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복지 한부모가족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복지 한부모가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부모가족의 개념
2. 한부모가족의 유형
3. 한부모가족의 현황과 문제
4. 한부모가족을 위한 복지대책
(1) 한부모가족을 위한 정부지원서비스 현황
(2) 한부모가족을 위한 가족복지서비스 문제점 및 대책
5. 한부모가족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6. 한부모가족을 위한 지원서비스 기사
Ⅲ. 결론
* 참고자료

본문내용

건 친권을 인정할 게 아니라 친권 심사제도 등 국가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미 법을 개정해 자녀 권리로도 인정된 면접교섭권도 마찬가지. 면접교섭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비양육친에게 2만5000유로(약 45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명할 수 있게 한 독일처럼 아이에게 주어진 면접교섭권을 올바로 행사할 여건을 마련해 줘야 한다는 주장이다.
황은숙 한부모가정연구소장 "곧게 자라준 아들에게 너무 고마워"
"한부모 어려움 알리고 개선해야 우리 아이들 곧게 성장할 수 있어"
2009.02.15 세계일보
정재영기자
"당신은 멋진 ‘한부모’입니다."
2002년 한부모가정연구소를 개설한 황은숙 소장(사진)에겐 올해 신학대학에 입학한 아들이 있다. 아들은 아버지를 기억하지 못한다. 한 소장은“나 역시 아이가 두 살 때 이혼해 한부모”라며“곧게 자라준 아들에게 너무 고맙다”고 말했다. 아들은 초등학교 때 편부모 가정의 아이라는 따가운 시선을 받았다.“힘들 때도 있었지만 떳떳하게 대처했습니다. 한부모는 아이를 버린 사람이 아니라 키우는 사람인데 죄인처럼 살아가는 사람에게 뭔가 도움을 주고 싶었죠.”황 소장은 육아와 경제활동을 함께할 목적으로 가정교육을 공부하다 주변에서 한부모 가정이라는 사실만으로 움츠리고 사는‘부·모’들을 보고 방향을 틀어 이 분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한부모 가정은 문제 있는 가정이다’,‘한부모가 양육한 아이는 문제아일 가능성이 크다’등 사회적 편견을 깨뜨리고 싶다고 말한다. 그 주체는 역시 한부모 스스로라고 강조한다.
“인생에서 중요한 선택을 했으니 남은 인생에 책임을 지어야죠. 그래야 아이도 삐뚤어지지 않습니다.”
황 소장은 몇 해 전부터 한부모가정에 대한 '반(反)편견'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의도와 달리 “왜 이혼을 부추기느냐”며 항의전화를 받기도 한다. 그럴 때면 답답하다.
“대부분 문제는 이혼 전에 발생해요. 한부모를 도와주면 이혼이 늘어날 것이란 생각은 잘못된 것이죠. 한부모를 지원하는 것 때문에 이혼을 고려하는 부모는 없을 거예요. 아이들을 생각한다면 말이 안 되죠.”
황 소장은 유명인들이 좀 더 떳떳하게 한부모임을 드러내 주기를 원한다.
"‘오픈 운동’이 필요해요. 훌륭한 사람들이 한부모라고 공개하기 시작하면 편견도 조금씩 없어질 테죠.”
이미 오픈 운동에 동참하는 유명인이 늘고 있다. 김선미 전 의원이 잡지 인터뷰에서 단란한 한부모가정임을 공개했고, 방송인 허수경씨도 언론에 이를 공개했다.
아직 갈 길은 멀다. 황 소장은 “국회의원, 의사, 변호사, 교수, 교사 등 사회지도층이나 전문직들 중에 한부모라는 사실을 드러내는 것을 꺼리는 분들이 많다”면서 “최소한 숨기려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부·모가 사회적 편견을 그대로 받아들이면 아이들에게도 그대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일부에선 “좋은 일도 아닌데 굳이 공개할 필요가 있느냐”는 시각도 있다. 황 소장은“아이를 혼자 키우는‘싱글대디’(혼자 아이를 기르는 아빠)에 대한 긍정적인 보도가 잇따른 뒤 주위 따가운 시선이 줄었다”고 밝혔다. 오픈 운동은 미래의 한부모가정을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고 한 소장은 강조했다.
“한부모라는 사실을 숨기려다 보니 권리 주장에도 인색해요. 그래서 한부모 관련법은 20년 동안 그 틀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황 소장을 비롯한 한부모가정 전문가들이 관련법 개정에 심혈을 기울이는 이유다. 2007년 부자가정을 위한 시설인 ‘아담채’가 국내에 처음으로 생겼다. 서울시가 올해 제 2아담채를 만들겠다고 한 것도 모두 이런 노력의 성과다. “우리가 멋지게 살아야 합니다. 먼저 한부모라서 겪는 어려움을 알리고 개선해 나가야죠. 그래야 우리 아이들도 곧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Ⅲ. 결론
한부모가족의 개념, 한부모가족의 유형, 한부모가족의 현황과 문제, 한부모가족을 위한 복지대책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부모가족은 배우자들과 사별 혹은 이별 후 직면하는 여러 가지 문제를 극복해야 하고 그 상황에 적응하고 역할을 재조정해야하는 입장에 처하게 된다. 현대 사회는 한부모가족을 가족 해체의 유형에 포함하고 있는데 한부모가족을 해체 가정으로 보기보다는 가족구성원이 변화된 가정으로 보고 사회적으로 인식개선이 다양한 교육과 언론매개체를 통해 바뀌어야 한다. 경제적, 심리사회적 등으로 한부모가족에게 정말 필요하고 원하고 있는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책과 그 정책에 대한 실천적인 대안이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 참 고 자 료 ━━
김혜경외, 「가족복지론」, 공동체,2009.
조흥식외, 「가족복지학」, 학지사,2008.
서영숙외, 「교사, 아동, 부모를 위한 한부모가정과 이혼 이해교육」, 양서원,2004.
황은숙, 「한부모가정 이해교육, 프로그램개발」, 한국학술정보(주),2007.
<뉴스 동영상>
http://news.sbs.co.kr/section_news/news_read.jsp?news_id=N1000207795
- 한부모가족 양육비 소송 비용 무료지원 관련 뉴스 동영상
http://netv.sbs.co.kr/sbox/sbox_index.jsp?uccid=10000027631
- SBS 그것이 알고 싶다 393회 2006-08-12 '가족을 꿈꾸는 가족들 편'
- 부자가정의 예
http://www.ytn.co.kr/_comm/pop_mov.php?s_mcd=0103&s_hcd=&key=200811260535390636
http://news.naver.com/vod/vod.nhn?mode=LOD&office_id=052&article_id=0000227000
- 부자가정 시설 부족 뉴스 동영상
http://www.ytn.co.kr/_ln/0103_200902182006062048
- 한부모 가족 대학신입생 180명 지원에 관한 동영상
http://netv.sbs.co.kr/sbox/sbox_index.jsp?uccid=10000033415
- 한부모 실태 동영상
<관련 홈페이지>
http://www.hanbumo.org/singleparent/singleparent_2.asp#11
- 한부모가정 연구소
http://www.mw.go.kr
- 보건가족부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9.09.02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11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