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단백질의 정의
Ⅱ. 단백질 기능
Ⅲ. 단백질의 구조
Ⅳ. 단백질 대사
Ⅴ. 단백질의 소화&흡수
Ⅵ. 단백질의 영양적 분류
Ⅶ. 단백질의 영양
Ⅷ. 단백질과 아미노산의 필요량
Ⅸ. 단백질과 건강
Ⅱ. 단백질 기능
Ⅲ. 단백질의 구조
Ⅳ. 단백질 대사
Ⅴ. 단백질의 소화&흡수
Ⅵ. 단백질의 영양적 분류
Ⅶ. 단백질의 영양
Ⅷ. 단백질과 아미노산의 필요량
Ⅸ. 단백질과 건강
본문내용
식이의 효율이 증가되는 상호 보조 효과를 이른다
Ⅷ. 단백질과 아미노산의 필요량
1. 단백질 필요량에 영향을 주는 요소
1) 생리상태
체격이 크고 근육조직이 많은 사람, 성장기, 임신기, 수유기 사람은 필요량이 증가한다.
연령이 낮을수록 체중당 단백질 필요량은 높다.
고열 환자, 소모성 질환자들은 조직 보수를 위해서 필요량이 증가한다.
2) 식이의 열량섭취량
열량필요량보다 적게 에너지를 섭취하였을 때 단백질 필요량은 증가한다. 그러나 에너 지를 충분히 섭취하더라도 단백질 필요량을 대신할 수는 없다. 일정한 양의 단백질은 필요하다. 적절한 에너지 섭취는 단백질 절약작용을 한다.
2. 각 연령에서의 필수아미노산 필요량
신생아는 아동기보다 체중 kg당 필수 아미노산의 필요량이 3배정도 높다. 리신만은 아동기에 가장 높다. 연령이 낮을수록 전반적으로 필수 아미노산 필요량이 높다.
필수 아미노산의 총 아미노산 필요량에 대한 비율은 신생아기에 성인의 2배로 연령이 낮을수록 필수아미노산의 필요량이 높다. 따라서 신생아기부터 성장기에는 동물성 단백질과 두류 등 양질의 단백질 공급이 충분하게 공급되어야 한다.
3. 한국인의 단백질 권장량
단백질 권장량은 단백질의 최소 필요량에 개개인의 차이를 고려하여 안정량을 더한 것이다. 대부분의 우리나라 성인(97.5%)에게 안전한 1일 단백질의 섭취량은 체중 kg당 1.13g 으로 된다.
한국인 성인의 일상적 혼합식이 단백질 안전섭취량은 남녀 모두 1.13g/kg/일로 ょ겅되어 표준체위를 곱해 얻은 한국인 남녀 성인의 1일 단백질 권장량은 남자 1일 55g, 여자 1일 45g으로 결정되었다. 근육량이 많은 고강도훈련운동선수나, 임신수유기의 여성은 권쟝량보다 더 많은 양을 먹어야 한다.
Ⅸ. 단백질과 건강
전 세계적으로 저개발국과 개발도상국에서는 에너지와 단백질 섭취가 낮아서 성장저해와 질병이 나타나고 있다. 단백질 결핍증은 어른보다 어린아이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지구상에는 적어도 5백만 어린이들이 단백질-열량 영양불량(PEM:protein energy inbalacnce) 증상을 보이고 있고, 성인의 경우에는 주로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로서 에이즈, 암, 결핵, 흡수불량증, 신장과 간질환, 식욕 감퇴증 같은 질환은 2차 증상으로 단백질-열량 영양불량이 나타난다.
1. 결핍증
1) 마라스무스
마라스무스는 아프리카 지역에서 이유기와 유아기에 식량부족으로 나타난다. 에너지와 단백질이 모두 부족한 기아상태 때 나타난다. 체지방의 저장이 없어 피골이 상접해 보 이고 근육도 거의 없어 걸을 수 없다. 식이요법을 적절히 하지 않으면 감염에 의해 사 망한다.
