어 몸통의 균형을 잃게 되며, 호흡이 불편하게 된다. 반대로 팔걸이가 너무 높으면 어깨가 올라가게 되어 장시간 똑바로 앉아 있기가 어렵게 된다. 팔걸이는 고정된 것과 착탈식이 가능한 것이 있고, 접고 펼수 있는 것,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는 것, 책상에서 작업하기 쉽도록 팔걸이의 절반이 턱이 진 것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고정형이 많이 쓰인다.
8) 앞바퀴(Caster)
일반적으로 직경이 작으면서 딱딱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방향회전에 용이하며, 공기타이어로 되어 바퀴가 큰 것은 실외에서 사용하기에 알맞다. 작은 바퀴는 다른 종류로 쉽게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상황에 따라 필요한 종류의 것을 사용하게 되어있다.
9) 브레이크(Break)
브레이크의 경우 추진 브레이크와 고정 브레이크로 구분된다. 휠체어는 주행하는 동안 추진 브레이크를 사용해 제동되어 정지하게 되며, 고정 브레이크는 정지를 위한 순수한 정지 브레이크이다. 브레이크는 손지렛대에 의해 작동되고, 길이는 늘일 수 있다. 대부분의 단순한 브레이크는 추진 바퀴에 곧바로 작동하고 공기가 채워진 타이어에 의해 공기 압력에 의존하게 된다. 뒷바퀴를 고정하여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써 브레이크 레버대가 있어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고 주행 중 멈추고자 할 때 힘을 적게 들일 수 있다.
참고문헌
[국내문헌]
1)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장애인을 위한 총체적 기술지원> 1994년도
2) 한국장애인복지체육회, <한국의 장애인 복지용품> 1993년도
3) 김태정, <휠체어디자인을 위한 조사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4년도
[인터넷 참고 문헌]
1) 휠체어의 역사, 휠체어의 재료와 무게
http://dragon.yonsei.ac.kr/~ych0406/main/의자차/html
2) 입욕, 샤워, 화장실 전용 휠체어(자주용)
http://member.nifty.ne.jp/kawamuracycle/nyuuyoku
3) Reclining형, 착탈식, 등받이 각도조절 휠체어(개조형)
http://www.cd-asahi.co.jp/image/rr41-nb.html
4) 전동 자주 혼합형 휠체어
http://wwww.wheel.co.kr/kmain.html
5) 다리받침대(Leg rest)
접는식 X자형 휠체어에 사용 할 수 있는 다리 받침대는 고정형, 각도조절형, 분리형, 회전형등 여러 종류가 있다. 분리형 다리 받침대는 침대나 화장실 변기로 옮겨가고자 할 때보다 쉽게 접근 할 수 있게 해주며, 각도 조절형 다리 받침대는 종아리 받침과 같이 사용하고,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다리의 길이에 맞출 수 있다. 대퇴부 그리고 발을 포함한 하퇴부는 다리받침대에 90 각도로 놓여지게 된다.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 받침대는 무릎 받침대로 받쳐지며, 혈액 순환장애에 사용이 된다. 그것은 장딴지 쿠션을 가지고 있으며, 하퇴부의 무게를 수용한다. 다리받침대에는 허용 외 압력을 가해서는 안되며, 각각의 모델에 따라 휠체어 무게에 영향을 미침으로 이동 트랩위의 주행에 있어 고려가 되어야만 한다. 종아리 받침과 함께 사용함으로 여러 자세로 앉을 수 있게 하여 둔부나 무릎의 순환을 좋게 하고, 유연성을 길러주는데 도움을 준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형식은 회전형과 분리형이다.
6) 등받이(Back rest)
고정된 등받이는 최대 10 까지 경사를 갖으며, 장애인의 체격, 몸통지지의 필요성 여부, 활동능력에 따라 결정된다. 표준형은 어깨가지의 높이지만 목과 몸체의 근력이 매우 약한 경우에는 머리 위까지 연장하여 목받침대가 있고, 약간 경사지게 하여 기대어 앉을 수 있게 된 것도 있다. 장애가 심하여 똑바로 앉을 수 없는 장애인의 경우에는 180 까지 등받이를 젖히고 누울 수 있는 휠체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런 경우 등받이가 길어져서 쿠션 등을 더 잘 지지하여 주므로 때로는 편리하지만, 좌석의 길이가 짧아 지게 되어 잘못하면, 휠체어의 균형을 잃어 전복 될 우려가 있기도 하다.
