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생태][생태위기][생물][수중생물]생태계, 생물과 환경, 물에 사는 생물, 민물고기, 민물가재의 생태연구, 어패류의 생태연구, 한강에 서식하는 물고기 사례, 생태위기 극복을 위한 개선방안 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태계][생태][생태위기][생물][수중생물]생태계, 생물과 환경, 물에 사는 생물, 민물고기, 민물가재의 생태연구, 어패류의 생태연구, 한강에 서식하는 물고기 사례, 생태위기 극복을 위한 개선방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생태계
1. 생태계란 무엇인가
1) 생태계의 개념
2) 생태계의 기본 원리
3) 생태계의 정의
2. 생태계의 구성요소
1) 무생물적 인자
2) 생물적 인자
3. 에너지와 영양물질의 이동
1) 먹이사슬, 먹이그물, 영양수준
2) 생물량의 감소와 에너지 이동
4. 생태계의 예
1) 생태계의 수준
2) 자연생태계와 인공생태계

Ⅲ. 생물과 환경
1. 모네라계
2. 원생생물계
3. 균계
4. 식물계
1) 조류
2) 선태류
3) 양치류
4) 종자식물
5. 동물계
1) 해면동물
2) 자포동물
3) 편형동물
4) 연체동물
5) 환형동물
6) 절지동물
7) 극피동물
8) 척색동물

Ⅳ. 물에 사는 생물
1. 식물
1) 어리연
2) 가래
3) 나사말
4) 붕어말
5) 말즘
6) 나사말
7) 마름
8) 개구리밥
2. 동물
1) 송사리
2) 송장헤엄치개
3) 잠자리애벌레(수채)
4) 장구애비
5) 물자라-노린재목[半翅目] 물장군과의 곤충
6) 다슬기
7) 물방개
8) 우렁이
9) 물맴이
10) 소금쟁이
11) 붕어
12) 물 땡땡이-딱정벌레목 물 땡땡이과의 곤충

Ⅴ. 민물고기
1. 메기
1) 형태
2) 특성
3) 상태습성
4) 먹이
5) 크기
2. 된경모치
1) 형태
2) 특성
3) 상태습성
4) 먹이
5) 크기
3. 가시고기
1) 형태
2) 특성
3) 상태습성
4) 먹이
5) 크기
4. 동사리
1) 형태
2) 특성
3) 상태습성
4) 먹이
5) 크기
5. 동자개
1) 형태
2) 특성
3) 상태습성
4) 먹이
5) 크기
6. 버들매치
1) 형태
2) 특성
3) 상태습성
4) 먹이
5) 크기
7. 감돌고기
1) 형태
2) 특성
3) 상태습성
4) 먹이
5) 크기
8. 돌마자
1) 형태
2) 특성
3) 상태습성
4) 먹이
5) 크기
9. 참몰개
1) 형태
2) 특성
3) 상태습성
4) 먹이
5) 크기

Ⅵ. 민물가재의 생태연구
1. 연구 목적
2. 연구 내용
1) 민물가재의 서식처 조사
2) 민물가재의 먹이 상태 및 포획방법
3) 물의 양과 흐름 및 수온의 상태
3. 결론

Ⅶ. 어패류의 생태연구
1. 연구 목적
2. 연구내용
1) 어·패류의 생태에 따른 특성 조사 및 연구
3) 연중시기별, 염도에 따른 생태특성 조사 파악 및 표본제작
3. 결론 및 전망