2) 콰시오카
콰시오카는 전 세계적으로 저개발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단백질 결핍증이다. 이유기의 어린아이가 에너지는 겨우 섭취하고 단백질이 상당히 부족한 상태에서 나타나는 질병으 로, 감염, 부종, 성장저해, 허약, 질병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한다.
콰시오카와 마라스무스 모두 단백질-열량 영양불량증의 일종이지만, 각각의 발생시기나 외양생화학적 변화 등은 다르나. 그러나 콰시오카가 마라스무스보다 더 심한 형태의 영 양불량으로 보이며 전염병에 대한 저향력이 더 떨어진다.
3) 페닐케톤뇨증 (Phenylketonuria : PKU))
페닐케톤뇨증은 페닐알라닌 대사의 선천적 장애로 나타나는 질병으로 주로 백인에세 많 다. 이는 간의 페닐알라닌 수산화효소의 유전적인 결함에 의해 페닐알라닌이 티로신으 로 전환되지 못하고 혈액이나 조직에 축적된다. 과잉의 페닐알라닌은 페닐피부르산으로 전환되어 소변으로 배설되므로 페닐케톤뇨증이 된다. 페닐케톤뇨증은 생후 1개월 이내 에 발견하면 현저한 효과가 있으나, 초기에 치료하지 못하면 뇌손상을 초래하여 정신적 지진아가 되기 쉽다. 페닐케톤뇨증 영유아는 페닐알라닌이 적게 들어 있는 식품이나 특 수분유를 사용해야 한다.
2. 과잉증
1) 비만
단백질을 과잉 섭취하여도, 필요 이상의 단백질이 연소되어 지방으로 전환되며 체내에 축적되어 체중이 증가한다. 체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고단백질 다이어트를 하는 것은 효과가 적다. 살을 빼기위해서는 적당한 양의 단백질과 최소한의 지방질 및 필요한 만큼의 당질을 섭취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육류나 우유 등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을 많이 섭취할수록 상대적으로 채소, 과일 및 곡류의 섭취량이 감소되어 영양섭취가 불균형해 지게 된다.
2) 신장질환
단백질은 당질이나 지방질의 연소에 비하여 특이동적 작용이 크기 때문에 체온이 증가하고 혈압이 상승되며, 단백질 분해물은 신경을 자극하여 불면증을 일으키고, 혈중 단백질 분해물인 요소가 증가되어 신장에 부담을 주며 요독증이 일어난다.
3) 심장질환
동물성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은 포화지방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을 증가시키면 심장질환의 발병율리 증가하는데 식이에 육류단백질 대신에 대두단백질을 대치시켜면 혈청콜레스테롤 수준이 낮아진다.
4) 암
육류를 위주로 한 식이섭취도 결장암, 유방암, 췌장암 및 전립선암의 발병과 관련이 깊다. 또한 신장암도 고단백식이와 관련이 있는데, 과잉의 단백질이 신장의 작업을 증가시키고 단백질 최종대사산물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직접적인 식이인자보다는 신장의 건강상태 및 수분 섭취에 따라 다르다.
5) 골다공증
단백질의 섭취량은 골격의 건강과도 관련이 있다.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면 칼슘배설량이 증가되어 골격무기질을 고갈시킨다. 이러한 작용은 식물성 단백질에서는 직접 관련이 없다. 칼슘 : 단백질의 이상적인 섭취비율은 영양권장량을 식이를 섭취하는 여성의 경우 16 : 1(mg:g) 수준이다. 국민영양조사 결과 우리나라 성인의 칼슘 : 단백질의 섭취수준은 약 10 : 1 이므로 골격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칼슘섭취를 더욱 늘려야 한다.
6) 기타
그밖에도 과잉의 단백질 섭취는 다량의 요소 배설로 기관의 대사를 항진시키고, 이로 인하여 저항력이 약해진다. 모유 영양아에 비하여 인공 영양아는 단백질 섭취량이 많은데, 겉으로 보기에는 성장발육이 더 좋은 것 같지만 영아사망률이 모유영양아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다.
Ⅷ. 단백질과 아미노산의 필요량
1. 단백질 필요량에 영향을 주는 요소
1) 생리상태
체격이 크고 근육조직이 많은 사람, 성장기, 임신기, 수유기 사람은 필요량이 증가한다.
