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꼬르뷔제와 근대건축5원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르꼬르뷔제와 근대건축5원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근대건축의 5원칙

2. 본론
[도미노 주택 계획안 Domino house 1914]

1. 필로티 (le pilotis)
2. 옥상정원 (le toit jardin)
3. 자유로운 평면(le plan libre)
4. 자유로운 파사드 (la facade libre)
5. 골조와 벽의 기능적 독립, 평면의 자유 (le plan libre)

3. 결론

본문내용

. 자유로운 파사드 (la facade libre)
도미노 구조의 당연한 귀결이다. 기둥은 건물 표면보다 후퇴시켜 세워지며 바닥 면은 기둥 외부로 돌출하여 나간다. 외벽의 형상은 자유롭다. 창은 중간에서 끊어지는 일없이 끝까지 이어질 수 있다.
중력과 자재의 한계에서 자유로워진 벽 체계는 이제 거리낌없이 사용자의 동선, 시야, 채광 등 모든 것을 제어하기에 용이해진다. 소위 말하는 ‘자유곡선벽‘이다. 위에서 이미 언급한 자유로운 평면구조 때문에 자유로운 입면 구성의 시작점이 된다. 외측 기둥에서 떨어져서 바닥판이 외부로 돌출되면 외벽은 구조를 떠나서 자유로워진다. 그렇게 되면 그전에는 상상도 하지 못했던, 가로로 긴 수평 띠창을 가능하게 한다. (5번째 근대건축원칙)
자유로운 입면의 건축원리는 독립되어 구상된 원리라기보다는 이상의 네 가지 원리의 준수에 뒤따르는 조형상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르꼬르뷔제의 입면이란 회화의 화면과 마찬가지로 항상 개구부와 비개구부로 질서가 부여되어야 하는 면으로 인식된다.
롱샹교회의 자유로운 입면 사진 롱샹교회의 단면도 및 스케치
롱샹 교회의 자유로운 입면 사진
5. 골조와 벽의 기능적 독립, 평면의 자유 (le plan libre)
외벽뿐만 아니라 내부 칸막이벽에 있어서도 골조와 벽이 기능적으로 독립되게 만들어 졌다.
내벽의 위치가 완전히 자유로워지는 이점을 활용할 수 있다. 각층 상호간의 독립성을 가능케 하는 평면의 융통성 있는 계획을 성취할 수 있다.
르꼬르뷔제가 제안한 도미노 시스템은 입면의 폭 안에서 창의 가로폭은 무제한으로 확정될 수 있다는 특성을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모든 실내공간을 한결같이 조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트로앙주택 이나 바이센호프주택에서 수평 띠창들은 필로티 위에 얹혀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되어 국제연맹본부 계획안에서는 길이 200m에 이르는 가로로 긴 창이 선보이게 되기도 한다.
수평띠창 : 창은 집에서 가장 기본적인 요구이다. 기술이 진보됨으로써 창도 자유롭게 만들어질 수 있다. 철근콘크리트는 창의 역사에 혁명을 가져왔다. 창은 집에서 발견되는 기계적인 요소의 전형이 된다.
바이센호프 주택의 입면에 나타난 수평 띠창
빌라사보아의 입면에
나타난 수평 띠창
3. 결론
우리가 당연시 여겨왔던 일반적인 건물의 유형을 원칙화한 르꼬르뷔제의 업적은 실로 대단하다. 서론에서 말했듯이 건축가들의 교양으로 받아들여질 정도의 가치를 가진다.
근대 5원칙의 위대한 장점을 조사하고서 나에겐 그것의 부분적인 단점도 눈에 들어오게 되었다.
먼저 자유평면에서 나오는 공간의 상하부 통합구성은 익숙치 않은 사용자에게는 인간관계의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을 것 같은 개인적인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옥상정원이 대지를 포기할 만큼 좋은가에 대해 의구심이 들었다. 자연에 대한 호감을 단지 눈으로만 보여지는 인공 자연이 만족시킬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콘크리트 바닥과 오브제들의 형태유희가 초록의 자연을 대신할만한가?’
그리고 필로티의 부분에 질문이 생기게 되었는데 건물이 공중으로 올라가고서 남겨진 지면이 차량 및 보행자들의 통로로 아니면 간이 정원으로 사용된다고는 하지만, 이 공간자체만으로는 좋은 장소는 아닐것 같은 느낌이다. 본론의 필로티 파트에서 말한 ‘대지를 인간에게! 건축은 지상으로!’ 라는 슬로건에서 실제로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진 부분의 대지를 인간에게 준다는 것은 어느 정도의 모순이 아닐까 한다.
이렇게 위대한 원칙에 반발을 한다는 것은 어리석은 것일 수도 있지만 그러한 부분을 찾아서 질문을 던지는 것이 더욱 건축의 발전적인 생각이 아닐까 한다.
건축설계를 하면서 르꼬르뷔제의 이름을 수없이 들었지만 그의 이론은 너무나 기본적이고 당연시되어 간과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의 과제를 통해서 여러 실례를 보고 그의 이론을 보면서 르꼬르뷔제의 무궁무진한 그의 가치를 느낄 수 있었고 조금 더 공부해보면 많은 것을 알 수 있겠다고 느낀 좋은 경험이었다.
출처
르꼬르뷔제 건축의 형태분석 Georrfrey H.Baker / 이승호
서양 근대 건축사 ‘르꼬르뷔제’part - 윤장섭 著
서양 근대 건축사 - 이강업 , 진경돈 편저
Design of Architecture-Aided Computation
르꼬르뷔제 작품집 1955~1964 (도서출판 보원)
건축을 향하여 - Le Corbusier 著
르꼬르뷔제 작품과 프로젝트 - 이관석 옮김
http://perso.orange.fr/areview/
네이버, 다음이미지 검색 (사진 발췌)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9.11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22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