Ⅷ. 한강에 서식하는 물고기 사례

Ⅸ. 생태위기 극복을 위한 개선방안
1. 환경보호주의적 관점
2. 기술지상주의적 관점
3. 탈자본주의적 관점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청소부라\'는 별명이 있다.
8) 우렁이
우렁이과에 속하는 고둥이다. 무논, 웅덩이 등에 산다. 수명이 7~8년인 것도 있다. 녹색 말을먹이로 하므로 어항을 깨끗하게 한다.
9) 물맴이
분류 : 딱정벌레목 물맴이과의 곤충
학명 : Gyrinus japonicus
분류 : 딱정벌레목 물맴이과
크기 : 몸길이 67.5mm
서식장소 : 논이나 연못
분포지역 : 한국(중부·제주)·일본·타이완·중국·사할린섬·시베리아
몸길이 6~7.5mm이다. 머리에는 점무늬가 없고 머리방패는 검은색이며 세로로 주름살이 많다. 겹눈은 크며 겹눈 사이에 2개의 오목하게 들어간 곳이 있다. 따라서 위쪽 눈은 수면이나 공중의 것을 보고, 아래쪽 눈은 물 속의 것을 보기 편리하게 되어 있다. 촉각(더듬이)과 윗입술은 검은색이고 큰턱·작은턱·아랫입술은 어두운 적갈색이며 양쪽 수염의 끝은 흑갈색이다. 앞가슴등판은 나비가 좁고 평활하며 광택이 난다. 중앙부 양쪽에는 분명하지 않은 가로 홈이 있다. 앞 가두리의 좌우를 따라 점무늬로 이루어진 줄이 있다. 작은 방패판에는 점무늬가 없다. 딱지날개(굳은 날개)는 광택이 둔하고 11줄의 점무늬로 이루어진 줄이 있으며 날개 끝은 둥글다. 앞가슴 옆 조각과 딱지날개의 옆 조각은 흑갈색인데 광택이 난다. 배의 꼬리마디는 반원형이며 편평하고 등 면에 회색의 짧은 털이 있으며 날개 끝에서 튀어나와 있다. 배 쪽은 검은색이고 광택이 있으며 다리는 황갈색이다. 앞다리는 가늘고 무엇을 잡으려고 할 때 이용한다. 가운뎃다리와 뒷다리에는 털이 나 있으며 짧지만 이를 돌려 헤엄친다. 수생곤충으로서 논이나 연못 등에 살며 적에게서 공격을 당하면 물 속으로 숨는다. 딱지날개와 배의 등판 사이에 넓은 공간이 있어 이를 이용해 호흡한다. 유충은 배 부분 양쪽에 10쌍의 기관아가미(기관새)가 있어 이를 이용해 계속 산소를 빨아들인다. 주된 먹이는 작은 벌레나 동식물 찌꺼지 등이다. 한국(중부·제주)·일본·타이완·중국·사할린섬·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10) 소금쟁이
몸이 매우 가볍고 다리에 잔털이 많이 나 있다. 이 털에는 기름기가 묻어 있어 물을 밀어내 뜰 수 있게 해 준다. 죽은 곤충의 체액을 빨아먹는다. 등이 물에 젖으면 죽어버리므로 수조를 옮길 때 조심한다.
11) 붕어
호수나 늪 또는 하천에 널리 살며, 몸은 대개 은백색이다. 몸의 폭이 넓고 옆으로 납작하며, 비늘은 크고 기와처럼 배열되어 있다. 잡식종으로 3급수 정도의 물에서 살며 수질오염으로 인해 우리나라 하천에 가장 쉽게 볼 수 있다.
12) 물 땡땡이-딱정벌레목 물 땡땡이과의 곤충
학명 : Hydrophilus acuminatus
분류 : 딱정벌레목 물땡땡이과
생활양식 : 수초를 먹으며 수초에 알주머니를 만듦
크기 : 몸길이 약 33mm
색 : 광택 나는 칠흑색
서식장소 : 논이나 연못
분포지역 : 한국·일본·티베트·동남아시아
