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만과정 중 발생하는 통증과 관련된
불안
1. 산모는 분만 중 통증이 감소할 것이다.
2. 산모는 불안을이 완화될 것이다.
1. 산모의 활력징후와 태아의 심음을 monitor한다.
2. 산모와 배우자에게 분만진행상태를 알려준다.
3. 산모를 지지할 수 있는 사람을 간호에 참여시킨다.
4. 분만 과정의 절차와 사용되는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5. 분만중의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epidural anesthesia를 하고, PCA를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6.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체위변경을 시행한다.
7. 자주 긍정적으로 격려한다.
1. 산모의 활력징후와 태아의 심음을 monitor했다.
2. 산모에게 내진 후 결과를 알려주었다. (by.RN)
3. 산모의 어머니와 남편분이 오셔서 산모의 불안감을 덜어주었다.
4. 개대는 10cm/ 거상은 100%/ 아두가 4cm이상 보일 때 분만실로 가서 분만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5. epidural anesthesia를 시행하고 PCA사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by, RN)
6. 산모가 통증을 호소할 때 lateral position을 하는 것을 도와주었다. (by, SN)
7. 산모에게 통증을 잘 참고, 호흡을 잘 하고 있다고 격려했다.
대상자는 통증이 감소하였고, 안절부절하는 모습이 완화되었다.
그러므로 목표달성되었다.
분만 1기 : 분만과정 중 발생하는 통증과 관련된 불안
분만 2기 : 자궁수축과 태아하강과 관련된 통증
Sign and symptom (Subjective and Objective Data)
Nursing Diagnosis
Expected Outcome
(Client Goal)
Planning
(scientific rational)
Implementation
Evaluation
Subjective data
“너무 아파요.”
“밑이 너무 아파요”
“아~악”
Objective data
-식은 땀
-station : 0 4
-경관개대 : 10cm
-경관소실 :100%
-interval 2분
duration 40초
intensity: +++
-얼굴 찡그리고 계심
자궁수축과 태아하강과 관련된
통증
대상자는 통증이 감소할 것이다.
1. 자궁수축의 간격, 빈도, 강도를 사정한다.
2. 호흡조절법을 사용하도록 한다.
3. 상체를 30정도 올리고 양손을 무릎 밑으로 넣고 힘을 주게 한다.
(밑으로 힘을 주는데 효과적이다.)
4. 분만과정에 대해 산모에게 알려줌으로써 고통에 대한 인식을 수정한다.
5. 손바닥으로 복부를 마사지 하도록 한다.
(복부근육과 이완을 증진하고, 복강의 크기를 증가시켜 자궁과 복벽사이의 마찰과 불편감을 완화 시킨다.)
6. PCA line이 막히지 않고 주입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1. 자궁수축의 빈도, 간격, 강도를 사정했다.
AM
11:15
AM
11:30
AM
12:00
간격
2'
2'
2'
기간
40"
40"
40"
강도
strong
strong
strong
2. 수축기 동안 호흡하기 힘들기 때문에 한 번 숨을 크게 들이 마쉬고 힘을 주도록 한 뒤, 자궁수축이 끝날 때를 산모에게 알려 편안한 자세로 이완하게 했다. (by.RN)
3-1. 상체는 30정도 올리고 양손은 무릎 밑에 넣어 잡고 힘을 주게 했다.
3-2. 힘을 줄 때는 골반 출구를 넓혀주기 위해 대퇴를 벌려주고, 이완기에는 산모의 다리를 주물러 이완을 도왔다. (by. SN)
4. 분만과정에 대해 산모에게 알려줌으로써 고통에 대한 인식을 수정했다.
-태아가 골반을 통과하여 산도까
지 이동하는 과정과 산모가 어떻
게 하면 아래로 하강하는 아이를
도와줄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하
였다. 산모의 통증을 인정하고 산
모가 잘 참아낼 때는 격려해 주
었다.
5. 손바닥으로 복부를 부드럽게 마사지 했다.
