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중관리와 식생활 수업내용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한 심한 두려움과 강박적 혐오감
불안감, 우울증, 무월경
거식증의 원인
- 생물학적 원인 : 가족력에서 우울증, 알코올 중독, 식사장애
- 심리적 요인 : 음식을 혐오하고 두려워 함, 열등감에서 외모에 집착
- 사회적 요인 : 가족관계의 문제, 외모에 대한 그릇된 가치관
- 성격적 원인 : 완벽주의, 강박감, 내성적
거식증의 위험신호
-심한 다이어트를 하거나 극히 낮은 열량만을 섭취
- 매우 적은 양의 음식을 먹고도 배가 고프지 않다고 함
- 저체중 임에도 불구하고 계속 살을 빼려 함
- 정상체중의 80% 이하의 체중이 됨
- 자신은 먹지 않고 남들에게만 계속 음식을 만들어 줌 음식에 대한 비정상적인 집착
- 다른 신체적인 원인이 없이 월경이 중단
거식증의 유형
절제형 : 하제( 구토제, 설사제, 이뇨제 등)를 규칙적으로 사용하지 않음..
폭식/하지 유형: 폭식과 하제 사용을 반복.. 절제형보다 위험도 더 높다
거식증의 특성
- 비만에 대한 두려움이 매우 크며, 강박감, 우울증, 불안감
- 자신의 신체에 대한 비대하다는 왜곡된 인식
- 음식에 대해 지나치게 생각하면서도 에너지 섭취를 매우 제한
- 체중이 많이 줄고 체중 유지를 거부
- 살 빼는 약을 복용하면서 구강, 식도, 위장 등이 상하기도 함
- 무월경, 저혈압, 느린 맥박, 갑상선 기능 저하, 전해질 불균형
- 과격한 운동으로 인체에 무리
- 기분 변화가 심하고 환벽 주의자적인 성향
- 심하면 사망
거식증의 영양관리
- 가족, 주변인에게 알리고 의사, 영양사, 심리학자 등 전문가의 도움
- 자신의 신체에 대해 올바른 이미지를 갖도록 함,
- 체중은 1주일에 0.5-1kg 증가를 목표로 함
- 초기 단계에서는 소화기관의 부담을 줄이는 음식을 선택
- 적은 양으로 여러번 식사
- 다양한 식품 섭취로 영양소를 골고루 공급
- 운동, 친구와의 대화, 산책 등은 식사장애를 극복하는데 효과적
거식증의 치료
심리적, 내과적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므로 입원치료 권장
입원 치료
- 정상체중보다 30% 이하로 떨어질 때 영양실조 복구 필요
- 전신쇠약, 탈수, 전해질 장애, 사망
약물 치료
- 항우울제, 식욕촉진제
폭식증 : 처음에는 음식 거의 먹지않다가 음식섭취 욕구조절이 안되서 비정상적으로 폭식 →혐오감.. 토해내고 장을 비운다
폭식증)신경성 과식욕증, Bulimia nervosa)
- 주기적으로, 한꺼번에 다량 음식을 먹고 고의로 장비우기를 반복하는 만성적인 질환
- 주로 고열량 음식을 먹고 결국 구토를 하여 장을 배워냄
- 흔히 설사제나 이뇨제 복용
- 과거에 비만경험
식사→불안→마구먹기→살찌는 것에 대한 두려움→토하기→불안감해소→식사 반복..
폭식증의 원인
- 생물학적 원인 : 신경전달물질이 관여,, 음식 섭취에 대한 강한 욕구
- 심리적 요인 : 외향적, 충동적, 정서불안
- 사회적 요인 : 외모에 대한 사회적 인식
폭식증 위험 신호
- 짧은 시간 내에 엄청나게 많은 양을 섭취
- 일단 먹기 시작하면 폭식을 통제할 수 없음
- 포식 후 장을 비우기 위해 구토
- 설사제, 이뇨제를 과다 목용
- 체중의 증가, 감소 등 변화 현상이 심함
- 음식이나 체중에 집착
폭식증이 특징
- 체형, 체중, 음식에 민감
- 짧은 시간에 엄청나게 많은 음식을 섭취
- 음식을 매우 빨리 먹고 남몰래 먹음
- 고열량, 달고 부드러운 음식을 즐김
- 체중 감소나 증가 등 체중의 변동이 매우 심함
- 남몰래 구토제, 이뇨제, 설사제 등을 복용 상합니다.
