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1. 서론 ……………………………………………………………… 2
2. 설교의 정의 ………………………………………………………2
1) 존 칼뱅(John Calvin) ……………………………………… 2
2) 칼 바르트(Karl Barth) ………………………………………2
3) 필립스 브룩스(Phillips Brooks) ………………………… 2
3. 설교와 신학의 관계 …………………………………………… 3
1) 설교에 있어서 신학의 역할 …………………………………3
2) 신학에 대한 설교의 역할 ……………………………………4
3) 신학으로서의 설교 ……………………………………………5
4. 신학이 설교에 미치는 영향(신학자 중심) ………………… 5
5. 결론 ……………………………………………………………… 5
참고문헌 ………………………………………………………………7
1. 서론 ……………………………………………………………… 2
2. 설교의 정의 ………………………………………………………2
1) 존 칼뱅(John Calvin) ……………………………………… 2
2) 칼 바르트(Karl Barth) ………………………………………2
3) 필립스 브룩스(Phillips Brooks) ………………………… 2
3. 설교와 신학의 관계 …………………………………………… 3
1) 설교에 있어서 신학의 역할 …………………………………3
2) 신학에 대한 설교의 역할 ……………………………………4
3) 신학으로서의 설교 ……………………………………………5
4. 신학이 설교에 미치는 영향(신학자 중심) ………………… 5
5. 결론 ……………………………………………………………… 5
참고문헌 ………………………………………………………………7
본문내용
전에는 적어도 문자적으로는 동일한 이해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일단 이 본문이 설교로 만들어지게 되면 전혀 다른 설교가 된다면 과연 이런 경우 설교자가 지향하는 신학이 말하는 것인가 아니면 본문 그 자체가 말하는 것인가? 이렇게 만들어진 설교가 설교자의 신학적 입장에 따라 각기 다른 설교로 나온다면 설교자의 신학에 기초한 해석이 주석의 본의를 넘어서는 것이 아닌가? 적어도 박형룡과 김재준의 설교 비교는 이런 문제점을 우리에게 과제로 제시해 준다. 따라서 설교자가 어느 입장이든 신학적 입장을 견지하지 않을 수 없지만 그것이 극단적 입장이 될 경우 오히려 하나님의 말씀을 질식시키는 흉기가 될 수 있다는 위험성을 인식하지 않을 수 없다. 즉 신학이 하나의 전제가 되는 경우 설교는 이 신학의 종이자 도구로 전락하고 설교자는 말하고 말씀은 침묵하는 결과를 맺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설교자가 성경이 스스로 말하도록 봉사하는 말씀의 종이라면 설교자가 서 있는 신학 역시 이런 정체성을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 안에서만 신학으로서의 순기능이 있다 할 것이다. 이런 면에서 박형룡과 김재준은 한국 신학계에 다양성을 촉발시켰다는 점에서는 평가받을 수 있겠지만 설교학적 측면에서는 신학이 극단적으로 흐를 경우 '말씀'을 압도할 수 있다는 위험을 우리에게 알려준다는 점에서는 재해석의 대상일 수 있다. 나아가 올바른 신학적 바탕이 올바른 설교에 얼마나 중요한가를 이들의 대립적 입장을 통해 교훈 받을 수 있다.
참고문헌
정장복, 「한국교회의 설교학 개론」, (서울: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2001)
정인교, 「설교학 총론」, (서울: 대한 기독교 서회, 2005)
이홍찬, 「개혁주의 설교학」, (서울: 한국 학술정보(주), 2007)
계지영, 「현대 설교학 개론」, (서울: 한국 장로교 출판사, 1998)
정성구, 「개혁주의 설교학」, ( 서울: 총신대학출판부, 1991)
염필형, 「설교신학」, (서울: 성광문화사, 1987)
Karl Barth, 정인교역 「칼 바르트의 설교학」, (서울: 한들, 1999)
Richard Lischer, 홍성훈 역, 「설교의 신학」, (서울:도서출판 소망사, 1986)
Herman G. Sturmpfle, 정원범, 「설교와 신학」, (서울: 나눔사, 1990)
조종환, 「설교자의 신학이 설교에 미치는 영향 - 죽산 박형용, 장공 김재준을 중심으로」, 서울신학
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4
참고문헌
정장복, 「한국교회의 설교학 개론」, (서울: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2001)
정인교, 「설교학 총론」, (서울: 대한 기독교 서회, 2005)
이홍찬, 「개혁주의 설교학」, (서울: 한국 학술정보(주), 2007)
계지영, 「현대 설교학 개론」, (서울: 한국 장로교 출판사, 1998)
정성구, 「개혁주의 설교학」, ( 서울: 총신대학출판부, 1991)
염필형, 「설교신학」, (서울: 성광문화사, 1987)
Karl Barth, 정인교역 「칼 바르트의 설교학」, (서울: 한들, 1999)
Richard Lischer, 홍성훈 역, 「설교의 신학」, (서울:도서출판 소망사, 1986)
Herman G. Sturmpfle, 정원범, 「설교와 신학」, (서울: 나눔사, 1990)
조종환, 「설교자의 신학이 설교에 미치는 영향 - 죽산 박형용, 장공 김재준을 중심으로」, 서울신학
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4
추천자료
[설교문][성경본문-민수기 16장 1-14절] 고라 무리를 통해서 본 반역자의 특징
[설교문][성경본문-민수기 5장 1-4절] 부정한 자의 분리
[설교문][성경본문-민수기 9장 1-14절] 절기를 통해 나타난 하나님의 자비
[설교문][성경본문-민수기 9장 15-23절] 여호와의 명을 좇아 사는 성도
[설교문][성경본문-민수기 10장 29-32절] 어떻게 일꾼을 초청할 것인가
[설교문][성경본문-민수기 10장 33-36절] 광야에서 나타난 하나님의 사랑
[설교문][성경본문-민수기 11장 4-7절] 완악한 자들의 원망
[설교문][성경본문-민수기 11장 10-15절] 어떤 순간에서도 결코 낙담하지 않는 신앙
[설교문][성경본문-민수기 4장 1-33절] 하나님의 사역 방법
[설교문][성경본문-민수기 4장 17-20절] 하나님을 섬기는 방법
[설교문][성경본문-민수기 13장 30절] 담대한 신앙인
[설교문][성경본문-민수기 6장 1-21절] 헌신된 사람의 의무
[설교문][성경본문-민수기 12장 1-10절] 우리를 지도하는 영적 지도자에게 순종하며 공경하는...
[설교문][성경본문-민수기 14장 1-3절] 믿음 없는 백성의 특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