6. PCA가 제대로 주입되고 있는지 확인했다.
대상자는 분만중 통증을 감소시키는 방법들을 잘 수행하였고, 지속적인 통증이 있긴 했지만 감소하였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목표달성 되었다
분만 4기 : 회음절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Sign and symptom (Subjective and Objective Data)
Nursing Diagnosis
Expected Outcome
(Client Goal)
Planning
(scientific rational)
Implementation
Evaluation
Subjective data
“절개부위가 아프고 쓰려요 ”
Objective data
-패드에 붉은 분비물이 3/2정도 차있다.
-분만중 medio-lateral episiotomy 시행.
-보통 회음절개술보다 조금더 많이 절개했다고 간호사 선생님이 말씀하심
-절개부위 약 10cm
회음절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대상자의 회음부 에 감염증상이 없을 것이다.
1.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감염시에 체온, 맥박, 호흡수, 혈압이 상승한다.)
2. 회음절개부위, 회음부의 발적, 반상출혈, 부종, 분비물등을 관찰한다.
3. 회음절개술, 회음부 열상 또는 부종을 완화하기 위해 얼음찜질을 한다.
4. 대상자에게 간호를 제공할 때 내과적 무균술을 준수한다.
5. 분만 24시간 후 회음부 치유를 돕기 위해 하루에 2-3회 좌욕을 하도록한다.
(좌욕은 부종과 통증을 경감시키며 회음절개 부위의 순환을 증진하여 부종을 완화하여 회복을 빠르게 한다.)
6. 가능한 시기에 산모에게 스스로 회음부 간호를 하도록 교육한다.
분만
직후
15분 후
1시간후
혈압
120/80
120/70
120/70
맥박/호흡
82/24
80/24
82/22
1. 분만 후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2. vital을 check할 때 마다 회음절개부위와 pad의 분비물을 관찰했다.
3. 분만 후 첫 1시간동안 얼음짐질을 했다.
4. 간호 제공시에 내과적 무균술을 준수했다. (by, RN)
5. 분만 24시간 후 회음부 불편감을 덜어주기 위해 하루에 2~3회의 좌욕을 하도록 했다.
6. 배뇨와 배변 후 패드 교환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패드 교환 시 앞에서 뒤쪽으로 빼며 패드의 안쪽을 만지지 않도록 했다.
대상자의 회음 절개부위는 감염증상이 없이 clear하게 유지되었으므로 목표 달성 되었다.
불안
1. 산모는 분만 중 통증이 감소할 것이다.
2. 산모는 불안을이 완화될 것이다.
1. 산모의 활력징후와 태아의 심음을 monitor한다.
2. 산모와 배우자에게 분만진행상태를 알려준다.
3. 산모를 지지할 수 있는 사람을 간호에 참여시킨다.
4. 분만 과정의 절차와 사용되는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5. 분만중의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epidural anesthesia를 하고, PCA를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6.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체위변경을 시행한다.
7. 자주 긍정적으로 격려한다.
1. 산모의 활력징후와 태아의 심음을 monitor했다.
2. 산모에게 내진 후 결과를 알려주었다. (by.RN)
3. 산모의 어머니와 남편분이 오셔서 산모의 불안감을 덜어주었다.
4. 개대는 10cm/ 거상은 100%/ 아두가 4cm이상 보일 때 분만실로 가서 분만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5. epidural anesthesia를 시행하고 PCA사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by, RN)
6. 산모가 통증을 호소할 때 lateral position을 하는 것을 도와주었다. (by, SN)
7. 산모에게 통증을 잘 참고, 호흡을 잘 하고 있다고 격려했다.
대상자는 통증이 감소하였고, 안절부절하는 모습이 완화되었다.
그러므로 목표달성되었다.
분만 1기 : 분만과정 중 발생하는 통증과 관련된 불안
분만 2기 : 자궁수축과 태아하강과 관련된 통증
Sign and symptom (Subjective and Objective Data)
Nursing Diagnosis
Expected Outcome
(Client Goal)
Planning
(scientific rational)
Implementation
Evaluation
Subjective data
“너무 아파요.”
“밑이 너무 아파요”
“아~악”
Objective data
-식은 땀
-station : 0 4
-경관개대 : 10cm
-경관소실 :100%
-interval 2분
duration 40초
intensity: +++
-얼굴 찡그리고 계심
자궁수축과 태아하강과 관련된
통증
대상자는 통증이 감소할 것이다.
1. 자궁수축의 간격, 빈도, 강도를 사정한다.
2. 호흡조절법을 사용하도록 한다.
