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영화 시민 케인 조사자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영화 시민 케인 조사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영화정보
2. 영화줄거리
3. 작품해설
4. 딥 포커스 (Deep focus) : 전심초점
5. 딥 포커스와 리얼리즘
6. 딥 포커스와 <시민 케인>
7. 오슨 웰즈
8. 새로운 시대정신 구현한 <시민 케인>
9. 영화 내에서의 조명
10. <시민 케인>과 조명

본문내용

다르게 비추고 있다. 예를 들자면 톰슨 기자가 대처 기념관에서 자료를 보려고 하는 장면에서의 조명은 천장을 통해 들어오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고 있지만 그것이 그 방 전체를 비추는 것이 아니라 그가 보려고 하는 자료가 있는 책상만을 비추고 있다. 이러한 조명은 아마도 그것이 이 화면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한 하나의 강조적 효과일 것이다.
케인의 어린 시절을 보여주는 장면에서도 흰눈과 대조적으로 케인은 검은색 옷을 입고 있다. 어쩌면 이것은 그의 미래가 밝지만은 않다는 것은 보여주기 위한 색을 통한 감독의 의도였을지도 모른다. 이야기를 통해 전개되는 케인의 생애는 케인의 젊은 시절의 모습도 보여준다. 케인의 유년기와 개혁의 의지에 불타는 청년시절을 다룬 장면에서는 그의 마치 그의 당당함과 강함을 보여주는 것 같이 조명은 가장 밝게 비춰서 그림자조차 보이지 않게 하는 하이 키의 방법을 썼다. 하지만 그의 젊은 시절이라고 해서 늘 그렇게만 보여주고 있지는 않았다. 그의 얼굴이 잡히는 장면에서는 거의 늘 반은 아주 밝게, 나머지 반은 어둡게 나타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강한 광선을 비교적 작은 지역에 집중시키는 스포트라이트를 사용하면 영상은 밝음과 어두움의 뚜렷한 대조효과를 보이게 할 수 있다. 표현주의 감독들은 심리적이며 주체적인 목적을 위해 이러한 강력한 대조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조명 효과를 통하여 감독이 얻고자 한 것은 시민 케인의 변화를 나타내고자 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는 '인콰이어러'라는 신문사를 인수하면서 사실과는 다른 많은 기사를 싣고 그것을 통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화제를 일으키고 이로 인해 그는 더 많은 돈을 가진 부자가 된다. 또한 그는 이러한 그의 배경으로 대통령의 조카와 결혼을 하게된다. 그가 점점 더 많은 부를 얻게 되면서 그는 점점 더 현실적으로 바뀌게 된다. 즉 그는 무엇이 다른 사람을 위한 것이지를 모른 채 자신의 권력과 명예를 위해 사는 사람이 되어 가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성격의 변화를 감독은 앞에서 말했던 얼굴의 스포트라이트를 통한 조명으로 처리하고 있다. 즉 그의 품위와 타락이라는 케인의 이중적인 성격을 암시하려고 명암대조의 조명을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자면 대처라는 그의 후견인과의 말다툼 장면이라든가 혹은 그가 원칙 선언문을 신문에 싣겠다고 말하는 장면에서 그의 얼굴은 반으로 나뉘어 나타나게 된다. 특히 두 번째 장면의 경우 어쩌면 그의 대조적인 얼굴은 그가 후에는 성격이 정반대로 변할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는 그가 가진 부를 통해서 정치에 입문해 보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주지사 선거에 출마한다. 여기서 하나 생각해보고 넘어가야 할 장면은 케인이 또 다른 후보인 짐 게터스와의 말다툼 장면이다. 이 장면에서 케인의 얼굴에는 어두운 그림자가 보이고 있다. 이것은 앞으로의 그의 날들이 어둡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이것은 곧 그의 정치라는 야망이 어둡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한 조명 효과에 맞춰 케인은 수잔이라는 여자와의 관계가 알려지면서 그의 인기는 추락을 하고 주지사 선거에서의 낙방과 에밀리와의 이별이 있게 된다. 하지만 케인은 여기서 물러서지 않는다. 그는 수잔과 결혼을 하여 수잔을 오페라 가수로 키우는데 모든 정성을 쏟으려 한다. 수잔에게 별다른 재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케인은 그녀를 오페라 스타로 키우려고 하지만 수잔은 자신의 저항을 무시하고 그녀가 당하는 사회적 모욕에는 관심이 없는 케인에 대해 늘 불만을 갖는다.
결국 수잔은 자살을 기도하고 이 자살기도를 계기로 케인은 수잔을 키우는 것에 대해 포기하게 된다. 그리고 “재나두(Zanaeu)”라는 이름의 거대한 저택을 세우고 그 안에서 수잔과 함께 은둔과 같은 생활을 하기에 이른다. 재나두는 천국을 의미한다고 한다. 하지만 조명상으로 이 곳은 절대로 천국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것 같다. 재나두는 늘 어두운 조명으로 일관되고 있다. 마치 끝없는 밤이 계속되고 있는 것 같은 분위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오직 스포트라이트만이 중압적인 어둠 속을 꿰뚫고 다니며, 의자와 소파, 영웅상들이 윤곽만이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지배적인 분위기는 스산하고 비밀에 싸여 있으며 그 어둠 속에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사악함이 담겨 있는 것이다.
이 후 수잔은 재나두에서의 답답한 생활을 몇 년 하다가 결국은 케인에게 반기를 들고 그에게서 등을 돌려 떠나버린다. 마침내 홀로 남은 케인은 재나두의 풍요로움 속에서 생을 마감하게 된다.
우리는 여기서 첨에 제기되었던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톰슨이라는 기자가 그렇게 궁금해 보고자 하는 로즈 버드라는 것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해서. 그것은 마지막 장면에서 나타난다. 불 속으로 던져지는 케인의 어린 시절의 썰매에는 로즈버드라는 글씨와 함께 장미 봉우리가 보인다. 아마도 케인이 마지막으로 남긴 로즈 버드라는 단어는 아마도 그의 어린 시절에 대한 기억과 함께 너무나 변화한 자신에 대한 동정심 등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영화의 지배적인 조명은 매우 어두운 것이다. 대부분의 장면이 로우 키를 사용했으며 하이 키의 사용은 조금밖에 나타나지 않는다. 이것은 이 영화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 영화가 단지 한 신문왕의 부유한 삶을 보여주려는 것이 아니라 그의 생애에 있어서 그의 인간적인 면은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영화를 자세히 봤다면 케인의 얼굴의 조명인 그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케인이 늙어가고 점차 냉소적인 인간으로 변화해 감에 따라 조명은 차츰 더 어두워지고 명암대조는 점점 더 날카로워진다. 이러한 조명은 변화를 통해서 우리는 영화의 전반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그 분위기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사실 이 영화에서 사용된 테크닉들이 새로운 것들은 아니었다. 하지만 전에 있었던 모든 테크닉들을 총집합을 시켰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References
엔키노 (http://www.nkino.com)
Film2.0 (http://www.film2.co.kr)
루이스 자네티 '영화의 이해'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8.13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92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