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결정적 시기 가설을 지지한다.
(2) 통사적 측면
결정적 시기 가설에 있어 통사적 측면에서는 앞서 말한 음운론적 측면과는 약간 다른 생각을 갖게 한다. 음운론적 측면에서 어린 나이에 영어에 대한 결정적 시기를 가질 수 있다고 보는 것은 어쩌면 모국어 즉 국어에 대한 발달이 그만큼 되어 있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고 본다. 그렇기 때문에 타당성이 있다고 볼 수는 있겠으나, 통사적 측면에서는 어느 정도 신체적·정신적 발달이 있고, 사회성이 활발해지는 등의 외적인 요소가 많이 작용할 것으로 본다. 결과적으로 통사적 측면에서 결정적 시기 가설은 절대적이지는 않다고 생각해 본다.
(3) 기타 환경적 측면
기타 환경적 측면에서 결정적 시기 가설을 생각해보면, 상당히 복잡한 생각을 갖게 한다. 영어 학습에 있어 단순히 나이 및 학습자의 발달단계만을 생각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우선 결정적 시기 가설에 말하는 사춘기 이전과 그 이후의 언어의 질적인 측면이 다르다는 점을 들 수 있겠다. 즉, 성인의 언어는 사춘기 이전의 언어보다 더욱 복잡해지고, 전문적이게 되며, 고급스러워 진다고 생각해볼 때, 단순히 결정적 시기에 완성되는 언어에 '완성'이란 말을 쓸 수 있겠느냐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개인적으로 영어 학습에 있어 학창시절의 학습의 양보다 성인이 되어 학습하는 양이 시간대비 훨씬 많다고 생각되는데, 이런 경우에도 결정적 시기의 적용에 의문이 생긴다. 또한 결정적 시기 가설의 사춘기 이전의 시기는 유아 및 아동, 청소년의 가정, 부모 등의 환경적 요인에 대한 영향을 절대적으로 받을 시기라고 생각해 볼 때, 결정적 시기의 의미 또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영어 학습에 있어 학업성취도, 학업동기, 불안감, 자신감, 학업 태도, 학업성적, 학습시간 등 학습과 관련한 개인적 성향 및 심리적 요소는 학습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감안할 때, 결정적 시기 가설에 서 말하는 '결정적 시기'와 기타 학습에 관련한 환경적 요인 중 과연 어떠한 것이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칠까 하는 생각을 해 볼 수 있겠다.
Ⅲ. 결론 및 개인적 고찰
결정적 시기란 어떤 언어를 원어민처럼 습득하기 위해서 필히 그 언어에 노출되어야만 하는 시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사춘기 이후에 언어를 습득하기 시작한 학습자는 모국어 화자의 언어실력과 동등한 능력을 얻을 수 없다는 일반적인 정의를 얻게 되었다.
언어의 범주에 따라 결정적 시기 가설에 대한 조금은 다른 견해를 갖고 있다. 음운론 부분에서는 대부분의 연구가 결정적 시기 가설을 강하게 지지하지만 통사적 부분에 있어서는 일부는 결정적 시기 가설을 지지하고, 일부는 결정적 시기 가설을 지지하지 않고 있다. 다시 말해서, 음운론 부분에 있어서 제 2언어 능력과 도착나이 사이에는 강한 반비례 관계가 성립하였고, 통사 부문에서는 그런 반비례 관계가 성립하는 경우고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영어 학습에 있어서 단순히 음운론적 측면에서는 결정적 시기 가설을 적극 옹호하여 소위 말하는 조기유학이나 조기 영어교육을 통하여 아이들의 관련한 영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결정적 시기 가설에 영어 학습을 적극적 혹은 절대적으로 의존한 교육을 피해야 할 것으로 본다. 왜냐하면, 영어 교육에 있어서 인간의 발달단계에 따른 교육도 중요하지만, 가정환경, 부모, 학습동기, 지적 수준, 학습의 양, 성취도, 자신감 등 학습에 관련한 환경적, 심리적, 정서적 요인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결정적 시기 가설은 연령에 따른 영어 학습에 있어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는 없지만, 다른 학습 및 교육의 방법과 도구와 마찬가지로 응용 접목될 수 있는 하나의 학습 전략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Ⅳ. 참고문헌
1. 최영희, 유아의 영어 교육에 관한 연구, 최영희 한남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 심순희, EFL 상황에서 조기영어교육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 결정적 시기 가설과 인지 정의 환경 요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공주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3. 임혜진, 조기 영어교육과 관련된 결정적 시기 가설에 대한 연구, 충남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4. 서정원, 결정적 시기 가설과 영어 교육, 건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5. 김진철 외 5명, 영어 초등교수법, 학문출판, 2002.
