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I(공통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의 개념과 특징, CGI(공통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의 동작원리와 실행순서, CGI(공통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의 헤더와 에러대처법, CGI(공통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의 적용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GI(공통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의 개념과 특징, CGI(공통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의 동작원리와 실행순서, CGI(공통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의 헤더와 에러대처법, CGI(공통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의 적용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CGI(공통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의 개념

Ⅲ. CGI(공통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의 특징

Ⅳ. CGI(공통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의 동작원리

Ⅴ. CGI(공통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의 실행순서
1. CGI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2. CGI를 사용하는 경우

Ⅵ. CGI(공통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의 헤더
1. 요청헤더(request header)
2. 요청 방법(인자 전달 방식) -- 3 가지
1) GET
2) POST
3) HEAD
3. MIME header(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
4. 응답 헤더(response header)

Ⅶ. CGI(공통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의 에러대처법

Ⅷ. CGI(공통게이트웨이인터페이스)의 적용
1. CGI 파일의 수정
2. Perl 경로의 수정
3. 절대경로와 상대경로
4. CGI 디렉토리의 확인
5. CGI파일의 전송
6. 퍼미션의 수정
7. 실행
8. 관리자 모드
9. 생성된 보드의 링크

참고문헌

본문내용

프로그램이 설치될 서버의 환경이 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대부분 수정 내용은 config.cgi 파일에 들어 있다.
2. Perl 경로의 수정
대부분 Perl의 경로는 ‘#!/usr/bin/perl’이나 서버에 설치된 Perl 경로를 정확히 알아야 CGI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Perl 경로를 잘 모를 때는 Telnet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whereis perl 엔터\" 혹은 \"which perl 엔터\"하면 Perl경로가 표시된다.
3. 절대경로와 상대경로
CGI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CGI 프로그램에 있는 절대 경로와 상대경로를 정확히 해주어야 한다. 또한 절대경로와 URL을 혼동해서도 안된다.
URL : \'http://www.technote.co.kr/~abcd\'와 같이 웹부라우저에서의 호출경로(프로토콜 주소)를 말한다.
절대경로(PATH) : 컴퓨터(서버)에서의 물리적 경로를 말하며 유닉스계열은 \'/usr/home/abcd/cgi-bin/.../...\'와 같이 표기해야 한다.
상대경로 : 현 위치에서의 상대적인 경로를 의미하며 \'.\'는 현재 디렉토리를 의미하고 \'..\'는 한단계 상위 디렉토리를 의미한다.
4. CGI 디렉토리의 확인
서버의 \'cgi-bin\' 디렉토리가 CGI 실행 전용 디렉토리로 지정되어 있다면 ‘images’ 저장 디렉토리만 ‘cgi-bin’ 이외의 경로에 위치시켜 주고 CGI프로그램에서 해당 디렉토리의 url을 대입해주면 된다.
5. CGI파일의 전송
FTP를 사용하여 수정된 CGI 파일을 웹 서버에 전송한다. 이때 CGI프로그램은 반드시 아스키 모드로 전송하여야 한다.
6. 퍼미션의 수정
Telnet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CGI 보드가 요구하는 퍼미션으로 수정해 주어야 한다.
처음 사용자와 유닉스 계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FTP에서 수정해 주어도 된다.
7. 실행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여 CGI 파일을 차례로 불러 본다. 어떤 CGI 프로그램들은 아무런 반응이 없을 수도 있다. 만약 internal server error! 메시지가 출력된다면 Perl 경로가 틀리거나, 아스키 모드로 전송하지 않았거나, 퍼미션 지정이 잘못된 경우이다.
8. 관리자 모드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출력된다. CGI 보드에 따라 약간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이 보드의 생성과 삭제 등 관리를 위한 Tool들이 내장되어 있다.
9. 생성된 보드의 링크
관리자 메뉴에서 생성된 보드의 경로를 찾아 홈페이지에 링크하면 된다. 물론 게시판의 구성은 보드에 따라 개별 게시판에서 그 게시판의 사용목적에 알맞도록 수정하는 경우도 있고 관리자 메뉴에서 수정하는 경우도 있다.
CGI 보드는 게시판, 방명록, 자료실과 같이 웹상에 일반적인 게시판류의 기능에서부터 메일링, ID등록회원관리, 설문투표, 통계, 평가점수 넣기, 각종입력양식, 비공개게시판, 폼 양식 자동생성 등 전문화된 기능까지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참고문헌
신익환·이강혁 - 할수있다! 웹프로그래밍을 위한 ASP 기본+활용 쉽게 배우기, 서울 : 영진.com, 2001
이준호 - perl5로 배우는 CGI프로그래밍, 인포북
오기열 - 인터넷을 통한 협동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청원 :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원유현 - 프로그래밍언어, 정익사, 1997
정영이 - Tech Note 공개 CGI로 만드는 멋진 홈페이지, 서울 : 한컴프레스, 2001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ICT 활용 교수·학습 설계,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4
Robert W.Sebesta, 유원희·하상호 - 프로그래밍 언어론, 홍릉과학출판사, 2004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9.0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17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