- 생리 불순, 충동적으로 음주, 진정제, 각성제 복용 등
- 과격한 운동으로 인체에 더욱 무리
- 비만에 대한 두려움보다 음식 조절을 못하는 데 대한 두려움
- 기분의 변화 폭이 큼
- 우울감, 죄책감, 자기 혐오감 등
폭식증의 두 유형
- 하제형 : 하제, 이뇨제, 관장제 등을 규칙적으로 복용..
- 비하제형 : 단식, 지나친 운동 등 부적절한 보상행동은 하지만 규칙적으로 하제, 이뇨제, 관장제 등을 복용하지 않음
폭식증의 영양 관리
- 영양상담과 심리적인 치료
- 폭식이 발생하는 횟수, 음식, 시간, 주변 상황등을 기록하고 이에 대한 자기 조절을 하는 치료
- 건강한 신체 이미지를 갖게 하고, 문제 해결에 음식을 이용하지 않게 교육
폭식증의 대처 방안
- 영양 상담과 심리적인 치료를 병행
- 자기 자신을 인정하게 하고, 문제 해결에 음식을 이용하지 않도록 교육
- 심리적 장애도 동반된 것이므로 정신 행동 치료도 필요
- 가족도 치료
폭식증의 치료
- 입원치료 권장
: 자기 조절능력을 키우도록 치료, 항우울제 처방
- 건강한 신체 이미지 형성 교육
- 거식증보다 예후가 좋음
마구먹기장애 : 거식,폭식증과 같이 신경정신 증상을 동반하지는 않고, 많이 먹는 wkdo일 뿐이다. 먹는거 절제가 안된다.
- 여러 번 다이어트를 시도했으나 실패한 경험이 있는 사람.
- 자신의 감정을 적당한 방법으로 표현하고 감당하지 못하는 사람에게서 주로 나타나며, 우울하거나 무력감이 있을 때 음식을 마구 섭취.. 나중에 정신장애 동반할 수 있다..
마구먹기장애의 특성
- 한 다이어트 방법에서 다른 다이어트 방법으로 계속 옮기며 시행
- 한꺼번에 너무 많은 음식을 섭취
- 폭식 후에는 심한 자책감과 우울감
- 일단 먹기 시작하면 폭식을 통제하지 못함
- 배가 고프지 않아도 많은 양의 음식을 섭취
- 폭식 후 구토를 동반하지는 않음
마구먹기장애의 영양관리
- 식사일기 쓰기.. 본인이 인식하고 스스로 판단하여 관리할수 있도록..
- 규칙적인 식사 : 생리적 변화 → 체지방 축적률 증가..
굶은 다음에 식사하면 폭식하기 쉬움
폭식의 충동이 있을 때에는 채소, 해조류 등 칼로리가 낮은 음식을 섭취
- 폭식 대신 다른 행동으로 대체.. eg 친구와 수다떨기, 운동, 산책 등
마구먹기 장애 대처방안
- 규칙적인 식사와 식사 적정량 등을 지도
- 식사일기를 쓰면서 자신이 언제 어디서 어떤 상황이나 상태에서 폭식하는지 알아보고 이를 관리
- 우울하거나 무력하다고 느낄 때 먹는 대신 선택할 수 있는 즐거운 활동 목록을 작성하 고 실천..
- 가족 친구와 대화,, 운동, 샤워, 헬스, 동호회 활동 등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09.10.1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64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