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케어복지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국의 케어복지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병사 등은 간병과 간호를 필요로 하는 모든 노인들을 대상으로 침구의 교환, 붕대교환, 주사, 투약, 혈압검사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3. 지역사회중심 복지정책지향 - “커뮤니티케어 정책”
1) 노인대상의 커뮤니티케어
① 커뮤니티케어 개요 및 개념
- 개요 : 시설에 입소하는 노인들은 대부분 대인서비스를 받아야할 입장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주택에서는 그러한 서비스를 제대로 받을 수 없다 점 때문에 시설을 택하게 된다.
- 개념 : 영국의 커뮤니티케어는 노인들은 가급적 시설에 입소시키지 않고 지역사회에 그대로 머물러 살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개발된 개념이다.
② 내용
- 재가노인들이 필요로 하는 각종 대인서비스를 가정으로 전달하는 지원망 구축에 전 력을 투구하고 있다. 가사지원서비스, 가정간호사 파견사업, 노인이 사는 주택으로 식 사를 배달하는 프로그램, 재가노인들을 대상으로 교통편의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그 리고 노인들이 일반주택에서 생활하기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주택개조사업 등에 막 대한 투자를 하는 것도 모두가 시설에의 입소를 극소화시켜 보자는 정책의 일환이다.
③기대효과
- 노인들은 가급적이면 자신이 지난 오랜 기간 생활해오면서 정들었던 지역사회에 그 대로 머물러 있기를 원한다. 커뮤니티케어로서, 고독이나 고립감을 느끼지 않고 노후 생활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통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시설에 수용하는 것보다 복지예 산을 절감할 수 있다.
노인을 시설에 입소시키기 위해서는 시설건축비와 유지관리비, 인건비 등 막 대한 예산이 소요되지만 재가노인서비스의 경우는 우선 시설비가 들지 않고 대인서비 스 프로그램을 운영함에 있어서도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기존의 자원, 즉 가족과 친지, 그리고 자원봉사자 등 비공식자원의 효과적인 활용을 통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는 이점이 있다.
④ 지역사회의 노인보호주택 - 쉘터드하우징(shelterd housing)
- 지역단위로 설치·운영되고 있는 이 보호주택은 대체로 적게는 10인, 큰규모의 것은 20인 정도가 입주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실내의 구조로는 침대, 응접셋트, 취사시설, 화장실 등이 구비된 원베드룸 형태를 갖추고 있다.
이곳에 입주한 노인들은 75세 이상 연령층이 주류를 이루지만 식사, 세탁, 청소 등은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 노쇠현상이 심한 노인들의 경우는 마을단위로 설치되어 있는 가사지원센터에서 파견되는 홈헬퍼의 도움을 받는다. 매월 일정액의 주택임대료와 관 리비를 내야 하지만 이것은 대부분의 경우 정부로부터 지급받는 주택보조수당으로 충 당된다.
- 쉘터드 하우징의 관리인의 역할은 시설관리 이외에도 입주노인들이 건강상문제가 있 을 경우 서비스관련 담당기관, 예를 들어 가사지원센터, 방문간호센터, 또는 해당 노인 의 자녀들에게 연락을 취해주는 일 등을 통해 노인들을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 영국노인 중 일반주택에서 생활하고 있는 노인은 88.0%로서,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을 만큼 지역사회 내 커뮤니티케어의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10.12
  • 저작시기201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63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