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직무분석에 대한 이해
2. 직무분석의 시행
2. 직무분석의 시행
본문내용
으로 적용해본 후, 필요시에 적절히 수정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질문지에 포함되는 항목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① 표지 : 성명, 직위, 직무, 소속, 근무지, 직속상사, 결재
② 직무의 기본 목적
③ 직무의 책임, 의무, 과업
④ 조직 내에서의 위치(조사 직무를 중심으로 조직 내의 상하관계 조사)
⑤ 책임 : 관리·감독 책임, 부수적 책임·지도, 재무 책임
⑥ 특성 : 문제해결 형태, 창의력 필요 정도, 의사결정 형태, 제안의 형태
⑦ 직무의 난이도 : 의무의 복잡성, 과오의 영향
⑧ 업무 수행 관련자 : 내부 관련자, 외부 관련자
⑨ 인적 요소 : 학력, 경력, 전문 지식, 개인적 특성
⑩ 작업 요소 : 근무 환경, 신체 요건, 기능, 사용 기기·장비 서술형으로 답해야 하는 질문(Open-ended-question)은 작성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야 하며, 정형화할 수 있는 항목들은 정형화된 질문(Highly-structured-question)을 사용하여 준비된 지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순·반복적인 직무일수록 정형화된 질문을 만들기가 용이하다.
3) 직무조사
최소한 직무조사에 참여하는 모든 사원들에게 왜 하는지,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에 대해 설명하고, 질의 응답 시간을 통해서 사원들의 의문을 충분히 해소해 주어야 한다. 질문지 작성법에 대해서도 사전에 설명해 주어야 한다. 한 자리에 모여서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성된 질문지는 직속상사에게 제출해서 승인을 받도록 한 후, 실무팀에 제출하도록 한다.
실무팀은 완성된 질문지를 검토해서 추가 정보가 필요한 직무를 선정, 면접 계획을 수립하여 내용을 보완한다. 대부분 질문지법과 면접법을 통해 충분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꼭 필요한 경우, 관찰법을 시행할 수 있겠다.
4) 조사된 자료의 분석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조직 전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전체적인 이해가 바탕이 될 때 불완전한 자료나 지엽적인 실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분석상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질문지법만 사용한 경우에는 효율성 측면에서 큰 장점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작성자의 이해 부족이나 편견, 비협조적인 태도 등으로 잘못된 자료가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자료 분석에 임해야 한다. 명확하지 않은 자료는 관리·감독자의 검증이 요구된다.
직무분석이 완성되면 이것을 토대로 직무문서화와 직무평가가 이루어진다.
① 표지 : 성명, 직위, 직무, 소속, 근무지, 직속상사, 결재
② 직무의 기본 목적
③ 직무의 책임, 의무, 과업
④ 조직 내에서의 위치(조사 직무를 중심으로 조직 내의 상하관계 조사)
⑤ 책임 : 관리·감독 책임, 부수적 책임·지도, 재무 책임
⑥ 특성 : 문제해결 형태, 창의력 필요 정도, 의사결정 형태, 제안의 형태
⑦ 직무의 난이도 : 의무의 복잡성, 과오의 영향
⑧ 업무 수행 관련자 : 내부 관련자, 외부 관련자
⑨ 인적 요소 : 학력, 경력, 전문 지식, 개인적 특성
⑩ 작업 요소 : 근무 환경, 신체 요건, 기능, 사용 기기·장비 서술형으로 답해야 하는 질문(Open-ended-question)은 작성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야 하며, 정형화할 수 있는 항목들은 정형화된 질문(Highly-structured-question)을 사용하여 준비된 지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순·반복적인 직무일수록 정형화된 질문을 만들기가 용이하다.
3) 직무조사
최소한 직무조사에 참여하는 모든 사원들에게 왜 하는지,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에 대해 설명하고, 질의 응답 시간을 통해서 사원들의 의문을 충분히 해소해 주어야 한다. 질문지 작성법에 대해서도 사전에 설명해 주어야 한다. 한 자리에 모여서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성된 질문지는 직속상사에게 제출해서 승인을 받도록 한 후, 실무팀에 제출하도록 한다.
실무팀은 완성된 질문지를 검토해서 추가 정보가 필요한 직무를 선정, 면접 계획을 수립하여 내용을 보완한다. 대부분 질문지법과 면접법을 통해 충분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꼭 필요한 경우, 관찰법을 시행할 수 있겠다.
4) 조사된 자료의 분석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조직 전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전체적인 이해가 바탕이 될 때 불완전한 자료나 지엽적인 실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분석상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질문지법만 사용한 경우에는 효율성 측면에서 큰 장점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작성자의 이해 부족이나 편견, 비협조적인 태도 등으로 잘못된 자료가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자료 분석에 임해야 한다. 명확하지 않은 자료는 관리·감독자의 검증이 요구된다.
직무분석이 완성되면 이것을 토대로 직무문서화와 직무평가가 이루어진다.
키워드
추천자료
자신의 주변 인물들 중 직무분석을 실시 과제 내에는 직무기술서 직무명세서가 작성
중환자실(ICU) 책임 간호사의 직무분석 (직무기술서+직무명세서)
중환자실(ICU (intensive care unit)) 간호사의 직무분석 (직무기술서+직무명세서)
중환자실(ICU (intensive care unit)) 간호사의 직무분석 (직무기술서+직무명세서)
중환자실 (ICU (intensive care unit)) 간호사의 직무분석 (직무기술서+직무명세서)
외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분석 (직무기술서+직무명세서)
외과 병동 간호사의 직무분석(직무기술서+직무명세서)
[간호관리학] 수술실(OR(operating room)) 간호사의 직무분석 : 일반 간호사(평간호사) (직무...
[간호관리학] 수간호사(Head Nurse)의 직무분석 (직무기술서+직무명세서)
[간호관리] 신경외과 간호사의 직무분석(직무기술서+직무명세서)
[간호관리학] 외과 병동(GS 병동) 간호사의 직무분석 : 일반 간호사 (직무기술서+직무명세서)...
[간호관리학] 중환자실(ICU (intensive care unit)) 간호사의 직무분석 : 일반 간호사 (직무...
[간호관리학] 중환자실 ICU (intensive care unit) 간호사의 직무분석 : 일반 간호사 (직무기...
[간호관리학] 응급실 ER (Emergency room) 간호사의 직무분석 : 일반 간호사(평간호사) (직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