연령이 낮을수록 체중당 단백질 필요량은 높다.
고열 환자, 소모성 질환자들은 조직 보수를 위해서 필요량이 증가한다.
2) 식이의 열량섭취량
열량필요량보다 적게 에너지를 섭취하였을 때 단백질 필요량은 증가한다. 그러나 에너 지를 충분히 섭취하더라도 단백질 필요량을 대신할 수는 없다. 일정한 양의 단백질은 필요하다. 적절한 에너지 섭취는 단백질 절약작용을 한다.
2. 각 연령에서의 필수아미노산 필요량
신생아는 아동기보다 체중 kg당 필수 아미노산의 필요량이 3배정도 높다. 리신만은 아동기에 가장 높다. 연령이 낮을수록 전반적으로 필수 아미노산 필요량이 높다.
필수 아미노산의 총 아미노산 필요량에 대한 비율은 신생아기에 성인의 2배로 연령이 낮을수록 필수아미노산의 필요량이 높다. 따라서 신생아기부터 성장기에는 동물성 단백질과 두류 등 양질의 단백질 공급이 충분하게 공급되어야 한다.
3. 한국인의 단백질 권장량
단백질 권장량은 단백질의 최소 필요량에 개개인의 차이를 고려하여 안정량을 더한 것이다. 대부분의 우리나라 성인(97.5%)에게 안전한 1일 단백질의 섭취량은 체중 kg당 1.13g 으로 된다.
한국인 성인의 일상적 혼합식이 단백질 안전섭취량은 남녀 모두 1.13g/kg/일로 ょ겅되어 표준체위를 곱해 얻은 한국인 남녀 성인의 1일 단백질 권장량은 남자 1일 55g, 여자 1일 45g으로 결정되었다. 근육량이 많은 고강도훈련운동선수나, 임신수유기의 여성은 권쟝량보다 더 많은 양을 먹어야 한다.
Ⅸ. 단백질과 건강
전 세계적으로 저개발국과 개발도상국에서는 에너지와 단백질 섭취가 낮아서 성장저해와 질병이 나타나고 있다. 단백질 결핍증은 어른보다 어린아이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지구상에는 적어도 5백만 어린이들이 단백질-열량 영양불량(PEM:protein energy inbalacnce) 증상을 보이고 있고, 성인의 경우에는 주로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로서 에이즈, 암, 결핵, 흡수불량증, 신장과 간질환, 식욕 감퇴증 같은 질환은 2차 증상으로 단백질-열량 영양불량이 나타난다.
1. 결핍증
1) 마라스무스
마라스무스는 아프리카 지역에서 이유기와 유아기에 식량부족으로 나타난다. 에너지와 단백질이 모두 부족한 기아상태 때 나타난다. 체지방의 저장이 없어 피골이 상접해 보 이고 근육도 거의 없어 걸을 수 없다. 식이요법을 적절히 하지 않으면 감염에 의해 사 망한다.
2) 콰시오카
콰시오카는 전 세계적으로 저개발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단백질 결핍증이다. 이유기의 어린아이가 에너지는 겨우 섭취하고 단백질이 상당히 부족한 상태에서 나타나는 질병으 로, 감염, 부종, 성장저해, 허약, 질병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한다.
콰시오카와 마라스무스 모두 단백질-열량 영양불량증의 일종이지만, 각각의 발생시기나 외양생화학적 변화 등은 다르나. 그러나 콰시오카가 마라스무스보다 더 심한 형태의 영 양불량으로 보이며 전염병에 대한 저향력이 더 떨어진다.
3) 페닐케톤뇨증 (Phenylketonuria : PKU))
페닐케톤뇨증은 페닐알라닌 대사의 선천적 장애로 나타나는 질병으로 주로 백인에세 많 다. 이는 간의 페닐알라닌 수산화효소의 유전적인 결함에 의해 페닐알라닌이 티로신으 로 전환되지 못하고 혈액이나 조직에 축적된다. 과잉의 페닐알라닌은 페닐피부르산으로 전환되어 소변으로 배설되므로 페닐케톤뇨증이 된다. 페닐케톤뇨증은 생후 1개월 이내 에 발견하면 현저한 효과가 있으나, 초기에 치료하지 못하면 뇌손상을 초래하여 정신적 지진아가 되기 쉽다. 페닐케톤뇨증 영유아는 페닐알라닌이 적게 들어 있는 식품이나 특 수분유를 사용해야 한다.
