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토니아스라인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안토니아스라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마를린 고리스 감독

2. 페미니즘(feminism)의 개념 및 발생배경

3. 기존 여성주의 영화와의 차별성 고찰

4. 대를 이은 여성으로서의 주체적 삶

5. 여성주의 감독 마를렌 고리스의 다른 작품들과의 비교

6. 진정한 여성주의, 남성과 여성의 상호이해

7. 페미니즘의 또 다른 이름, 휴머니즘

본문내용

성과의 관계를 은유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결국은 서로가 상호의존적인 존재이면서도 그 상호 의존성을 인정하지 못하고 끊임없이 갈등하지만 결국은 둘은 영화 속에서 하나의 집에 공존하듯 사회라는 집에 공존하는 존재라는 것이다. 믿음이라는 인간이 만들어 낸 틀 속에 갇혀 서로가 서로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지만 결국 둘은 샴쌍둥이 마냥 한 쪽의 부재는 자신의 존재의 근거의 부재가 되어 버리는 그러한 존재인 것이다. 미친 마돈나와 신교도가 목판에 검은 잉크로 찍어낸 삽화라면 안토니아와 바즈의 관계는 똑같은 목판을 푸른 잉크로 찍어낸 삽화이다. 안토니아와 바즈는 서로가 서로에게 필요함을 인정하고 서로에게 필요한 것을 얻으며, 안토니아의 퍼즐에 바즈가 빠진 부분을 채워주 듯 바즈의 퍼즐에 안토니아가 빠진 부분을 채워준다. 결과적으로 이런 이야기의 곁가지가 중첩되어 마린 고리스가 생각하고 있는 여성과 남성과의 관계에 대한 조망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것이 그녀가 그리는 진정한 페미니즘의 길이 아닐까 한다.
한편 안토니아스 라인은 안토니아의 증손녀 사라가 안토니아의 마지막 만찬에 이미 죽은 마을 사람들의 모습을 환각으로 보고, 만찬 뒤 안토니아가 자신의 죽음의 시간을 사라에게 알리며 끝을 맺는다. 환각을 보는 모습은 이미 다니엘이 할머니의 장례식에서 본 모습에서 드러난 바 있는데, 이것은 산 자와 죽은 자를 따로 구분하지 않는, 삶과 죽음이 뒤엉키는 현상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삶과 죽음이 끊임없이 반복되어 일어나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원리이며 자연의 원리이듯이, 남자와 여자가 조화롭게 공존하며 살아가는 것이 우리 삶의 자연스러운 이치이다. 또 우리는 그러한 삶을 사랑하며 사는 것이 마땅하고 말이다.
7. 페미니즘의 또 다른 이름, 휴머니즘
페미니즘의 궁극적인 목표는 남성상위시대를 뒤집어 여성이 남성의 우위에 서는 시대를 여는 것이 아니라 여성과 남성이 동등한 위치에서 조화로운 공존을 이루는 평화적인 시대를 여는 것이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이 많은 여성영화들은 여성이 어떻게 착취당하고 억압받고 있는가를 고발하는가에 바빴고 따라서 남성을 배척하려는 시각에서의 의미만을 전달해 왔다. 물론 여성이 자신이 억압받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시키기 위해서, 그러한 영화를 만든 것일 것이나 궁극적이고도 구체적인 파라다이스를 그려보지는 않아 왔단 얘기다. 그러나 마린 고리스는 이 영화에서 여성의 주체적인 시각에서 가부장적인 폭력구조 속에서 똑같이 상처받고 소외된 남성들을 포용한다. 그러면서 남녀가 그들의 공동체에서 유쾌하게, 조화롭게 사는 모습을 그려냈다. 여러 가지 메시지를 주지만 결코 무겁지 않은, 또 우리가 여성이기에 공감을 주지는 않는, 다시 말해 우리가 한 인간이기에 공감을 주는 이 영화는 그래서 훌륭하며 감동적이다. 페미니즘의 가장 근저에는 휴머니즘이라고 하는 넓은 의미에서의 인류애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는 사실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영화가 아니었나 생각해 본다. 그런 의미에서 이 영화야말로 진정한 의미에서의 페미니즘 영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1,6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8.29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08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