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 자폐성 아동의 미술치료 사례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였고, 2어문 이상의 간단한 자발어가 나타났으며, 치료자와 웃으면서 인사하며 대화 시 자연스런 눈맞춤이 가능하게 되었다.
3. 지시 따르기에서의 변화
3단계(금지, 제한 뿐 아니라 흥미, 요구 위주의 지시에 따름)에서 4단계(흥미나 요구 뿐 아니라 일반적 지시도 따름)로 향상되었다. 반향어가 감소되면서 치료자의 언어적 지시에 따르게 되었다. 숫자와 글자에 대한 집착적인 학습형태 또한 다양한 재료와 집중적이고 구체적인 미술활동을 통해 감소되었고, 다양한 미술활동 과정에 대한 흥미와 결과물들에 의한 만족도 등이 치료자나 교사의 과제에 대한 지시 따르기 태도에 변화를 가져왔다. 지시에 따른 학습 집중시간이 늘어나고, 언어적 지시에 즉각적인 행동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정리하면, 첫째 미술치료는 자폐성 아동의 다른 아동과의 대인관계를 향상시키고, 둘째 미술치료는 자폐성 아동의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고, 셋째 미술치료는 자폐성 아동의 지시 따르기 행동을 향상시킨다고 할 수 있다.
[총평]
미술을 이용한 치료는 자폐성 아동의 새로운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키며, 자발성을 유도하고, 관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아동의 주변 세계에 대한 인식을 유도하고 의사소통하는 방식이 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변화를 거부하고 같은 패턴을 고집하는 자폐적 행동 특성이 다양한 미술 재료들과 구체적인 활동들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미술활동들의 제시로 자폐성 아동의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고, 이는 긍정적인 교사 지시 따르기 행동이나 적극적인 활동 참여 등으로 연결됨을 알 수 있었다. 미술 재료들에 대한 유연한 활용이 자폐성 아동의 변화에 대한 심한 저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교사의 지시 따르기 행동의 폭이 넓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미술활동은 자폐성 아동의 대인관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자폐성 아동의 심리와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를 통해 자폐성 아동의 의사소통 또한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미술표현은 아동에게 있어 의사소통의 방식이 되며, 내면의 느낌과 인식을 탐구하고 이를 표현하는 학습을 통해 사회적 인식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1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이므로, 추후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준의 보다 많은 자폐성 아동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해야 할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8.23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00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