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각 시대별 인구변화
- 17세기 출생 및 사망 시기 분석
- 18세기 출생 및 사망
- 19세기 출생 및 사망
- 풍기 진씨 시대별 평균수명
3. 시대별 인구 변화의 종합적인 분석
4. 나가며
2. 각 시대별 인구변화
- 17세기 출생 및 사망 시기 분석
- 18세기 출생 및 사망
- 19세기 출생 및 사망
- 풍기 진씨 시대별 평균수명
3. 시대별 인구 변화의 종합적인 분석
4. 나가며
본문내용
, 63, 65, 61, 65, 61, 66, 65, 63, 65, 66
70대 (9명)
71. 70, 70, 70, 74, 72, 78, 78, 77
80대 이후 (6명)
80, 81, 81, 85, 86, 96
평균수명 : 61.7세
3. 시대별 인구 변화와 족보의 종합적인 분석
이상 풍기 진씨 감사공파와 칠원 윤씨 낭장공파를 중심으로 17~19세기의 인구 변화와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17~19세기 인구 변화에서 보이는 공통적인 특징으로 출생의 경우 대체적으로 가을과 겨울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사망의 경우에는 시대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공통적인 것이 계절상 여름에 해당하는 6~8월에 적다는 것이다.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았을 때 식량이 부족한 봄과 여름에 가장 많이 사망하였을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실제로 풍기 진씨와 칠원 윤씨 족보에서는 위와 같은 현상을 보였다. 물론 앞에서 말한 대로 족보의 여러 가지 특성과 제약으로 인해 정확한 통계라고 볼 수 없는 것은 사실이다.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재보다 과거 수명이 적었다는 것과 더불어 대체적으로 결혼 이전에 사망한 인원은 기록하지 않았다는 조선시대 양반 가문의 족보상의 특성 그리고 유교적 관습에 얽매여 여성의 출생과 사망에 대한 기록이 많이 없다는 것으로 인해 정확하게 앞의 결론을 확실하게 완전하게 믿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족보에는 일부 문제가 있지만 가문의 구성원들에 대한 출생과 사망이 기록되어 다양한 인구현상을 담고 있다. 특히 풍기 진씨와 칠원 윤씨 가문의 족보에 보이는 출생 연도와 사망연도에 관한 기록을 이용하여 당시 양반들의 출생과 사망 그리고 대략적인 인구 동향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4. 나가며
이번 족보를 통한 조선후기 인구변화에 대해 조사하면서 단순한 한 가문의 가계도라는 관념에서 벗어나 여러 가지 사회적 배경을 함유하고 있는 살아있는 역사라는 생각이 들었다. 족보를 통해 당시 시대 특히 이번에 조사한 조선시대 후기의 사회적 배경이 출생과 사망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족보 조사를 통해 느꼈던 것은 먼저, 조선시대는 누구나 알듯이 철저한 유교 사상이 정치를 비롯하여 사회, 문화 등 우리의 생활 전반에 걸쳐 지배하고 있었기 때문에 여성의 지위가 남성보다 낮았으며 이로 인해 여성의 삶 자체가 열악한 환경에 있었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그것은 남성 위주로 기록된 족보의 남성중심적인 경향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족보에서는 많이 기록되지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여성의 사망 시기와 비율이 높았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족보를 보면 볼수록 얼마나 당시 사회가 남성 중심이었는지를 알 수 있는 부분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족보가 얼마나 많은 사회 현상을 담아내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물론 이번 풍기 진씨와 칠원 윤씨 조사에 활용한 족보가 일반백성보다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우월한 위치에 있었다고 판단되는 양반 가문을 중심으로 작성되었다는 것으로 인해 당시 양반을 비롯해서 백성들을 더한 조선시대 호적상의 전체적인 인구와는 다른 결과를 내지 않았다 싶다. 이처럼 결혼까지 생존한 성인남성만을 족보에 기록하였다는 몇 가지 문제점들도 있지만 그래도 족보를 통해 조선시대의 대략적인 인구현상과 풍기 진씨와 칠원 윤씨 두 가문의 인구현상과 특징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 수 있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족 보》
『한글로 살펴본 풍기 진씨 감사공파』 (자료 출처 : 국회도서관)
『칠원 윤씨 낭장공파』 (자료 출처 : 정독도서관)
《참고 논문》
박희진, 「조선의 인구」『古文書硏究』28호, 2006.