2. 과잉증
1) 비만
단백질을 과잉 섭취하여도, 필요 이상의 단백질이 연소되어 지방으로 전환되며 체내에 축적되어 체중이 증가한다. 체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고단백질 다이어트를 하는 것은 효과가 적다. 살을 빼기위해서는 적당한 양의 단백질과 최소한의 지방질 및 필요한 만큼의 당질을 섭취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육류나 우유 등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을 많이 섭취할수록 상대적으로 채소, 과일 및 곡류의 섭취량이 감소되어 영양섭취가 불균형해 지게 된다.
2) 신장질환
단백질은 당질이나 지방질의 연소에 비하여 특이동적 작용이 크기 때문에 체온이 증가하고 혈압이 상승되며, 단백질 분해물은 신경을 자극하여 불면증을 일으키고, 혈중 단백질 분해물인 요소가 증가되어 신장에 부담을 주며 요독증이 일어난다.
3) 심장질환
동물성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은 포화지방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을 증가시키면 심장질환의 발병율리 증가하는데 식이에 육류단백질 대신에 대두단백질을 대치시켜면 혈청콜레스테롤 수준이 낮아진다.
4) 암
육류를 위주로 한 식이섭취도 결장암, 유방암, 췌장암 및 전립선암의 발병과 관련이 깊다. 또한 신장암도 고단백식이와 관련이 있는데, 과잉의 단백질이 신장의 작업을 증가시키고 단백질 최종대사산물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직접적인 식이인자보다는 신장의 건강상태 및 수분 섭취에 따라 다르다.
5) 골다공증
단백질의 섭취량은 골격의 건강과도 관련이 있다.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면 칼슘배설량이 증가되어 골격무기질을 고갈시킨다. 이러한 작용은 식물성 단백질에서는 직접 관련이 없다. 칼슘 : 단백질의 이상적인 섭취비율은 영양권장량을 식이를 섭취하는 여성의 경우 16 : 1(mg:g) 수준이다. 국민영양조사 결과 우리나라 성인의 칼슘 : 단백질의 섭취수준은 약 10 : 1 이므로 골격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칼슘섭취를 더욱 늘려야 한다.
6) 기타
그밖에도 과잉의 단백질 섭취는 다량의 요소 배설로 기관의 대사를 항진시키고, 이로 인하여 저항력이 약해진다. 모유 영양아에 비하여 인공 영양아는 단백질 섭취량이 많은데, 겉으로 보기에는 성장발육이 더 좋은 것 같지만 영아사망률이 모유영양아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다.
추천자료
간,담도,췌장의 구조 기능 생리
식품단백질의 변형(Modification of food proteins)
세포의 구조; 동, 식물 세포의 차이와 구조 그리고 그 기능들
간 담도 췌장의 구조와 기능
성인간호학 - 내분비계 구조와 기능
우리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식품에는 단백질이 얼마나 있는지를 측정하고, 단백질을 분리...
[바이오칩][단백질칩][뉴로칩][바이오칩 분류][단백질칩 연구동향][뉴로칩 구성][뉴로칩 개발...
(간호학)간담도계의 구조적 기능과 진단적 검사
성인간호학 - 간, 담도 및 췌장의 구조와 기능
[분자][분자와 RNA분자][리보핵산][분자와 생체분자][분자와 거대분자][분자와 고분자][분자...
[생산][쌀 생산][종묘 생산][오리알 생산][에탄올 생산][토마토 생산][호르몬 생산][감자 생...
[제품생산][제품][생산][제품생산 EMS][제품생산 제품단백질][제품생산 성공 사례]제품생산의...
[기초 생물학] 단백질검출 실험 - 닌히드린 반응과 뷰렛 반응 실험을 통하여 단백질을 검정
[간호학] 혈액계의 구조와 기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