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태가 있는데, 이 중에서 Linde의 LINPOR공정, Biomaterials 사의 Aqualcel 시스템이 최근에 주목받고 있다. LINPOR 공정은 일반적인 활성슬러지 시스템에서 미생물을 고정화하기 위해 공극이 많은 약 10∼12㎜ 크기의 폴리우레탄 스폰지가 폭기조 안을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게 한 시스템이다. 주요 장점은 반응조의 MLSS와는 별도로 담체 표면에 생물막이 형성되어 처리공정내의 SRT를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고농도의 미생물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처리효율이 높고, 슬러지의 침강성이 좋으며, 유출수의 SS도 일반 활성 슬러지시스템에 비하여 낮다는 점이다. 단점은 아직 소규모의 산업폐수에만 적용사례가 있으며 실증사례가 많지 않다는 점이다. Aquacel 공정은 흡착에 의해 질산화.탈질화 미생물을 고정화시킨 양이온을 갖는 다공성 담체를 이용하는 공법으로, 담체는 Polyethyleneimine(PEI)로 처리하여 이온교환능(Ion Exchang Capacity)이 0.8∼1.3meq/g정도 되도록 만들고 비표면적 3∼7㎡/g, 공극율 97%, 비중 1.05kg-wet/d㎥ 정도이며 정육면체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한다. Aquacel을 작은 입자 형태로 하여 질산화시 요구되는 산소 전달요구량의 문제를 저감시키며 이때 반응조 내에서 매질을 균등하게 혼합시킬 수 있는 혼합설비 및 폭기 설비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펄프제지폐수처리 /조준형/강원대학교 출판부
-최신환경 미생물학 /송홍규,오계현/동화기술
http://www.chungnock.co.kr
http://airlab.wkhc.ac.kr
참고문헌
-펄프제지폐수처리 /조준형/강원대학교 출판부
-최신환경 미생물학 /송홍규,오계현/동화기술
http://www.chungnock.co.kr
http://airlab.wkhc.ac.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