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기후특색과 주민의 생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청, 사랑방 등이 모두 한 지붕 아래에 배치되는 전자형의 폐쇄 구조가 나타난다. 또 재료로는 구하기 쉬운 너와가 지붕의 주요 재료를 이룬다.
섬 지방들의 경우, 겨울철의 강풍을 이기기 위하여 바람막이와 같은 방풍막을 이용하고 지붕을 엮어 묶는 구조가 나타나고 있다. 이때 이용되는 주된 재료는 억새였다.
3. 계절별 특징
(1) 봄철의 건조한 기후 : 농작물의 파종에 불리, 관서 지방의 진압 농법, 산불 발생
(2) 여름철
① 고온 - 남부 지방의 넓은 대청마루, 모시옷과 삼베옷, 염장법 발달
※ 염장 식품 - 무더운 여름철에 생선이 부패하지 않도록 저장(젓갈)
② 다우 - 나막신, 다목적 댐 건설, 인공제방 축조, 자연제방에 취락입지, 터돋움 집, 피수대 설치
③ 고온다우 - 벼농사에 적합
(3) 가을의 맑은 날씨 : 농작물 결실에 유리
(4) 겨울철
① 저온 - 북서풍을 막아주는 배산 임수의 촌락 입지, 풍부한 일조량을 얻을 수 있는 남향집, 폐쇄적인 가옥 구조(관북 지방의 겹집, 정주간 등), 온돌과 이중문, 솜옷을 지어 입었고, 긴 겨울 동안 야채를 섭취하기 위해 김장을 하였으며, 북서풍에 의한 동해를 예방하기 위해 동서 방향으로 밭이랑을 만들었다.
② 울릉도의 다설 - 우데기 설치
③ 영동지방의 대설 - 동서 교통의 장애
※ 김장 - 추운 겨울철에 채소를 섭취하기 위해 고안된 저장법(북부 : 김장을 일찍함, 간이 싱거움, 남부 : 김치가 짜고 매움)
(5) 기타 : 여름철에 오호츠크해 기단의 세력이 강하면 장마전선의 북상이 지연되어 가뭄발생, 이상 저온 현상으로 냉해 발생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8.26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04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