70대 (9명)
71. 70, 70, 70, 74, 72, 78, 78, 77
80대 이후 (6명)
80, 81, 81, 85, 86, 96
평균수명 : 61.7세
3. 시대별 인구 변화와 족보의 종합적인 분석
이상 풍기 진씨 감사공파와 칠원 윤씨 낭장공파를 중심으로 17~19세기의 인구 변화와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17~19세기 인구 변화에서 보이는 공통적인 특징으로 출생의 경우 대체적으로 가을과 겨울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사망의 경우에는 시대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공통적인 것이 계절상 여름에 해당하는 6~8월에 적다는 것이다.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았을 때 식량이 부족한 봄과 여름에 가장 많이 사망하였을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실제로 풍기 진씨와 칠원 윤씨 족보에서는 위와 같은 현상을 보였다. 물론 앞에서 말한 대로 족보의 여러 가지 특성과 제약으로 인해 정확한 통계라고 볼 수 없는 것은 사실이다.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재보다 과거 수명이 적었다는 것과 더불어 대체적으로 결혼 이전에 사망한 인원은 기록하지 않았다는 조선시대 양반 가문의 족보상의 특성 그리고 유교적 관습에 얽매여 여성의 출생과 사망에 대한 기록이 많이 없다는 것으로 인해 정확하게 앞의 결론을 확실하게 완전하게 믿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족보에는 일부 문제가 있지만 가문의 구성원들에 대한 출생과 사망이 기록되어 다양한 인구현상을 담고 있다. 특히 풍기 진씨와 칠원 윤씨 가문의 족보에 보이는 출생 연도와 사망연도에 관한 기록을 이용하여 당시 양반들의 출생과 사망 그리고 대략적인 인구 동향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4. 나가며
이번 족보를 통한 조선후기 인구변화에 대해 조사하면서 단순한 한 가문의 가계도라는 관념에서 벗어나 여러 가지 사회적 배경을 함유하고 있는 살아있는 역사라는 생각이 들었다. 족보를 통해 당시 시대 특히 이번에 조사한 조선시대 후기의 사회적 배경이 출생과 사망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족보 조사를 통해 느꼈던 것은 먼저, 조선시대는 누구나 알듯이 철저한 유교 사상이 정치를 비롯하여 사회, 문화 등 우리의 생활 전반에 걸쳐 지배하고 있었기 때문에 여성의 지위가 남성보다 낮았으며 이로 인해 여성의 삶 자체가 열악한 환경에 있었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그것은 남성 위주로 기록된 족보의 남성중심적인 경향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족보에서는 많이 기록되지 않았지만 상대적으로 여성의 사망 시기와 비율이 높았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족보를 보면 볼수록 얼마나 당시 사회가 남성 중심이었는지를 알 수 있는 부분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족보가 얼마나 많은 사회 현상을 담아내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물론 이번 풍기 진씨와 칠원 윤씨 조사에 활용한 족보가 일반백성보다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우월한 위치에 있었다고 판단되는 양반 가문을 중심으로 작성되었다는 것으로 인해 당시 양반을 비롯해서 백성들을 더한 조선시대 호적상의 전체적인 인구와는 다른 결과를 내지 않았다 싶다. 이처럼 결혼까지 생존한 성인남성만을 족보에 기록하였다는 몇 가지 문제점들도 있지만 그래도 족보를 통해 조선시대의 대략적인 인구현상과 풍기 진씨와 칠원 윤씨 두 가문의 인구현상과 특징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 수 있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족 보》
『한글로 살펴본 풍기 진씨 감사공파』 (자료 출처 : 국회도서관)
『칠원 윤씨 낭장공파』 (자료 출처 : 정독도서관)
《참고 논문》
박희진, 「조선의 인구」『古文書硏究』28호, 2006.
키워드
추천자료
기후변화 위기의 도래와 극복방안 논의
국제무역환경변화와 한국의 대응전략
[농업][농업 정의][농업 기원][농업의 중요성][농업의 현황][농업의 여건변화][농업의 기능][...
A+생산환경변화에따른 당면과제
기후변화란 어떤 현상이며 한국사회의 사회문제로 보아야 할 이유는 무엇인지를 논한 이후에,...
보건복지부의 Vision과 Assignment,조직변화 변수,조직변화
기후변화협약의 의미와 파급 효과
[미래기술, 미래기술과 사회변화, 미래기술과 생물공학, 열공학, 신소재공업, 건설기술]미래...
[가족][가족 정의][가족 기능][가족 형태][가족 변화][가족 조직][가족 역할][가족 구조화]가...
[광고론] 시대별 아파트 TV광고의 변천사 - 국내 시대별 주거형태의 변화 및 이에따른 광고형...
[가족관계] 현대사회에 있어 가족의 의미와 특성, 가족의 변화 양상에 대해 서술하시오 - 가...
[보고서 작성 수업]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달라진 미래 지구촌의 모습 - 미래의 지구촌은 기후...
[일본학과 공통] 인류는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인지, 자신의 견해를 A4용지 5장...
호주제 폐지가 가족에 가져온 변화,호주제의 정의,우리나라 호주제도의 변화,호주제 폐지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