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 '미녀와 야수' 작품 개요 및 감상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디즈니 '미녀와 야수' 작품 개요 및 감상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영화 소개
-<미녀와 야수>
-주요 등장 인물 소개

2. 줄거리(Synopsis)

3. 사운드 트랙
-영화에 사용된 음악 소개
-작곡가 소개

4. 음악의 전개에 따른 세부 줄거리

5. 영화 제작 배경
-장르 매체 변화에 따른 <미녀와 야수>
-시대적 상황 기술(상영 시대적 상황)

6. <미녀와 야수>를 본 뒤
-현대사회의 변질된 사랑에 대한 일침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노래와 춤으로 표현하는 전통적인 뮤지컬 형식을 다시 살려낸 것입니다. 또한 디즈니는 애니메이션 뮤지컬을 꾸준히 제작해 냈으며, 일부 애니메이션 뮤지컬은 브로드웨이 뮤지컬로 제작되어 무대에서 전 세계 관객들의 열광적인 사랑을 독차지 하고 있다.
6. <미녀와 야수>를 본 뒤
현대사회의 변질된 사랑에 대한 일침
어릴 적에, <미녀와 야수>는 동화책을 통해 누구나 한번 쯤 읽어 보았을 것이다. 나 역시 디즈니 애니메이션 <미녀와 야수>를 관람하기 전부터 어린 시절 머리와 가슴 속에 남아 있던 여운이 미동하기 시작했다. 마치 엄마 뱃 속의 따뜻했던 아련한 기억을 더듬듯이 영화의 한 장면 장면마다 깊은 추억 속에 빨려 들어가는 묘한 기분을 느꼈다.
<미녀와 야수>의 영화 속 이야기는 주요 인물들의 성격이 잘 구성되어 있고 그들의 강렬한 의지가 극을 자연스럽게 끌고 감으로써 각 장면의 이음새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극적인 연출을 보여준다. 실제로 러닝타임이 짧게 느껴질 정도로 극은 굉장히 빠른 전개를 보이는데도 장면 하나하나가 전혀 어색하지 않고 또한 극과 극의 연결의 부자연스럽게 느껴지지 않았다.
디즈니의 30번째 뮤지컬 애니메이션 <미녀와 야수(1991))>는 원작, ‘드 보몽부인’의 <미녀와 야수(1756)>과 ‘장 콕토’감독의 영화<미녀와 야수(1946)>을 모태로 내용구성이 전반적으로 동일하지만, 여주인공 ‘벨’의 성격 묘사 등 이전의 동화적이고 평면적인 캐릭터들과는 다르게 현대적인 색채를 가미하여 전통적인 동화적 구성과 현대적인 정서를 잘 조화시켰다고 생각한다. 특히 여주인공 ‘벨’은 동화 속의 여주인공과는 달리, 아버지가 선물을 갖고 돌아오기만을 기다리는 수동적인 소녀가 아니다. 위험에 빠진 아버지 ‘모리스’를 직접 찾아 나서며 아버지를 구출하고 대신 야수의 포로를 남는 것을 선택하는 현대적이고 능동적인 여성상을 보여준다. 즉 80년대 페미니즘 미디어의 영향력을 수혜 받은 캐릭터로, 여성을 도구화 시키는 남성(극 중 ‘가스통’역)의 야만성에 대한 폭로와 당당한 거부, 그리고 독립과 정체성을 추구하는 자의식의 성장을 보여준다. 또한 그녀는 외적인 것보다도 내적 소양에 관심을 기울이는 독서광 소녀이기도 하다. 허례적이고 낭만적인 사랑을 꿈꾸지만 결국에는 진실 된 사랑은 그런 운명적임과 겉치례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깨닫는 성숙한 면을 보이기도 한다. 즉 디즈니<미녀와 야수>속의 여주인공 ‘벨’은 여타 다른 동화 속의 왕자님을 기다리는 가련하고 능동적인 여성상과는 다른 굉장히 진보적인 여성이다.