6. 박기표, 언어 습득의 결정적 시기 가설, 영어교육55(2), 2000
(2) 통사적 측면
결정적 시기 가설에 있어 통사적 측면에서는 앞서 말한 음운론적 측면과는 약간 다른 생각을 갖게 한다. 음운론적 측면에서 어린 나이에 영어에 대한 결정적 시기를 가질 수 있다고 보는 것은 어쩌면 모국어 즉 국어에 대한 발달이 그만큼 되어 있지 않기 때문일 수도 있다고 본다. 그렇기 때문에 타당성이 있다고 볼 수는 있겠으나, 통사적 측면에서는 어느 정도 신체적·정신적 발달이 있고, 사회성이 활발해지는 등의 외적인 요소가 많이 작용할 것으로 본다. 결과적으로 통사적 측면에서 결정적 시기 가설은 절대적이지는 않다고 생각해 본다.
(3) 기타 환경적 측면
기타 환경적 측면에서 결정적 시기 가설을 생각해보면, 상당히 복잡한 생각을 갖게 한다. 영어 학습에 있어 단순히 나이 및 학습자의 발달단계만을 생각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우선 결정적 시기 가설에 말하는 사춘기 이전과 그 이후의 언어의 질적인 측면이 다르다는 점을 들 수 있겠다. 즉, 성인의 언어는 사춘기 이전의 언어보다 더욱 복잡해지고, 전문적이게 되며, 고급스러워 진다고 생각해볼 때, 단순히 결정적 시기에 완성되는 언어에 '완성'이란 말을 쓸 수 있겠느냐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개인적으로 영어 학습에 있어 학창시절의 학습의 양보다 성인이 되어 학습하는 양이 시간대비 훨씬 많다고 생각되는데, 이런 경우에도 결정적 시기의 적용에 의문이 생긴다. 또한 결정적 시기 가설의 사춘기 이전의 시기는 유아 및 아동, 청소년의 가정, 부모 등의 환경적 요인에 대한 영향을 절대적으로 받을 시기라고 생각해 볼 때, 결정적 시기의 의미 또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영어 학습에 있어 학업성취도, 학업동기, 불안감, 자신감, 학업 태도, 학업성적, 학습시간 등 학습과 관련한 개인적 성향 및 심리적 요소는 학습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감안할 때, 결정적 시기 가설에 서 말하는 '결정적 시기'와 기타 학습에 관련한 환경적 요인 중 과연 어떠한 것이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칠까 하는 생각을 해 볼 수 있겠다.
Ⅲ. 결론 및 개인적 고찰
결정적 시기란 어떤 언어를 원어민처럼 습득하기 위해서 필히 그 언어에 노출되어야만 하는 시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사춘기 이후에 언어를 습득하기 시작한 학습자는 모국어 화자의 언어실력과 동등한 능력을 얻을 수 없다는 일반적인 정의를 얻게 되었다.
언어의 범주에 따라 결정적 시기 가설에 대한 조금은 다른 견해를 갖고 있다. 음운론 부분에서는 대부분의 연구가 결정적 시기 가설을 강하게 지지하지만 통사적 부분에 있어서는 일부는 결정적 시기 가설을 지지하고, 일부는 결정적 시기 가설을 지지하지 않고 있다. 다시 말해서, 음운론 부분에 있어서 제 2언어 능력과 도착나이 사이에는 강한 반비례 관계가 성립하였고, 통사 부문에서는 그런 반비례 관계가 성립하는 경우고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영어 학습에 있어서 단순히 음운론적 측면에서는 결정적 시기 가설을 적극 옹호하여 소위 말하는 조기유학이나 조기 영어교육을 통하여 아이들의 관련한 영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결정적 시기 가설에 영어 학습을 적극적 혹은 절대적으로 의존한 교육을 피해야 할 것으로 본다. 왜냐하면, 영어 교육에 있어서 인간의 발달단계에 따른 교육도 중요하지만, 가정환경, 부모, 학습동기, 지적 수준, 학습의 양, 성취도, 자신감 등 학습에 관련한 환경적, 심리적, 정서적 요인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결정적 시기 가설은 연령에 따른 영어 학습에 있어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는 없지만, 다른 학습 및 교육의 방법과 도구와 마찬가지로 응용 접목될 수 있는 하나의 학습 전략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Ⅳ. 참고문헌
1. 최영희, 유아의 영어 교육에 관한 연구, 최영희 한남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 심순희, EFL 상황에서 조기영어교육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 결정적 시기 가설과 인지 정의 환경 요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공주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3. 임혜진, 조기 영어교육과 관련된 결정적 시기 가설에 대한 연구, 충남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4. 서정원, 결정적 시기 가설과 영어 교육, 건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5. 김진철 외 5명, 영어 초등교수법, 학문출판, 2002.
6. 박기표, 언어 습득의 결정적 시기 가설, 영어교육55(2), 2000
추천자료
2013년 동계계절시험 유아언어교육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유아언어교육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4년 1학기 유아언어교육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유아언어교육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5년 동계계절시험 유아언어교육 시험범위 핵심체크
[인간발달] 인간의 발달(인간발달의 개념과 변천사, 인간발달의 원리)
2016년 1학기 유아언어교육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유아언어교육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1학기 유아언어교육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동계계절시험 유아언어교육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8년 1학기 유아언어교육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8년 1학기 유아언어교육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