3. 상체를 30정도 올리고 양손을 무릎 밑으로 넣고 힘을 주게 한다.
(밑으로 힘을 주는데 효과적이다.)
4. 분만과정에 대해 산모에게 알려줌으로써 고통에 대한 인식을 수정한다.
5. 손바닥으로 복부를 마사지 하도록 한다.
(복부근육과 이완을 증진하고, 복강의 크기를 증가시켜 자궁과 복벽사이의 마찰과 불편감을 완화 시킨다.)
6. PCA line이 막히지 않고 주입되고 있는지 확인한다.
1. 자궁수축의 빈도, 간격, 강도를 사정했다.
AM
11:15
AM
11:30
AM
12:00
간격
2'
2'
2'
기간
40"
40"
40"
강도
strong
strong
strong
2. 수축기 동안 호흡하기 힘들기 때문에 한 번 숨을 크게 들이 마쉬고 힘을 주도록 한 뒤, 자궁수축이 끝날 때를 산모에게 알려 편안한 자세로 이완하게 했다. (by.RN)
3-1. 상체는 30정도 올리고 양손은 무릎 밑에 넣어 잡고 힘을 주게 했다.
3-2. 힘을 줄 때는 골반 출구를 넓혀주기 위해 대퇴를 벌려주고, 이완기에는 산모의 다리를 주물러 이완을 도왔다. (by. SN)
4. 분만과정에 대해 산모에게 알려줌으로써 고통에 대한 인식을 수정했다.
-태아가 골반을 통과하여 산도까
지 이동하는 과정과 산모가 어떻
게 하면 아래로 하강하는 아이를
도와줄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하
였다. 산모의 통증을 인정하고 산
모가 잘 참아낼 때는 격려해 주
었다.
5. 손바닥으로 복부를 부드럽게 마사지 했다.
6. PCA가 제대로 주입되고 있는지 확인했다.
대상자는 분만중 통증을 감소시키는 방법들을 잘 수행하였고, 지속적인 통증이 있긴 했지만 감소하였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목표달성 되었다
분만 4기 : 회음절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Sign and symptom (Subjective and Objective Data)
Nursing Diagnosis
Expected Outcome
(Client Goal)
Planning
(scientific rational)
Implementation
Evaluation
Subjective data
“절개부위가 아프고 쓰려요 ”
Objective data
-패드에 붉은 분비물이 3/2정도 차있다.
-분만중 medio-lateral episiotomy 시행.
-보통 회음절개술보다 조금더 많이 절개했다고 간호사 선생님이 말씀하심
-절개부위 약 10cm
회음절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대상자의 회음부 에 감염증상이 없을 것이다.
1.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감염시에 체온, 맥박, 호흡수, 혈압이 상승한다.)
2. 회음절개부위, 회음부의 발적, 반상출혈, 부종, 분비물등을 관찰한다.
3. 회음절개술, 회음부 열상 또는 부종을 완화하기 위해 얼음찜질을 한다.
4. 대상자에게 간호를 제공할 때 내과적 무균술을 준수한다.
5. 분만 24시간 후 회음부 치유를 돕기 위해 하루에 2-3회 좌욕을 하도록한다.
(좌욕은 부종과 통증을 경감시키며 회음절개 부위의 순환을 증진하여 부종을 완화하여 회복을 빠르게 한다.)
6. 가능한 시기에 산모에게 스스로 회음부 간호를 하도록 교육한다.
분만
직후
15분 후
1시간후
혈압
120/80
120/70
120/70
맥박/호흡
82/24
80/24
82/22
1. 분만 후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2. vital을 check할 때 마다 회음절개부위와 pad의 분비물을 관찰했다.
3. 분만 후 첫 1시간동안 얼음짐질을 했다.
4. 간호 제공시에 내과적 무균술을 준수했다. (by, RN)
5. 분만 24시간 후 회음부 불편감을 덜어주기 위해 하루에 2~3회의 좌욕을 하도록 했다.
6. 배뇨와 배변 후 패드 교환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패드 교환 시 앞에서 뒤쪽으로 빼며 패드의 안쪽을 만지지 않도록 했다.
대상자의 회음 절개부위는 감염증상이 없이 clear하게 유지되었으므로 목표 달성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