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증과 정신병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신경증과 정신병의 정의

2. 신경증 증상의 형성

3. 정신병 증상의 형성

4. 모든 종류의 정신병을 야기케 하는 공통요인

본문내용

다. 성숙한 자아-초자아체계의 대부분이 원시 화되며 그 결과 타인과의 현실적 상호작용, 대인간에서 일어나는 사건에 대한 현실적 접근, 심지어 무생물적 사건에 대한 접근도 다 비현실적으로 된다.
④ 유아갈등의 재상과 억압된 것의 재기 : 정신병 환자는 그때까지 살아오는 동안 유아갈 등의 분출에 대해서 계속 방어를 하여왔다. 정신병의 퇴행은 부분적이 아니라 전면적이 기 때문에 또한 재생된 고착지점이 신경증보다 더 원시적이기 때문에 정신병의 경험과 행동은 더 원시적이다. 원시적 충동적 자아가 나타나서 그 행동이 예측 불가능하게 되 고 이해 곤란하게 되거나 또는 원시적 초자아가 나타나게 된다. 정신병에서는 재기하는 억압된 소재가 보다 원시적이며 되돌아간 자아-초자아 체계가 더욱 혼돈적이다.
⑤ 방어적 변형과 이차적 수정 : 정신병환자는 원시적 방어 예컨대 다량의 투사, 내사 및 부정을 불가피하게 사용하도록 강요된다. 정신병환자는 신경증환자가 가지는 보다 짜임 새 있는 신경증 타협의 이점이 없다. 잔존하는 자아-초자아체계에 인과과정소재가 침투 해 들어가는 동안 일어나는 이차적 수정의 산물을 보면 매우 원시적이며 각성시현실이 라기 보다는 하나의 현재몽과 같다.
⑥ 정신병 증상의 최종적 출현 : 정신병 증상으로서 종국적으로 출현하는 증상은 신경증의 경우보다 적나라한 충동, 순화되지 않은 원시적 초자아, 유아공상에 훨씬 가깝다. 정신 병증상은 다종다양하며 복잡하다. 신경증과는 달리 정신병에서는 대상관계, 자기존중, 자기보호기제가 심히 파괴되는 수가 흔히 있다. 정신병 증상은 신경증 증상보다 이해하 기 어려울 때가 많다.
4. 모든 종류의 정신병을 야기케 하는 공통요인
1) 주된 충족원천의 상실 또는 상실의 위험
이는 사망, 유기, 환멸의 결과로 일어난다. 또는 무관심에서 올 수도 있고 자위를 상실했거나 건강이 나빠져서 일어날 수도 있다. 이 같은 상실은 그 사람의 정서적 분출구를 감소시키거나 제거시킨다.
2) 기본안정의 상실 또는 상실의 위험
이 상태는 인생에서의 어떤 시패, 지위의 저하, 경제성의 손실, 새로운 요구에서 오는 압력 등에 기인한다. 이 같은 요인은 그 사람의 정서적 지지를 감소시키거나 제거시킨다.
3) 성충동이나 공격충동의 증가
성충동이나 공격충동이 증가했는데도 적절한 발산이 기능하지 않으면 이 또한 정신병을 야기케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발산할 기회가 있을 때 자신의 통제하지 못하는 행동이 나타날 경우도 정신병 야기의 한 원인이 된다.
4) 무의식적 선의식적 의식적 죄책
죄책의 급격한 증가는 성적 충동이나 공격충동의 출현으로 그 결과 과도한 초자아의 반응이나 초자아의 퇴행적 선구적 원형의 과도한 반응이 야기되는 경우 나타난다. 또한 비난당했다던가, 금지된 망상을 갖었다던가, 금지된 현실경험을 한 경우도 죄책이 갑자기 일어날 수 있다.
5) 방어조직의 일반적 효율성의 저하
방어기능이 저하되는 경우란 심한 “스트레스”나 충격, 신체적 정신적 과로, 심한 신체병, 사고, 주종, 두되손상이나 대뇌피질의 퇴화 등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9.07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13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