7) 팔걸이(Arm rest)
팔걸이는 양손과 팔을 받쳐 주기 위한 것이며 자리를 이동 할 때 양손으로 눌러 몸통을 들어올릴 때 사용된다. 팔걸이는 좌석에서 팔꿈치까지 길이에다 1인치(2.5cm)를 더한 높이가 적당한데, 팔걸이의 높이가 낮으면 상체가 앞으로 숙여지게 되어 몸통의 균형을 잃게 되며, 호흡이 불편하게 된다. 반대로 팔걸이가 너무 높으면 어깨가 올라가게 되어 장시간 똑바로 앉아 있기가 어렵게 된다. 팔걸이는 고정된 것과 착탈식이 가능한 것이 있고, 접고 펼수 있는 것,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는 것, 책상에서 작업하기 쉽도록 팔걸이의 절반이 턱이 진 것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고정형이 많이 쓰인다.
8) 앞바퀴(Caster)
일반적으로 직경이 작으면서 딱딱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방향회전에 용이하며, 공기타이어로 되어 바퀴가 큰 것은 실외에서 사용하기에 알맞다. 작은 바퀴는 다른 종류로 쉽게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상황에 따라 필요한 종류의 것을 사용하게 되어있다.
9) 브레이크(Break)
브레이크의 경우 추진 브레이크와 고정 브레이크로 구분된다. 휠체어는 주행하는 동안 추진 브레이크를 사용해 제동되어 정지하게 되며, 고정 브레이크는 정지를 위한 순수한 정지 브레이크이다. 브레이크는 손지렛대에 의해 작동되고, 길이는 늘일 수 있다. 대부분의 단순한 브레이크는 추진 바퀴에 곧바로 작동하고 공기가 채워진 타이어에 의해 공기 압력에 의존하게 된다. 뒷바퀴를 고정하여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써 브레이크 레버대가 있어 사용자가 쉽게 잡을 수 있고 주행 중 멈추고자 할 때 힘을 적게 들일 수 있다.
참고문헌
[국내문헌]
1)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장애인을 위한 총체적 기술지원> 1994년도
2) 한국장애인복지체육회, <한국의 장애인 복지용품> 1993년도
3) 김태정, <휠체어디자인을 위한 조사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4년도
[인터넷 참고 문헌]
1) 휠체어의 역사, 휠체어의 재료와 무게
http://dragon.yonsei.ac.kr/~ych0406/main/의자차/html
2) 입욕, 샤워, 화장실 전용 휠체어(자주용)
http://member.nifty.ne.jp/kawamuracycle/nyuuyoku
3) Reclining형, 착탈식, 등받이 각도조절 휠체어(개조형)
http://www.cd-asahi.co.jp/image/rr41-nb.html
4) 전동 자주 혼합형 휠체어
http://wwww.wheel.co.kr/kmain.html
추천자료
장애인들의 매체 이용 실태
장애인복지 - 장애인의 “정보 활용” 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 및 해결방안 (인터넷 정보 활용을...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의 특성 및 지도
시각장애인의 웹접근
유아특수교육에 대한 논의
장애인복지정책
청각장애인적합가능직무개발 및 고용활성화방안
[사회복지A+] 장애인 복지시설의 개념, 종류, 설치 ,운영,문제점과 개선방안 완벽 정리
전략기획론(장애인고용촉진관리공단분석)
지체장애아의 교수방법
[자동차의 구조와 이해] 타이밍벨트에 대한 총체적 조사분석
[정보접근][정보][접근][행동주의][탐색]정보접근의 의의, 정보접근의 행동주의, 정보접근의 ...
정보 통신과 청각 장애
캐즘 마케팅사례[Chasm Marketing Cas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