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프레즌스(프레젠스)의 정의
Ⅲ. 프레즌스(프레젠스)의 유래
Ⅳ. 프레즌스(프레젠스)의 속성
Ⅴ. 프레즌스(프레젠스)의 연구 전망
Ⅵ. 결론
참고문헌
Ⅱ. 프레즌스(프레젠스)의 정의
Ⅲ. 프레즌스(프레젠스)의 유래
Ⅳ. 프레즌스(프레젠스)의 속성
Ⅴ. 프레즌스(프레젠스)의 연구 전망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iocca). 그밖에도 미디어에 대한 심리적 탈감(脫感)과 같은 부작용으로 보고되었다(Rothbaum, Hodges, Kooper, Opdyke, Williford, & North). 이런 탈감 작용은 고소공포증을 지닌 사람들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미디어의 폭력과 성적 내용에 대한 탈감(Fenigstein & Heyduc, 1984; Zillman & Bryant, 1982)도 프레젠스에 의해서 더 빨리 촉진되거나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기존의 연구영역은 HDTV의 프레젠스와 관련하여 새롭게 접근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젠스는 컴퓨터의 가상환경연구에서 중요한 연구개념이었으나, 이제는 HDTV의 중요한 개념이 되었다.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HDTV의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제작과 시청환경은 앞으로 프레젠스에 대한 새로운 생각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둘째, 디지털 HDTV의 매개된 가상환경에서도 가상적인 분신 또는 아바타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데 있어서 프레젠스는 중요한 개념이다(Maes, 1994; Turkle, 1995). 셋째, 최근 다수의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컴퓨터 게임의 성장은 사용자들이 상호작용을 크게 선호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Heeter). 이와 같은 선호 경향은 거의 모든 미디어 제품에 적용되는 현상이기 때문에(Reeves & Nass), HDTV의 사용자들도 앞으로 더 높은 프레젠스를 요구할 것이다. 끝으로 프레젠스는 판매를 높이는데도 효과적이다(Moon). 따라서 앞으로 안방극장을 점령할 디지털 HDTV는 프레젠스 미디어로써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영역이다.
Ⅵ. 결론
방송의 디지털화와 다채널화, 융합서비스화는 필연적으로 콘텐츠 시장의 경쟁을 촉진하게 되고, 특정 미디어나 채널의 영향력을 분산시키게 되어 방송시장은 서비스 차별화가 경쟁력 보유의 기본적인 요건이 될 것이다. 즉 텔레비전의 디지털화는 단순한 화질과 음질의 향상만이 아니라 TV 산업 전반과 수용자들의 TV시청행위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그 동안 대중매체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던 텔레비전이 인터넷 등과 같은 수용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줄 새로운 매체의 출현에 대응하기 위하여 필연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정기(2004), 한국 시청자의 텔레비젼 이용과 효과 연구, 서울 : 커뮤니케이션 북스
김태용(2000), 텔레프레즌스 : 개념연구와 연구의의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연구
김태용(2003), 텔레프레즌스 경험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김영용(2003), HDTV: 프레젠스 미디어의 해석, 커뮤니케이션북스
문찬영(2004), HDTV 프로덕션 프로세스의 비선형적(Non-linear) 특성에 관한 연구, 사경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화진(2000), 지상파 방송사의 DTV 운영과 편성전략, 방송연구, 2000년 겨울호,
이옥기(2005), HDTV 사실성이 프레즌스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 박사논문
이 밖에도 기존의 연구영역은 HDTV의 프레젠스와 관련하여 새롭게 접근될 수 있을 것이다. 프레젠스는 컴퓨터의 가상환경연구에서 중요한 연구개념이었으나, 이제는 HDTV의 중요한 개념이 되었다.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HDTV의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제작과 시청환경은 앞으로 프레젠스에 대한 새로운 생각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둘째, 디지털 HDTV의 매개된 가상환경에서도 가상적인 분신 또는 아바타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데 있어서 프레젠스는 중요한 개념이다(Maes, 1994; Turkle, 1995). 셋째, 최근 다수의 사람이 함께 사용하는 컴퓨터 게임의 성장은 사용자들이 상호작용을 크게 선호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Heeter). 이와 같은 선호 경향은 거의 모든 미디어 제품에 적용되는 현상이기 때문에(Reeves & Nass), HDTV의 사용자들도 앞으로 더 높은 프레젠스를 요구할 것이다. 끝으로 프레젠스는 판매를 높이는데도 효과적이다(Moon). 따라서 앞으로 안방극장을 점령할 디지털 HDTV는 프레젠스 미디어로써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영역이다.
Ⅵ. 결론
방송의 디지털화와 다채널화, 융합서비스화는 필연적으로 콘텐츠 시장의 경쟁을 촉진하게 되고, 특정 미디어나 채널의 영향력을 분산시키게 되어 방송시장은 서비스 차별화가 경쟁력 보유의 기본적인 요건이 될 것이다. 즉 텔레비전의 디지털화는 단순한 화질과 음질의 향상만이 아니라 TV 산업 전반과 수용자들의 TV시청행위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그 동안 대중매체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던 텔레비전이 인터넷 등과 같은 수용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줄 새로운 매체의 출현에 대응하기 위하여 필연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정기(2004), 한국 시청자의 텔레비젼 이용과 효과 연구, 서울 : 커뮤니케이션 북스
김태용(2000), 텔레프레즌스 : 개념연구와 연구의의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연구
김태용(2003), 텔레프레즌스 경험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김영용(2003), HDTV: 프레젠스 미디어의 해석, 커뮤니케이션북스
문찬영(2004), HDTV 프로덕션 프로세스의 비선형적(Non-linear) 특성에 관한 연구, 사경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화진(2000), 지상파 방송사의 DTV 운영과 편성전략, 방송연구, 2000년 겨울호,
이옥기(2005), HDTV 사실성이 프레즌스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 박사논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