‘<미녀와 야수>가 대중적으로 사랑받은 이유는 남성과 여성이 바라는 이상적인 사랑을 형상화했기 때문이 아닐까’하고 생각한다. 사랑을 꿈꾸는 많은 여성들은 자신들의 사랑이 남자를 변화 시킬 수 있길 원하고 또한 사랑을 기다리는 많은 남성들은 그녀의 사랑이 자신을 구원해 주기를 바란다. <미녀와 야수> 속에 등장하는 ‘벨’과 ‘야수’의 사랑이 이런 대중적 사랑의 심리속성을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외적인 것에만 치중하고 이기적이고 교만한 왕자는 마법에 걸려 야수가 되고, 우연히 ‘벨’과의 만남을 통해 ‘벨’의 당당하고 따스한 성품으로 점점 변해간다. ‘벨’의 사랑이 ‘야수’ 속에 내재되어 있던 따스한 본성을 일깨워 준 것이다. 결국 야수의 저주는 벨의 진정한 사랑에 의해 풀려버린다. 벨의 진정한 사랑을 받고, 야수 역시 벨을 진정으로 사랑함으로써 야수는 영혼의 구제를 받을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가장 주목할 만한 사랑의 모습은 ‘야수’의 변화에 있다. 많은 연인들의 사랑은 사랑이라는 명목 하에 자신을 마음을 우선시 하는 이기심을 합리화하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지고 있다. 사랑하기 때문에 사랑받는 것만 당연하고 사랑을 주는 것 역시 자신의 이기심에 맞춰서 주기만 한다. 자신의 마음이 원하면 상대방이 원치 않더라고 주고 자신의 마음이 내키지 않으면 상대방이 원하는 것이라도 주지 않는다. 그리고 이런 감정을 사랑에 뒤따르는 당연한 이기심이라고 자기 스스로 정당화한다.
그러나 야수의 사랑은 다르다. 내가 디즈니 <미녀와 야수>에 크게 매료된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이런 야수의 ‘심적 변화’에 있다. 야수는 처음 ‘벨’을 통해 자신을 구속하는 저주가 풀리기를 기대하는 이기적인 생각을 품는다. 그러나 ‘벨’을 진정으로 사랑하게 되면서 이기적인 사랑에서 탈피하여 자신의 마음보다 상대방의 마음을 먼저 존중하는 것이 진정한 사랑임을 깨닫게 된다. 그래서 극 중에서도 야수는 자신의 저주가 풀리지 못하게 될 것임을 알면서도 벨이 아버지를 걱정하는 것을 알고 순순히 보내주는 것이다.
어쩌면, 야수의 저주가 풀리는 것은 이 때 부터가 아닐까? 즉 야수가 자신의 이기적인 사랑을 포기하고 진정으로 상대방을 배려하면서 벨을 자신의 구속에서 풀어주었을 때 요정의 저주는 풀리고 있었던 것이다. 만약 야수가 벨을 자신의 곁에만 묶어두었다면, 아마 그는 벨의 진정한 마음을 완전히 얻지 못했을 것이다. 벨이 서서히 야수의 외양적인 모습보다는 진정한 아름다운 내면이 그 사람의 본모습이라는 것을 깨달아가고 있었지만, 그것이 정점에 이른 것은 바로 그녀 자신을 놔준 그 순간이었을 것이다.
서로의 진실한 사랑을 통해 야수의 마법이 풀리고, 벨은 왕자로 돌아온 야수의 눈을 통해 자신이 사랑했던 야수가 바로 눈앞의 왕자임을 깨닫는 장면에서 서로의 진실성이 한 번 더 보여 진다. 즉 이들의 사랑은 벨이 바라 본 야수의 외적 모습과 야수가 바라본 벨에 대한 이기적인 사랑, 이 두 장벽을 서로 허물고 진실 되게 다가선 아름다운 사랑을 탄생시켰다. 우리 사회속의 변질된 사랑, 외모지상주의와 사람보다 배경을 보는 관점 등 많은 병질적 사랑에 일침을 가하고 각 개인의 내면적 순수성을 끌어냄으로써 우리들에게 많은 사랑의 철학을 심어주는 사랑의 바이블적인 영화라고 생각한다.
7.참고문헌
베스트애니메 인물소개 사진
<앨런멘켄 약력:출처 뮤지컬 미녀와 야수 공식홈페이지>
네이버블로그 <웨스턴과 클래식 Film>
<미녀와 야수>와 부르주아 문화의 변천
오두막 네이버 블로그
All About World-위대한 애니메이션 미녀와 야수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10.10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58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