몸길이 약 33mm이다. 몸빛깔은 전체가 광택이 나는 칠흑색이다. 모양은 남방 물땡땡이와 비슷하지만 겹눈과 촉각(더듬이), 양 수염이 황갈색이어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머리에 정수리가 서로 만나는 선이 Y자형으로 있고, 앞머리에 점무늬들이 거꾸로 된 갈고리 모양으로 배열해 이루어진 줄이 1쌍 있다. 겹눈의 안 가두리에 점무늬가 모여 있는 곳이 한 군데 있다. 앞가슴등판의 바깥가두리는 앞쪽이 좁고 앞뒤 양 가두리 각은 둥글다. 중앙에서 앞 가두리 근처에 거꾸로 된 八자 모양의 점무늬가 배열해 있고 양쪽에도 점무늬가 흩어져 있다. 작은 방패판은 정삼각형이고 평활하다. 딱지날개(굳은 날개)에는 점무늬가 이루는 줄이 4줄 있다. 가운뎃다리와 뒷다리의 발목마디 안쪽에 황갈색의 긴 털이 촘촘히 있다. 몸 아랫면의 가슴부 배판의 가시돌기는 제1배마디보다 길다. 수생곤충으로서 논이나 연못 등에서 살며 수초를 먹이로 한다. 여름이면 수면 가까이에서 수초에 달라붙어 넓적한 수초의 잎을 씹어 상처를 내고 부드럽게 한다. 여기에 알주머니를 만들기 위해서이다. 꼬리 끝에는 명주실 모양의 물질이 나오는데, 이것으로 알주머니를 만든다. 1개의 알주머니 안에는 수십 개의 알이 있다. 유충은 기문으로 호흡하는데, 유충의 호흡법은 물방개와 비슷하다. 성충은 기관으로도 공기를 마시며, 그 밖에 가슴 부위에 촘촘히 나 있는 털에 공기 막을 만들고 저장해 물 속에서 그 공기를 가지고 호흡한다. 물방개가 좌우의 다리를 함께 움직여 크게 물을 저어서 헤엄치는 반면, 물 땡땡이는 걸어가듯이 좌우의 다리를 번갈아 움직여서 헤엄친다. 한국·일본·티베트·동남아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Ⅴ. 민물고기
1. 메기
1) 형태
몸은 길고, 앞 부분은 원통형이나 뒤로 갈수록 옆으로 납작해진다. 머리의 앞 부분은 위아래로 몹시 납작하며 주둥이도 위아래로 납작하다. 상악이 하악보다 짧아 입은 주둥이의 끝에서 위를 향하여 열리며 입가에는 앞 콧구멍의 앞과 아래턱에 수염이 각각 1쌍씩 있다. 1쌍은 눈의 앞 쪽인 앞 콧구멍의 옆에 있으며 뒤쪽으로 누이면 가슴지느러미에 달하고 다른 1쌍은 아래턱에 있으며 그보다 짧고, 눈은 작으며 머리의 옆면 중앙보다 훨씬 앞 쪽에 있고 두 눈 사이는 매우 넓으며, 아가미갈퀴는 굵으며 짧다.
2) 특성
수질 오염에 대한 내성이 매우 강하다.
3) 상태습성
유속이 완만하고 바닥에 해캄이 깔려 있는 하천이나 호수와 늪에서 산다. 낮에는 바닥이나 돌 사이에 숨어서 움직이지 않고 주로 밤에 활동한다.
4) 먹이
육식성(치어, 모든 종류의 작은 동물), 탐식성
5) 크기
30~50cm, 1m 이상도 있다.
2. 된경모치
1) 형태
몸이 가늘고 길며, 전반부는 옆으로 약간 납작하고 후반부는 더욱 납작하며, 체고가 낮고, 가슴지느러미 사이에서부터 배의 앞쪽 까지는 비늘이 없다. 입은 주둥이의 밑에 있고 밑에서 보면 활 모양이며, 윗입술의 피질소 돌기는 1줄로 배열되어 있거나 퇴화하고, 구각부에 있는 입수염은 뒤 콧구멍 밑에 달하며 길이가 눈의 지름의 3분의2정도이고, 눈은 크며 머리의 옆면 거의 중앙에 있고 위쪽으로 붙어 있으며, 아래턱은 위턱보다 짧고, 아가미갈퀴는 4~5개이며 약하고 안쪽의 것만 짧은 돌기물로 존재한다.
2) 특성
금강의

키워드

  • 가격9,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09.10.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60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