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형이상학>>>
<<존재론>>
<궁극적 실재는 물질적인가 정신적인가?>
<궁극적 실재는 원자론적인가, 전체론적인가?>
<궁극적 실재는 개별자로 구성되어 있는가, 보편자로 구성되어 있는가?>
<<동태학>>
<세계 내에서 나타나는 모든 변화들을 과연 변화의 일반원칙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
<개개의 사건들을 설명하기 위해서 어떤 종류의 일반원칙이 합당하게 사용될 수 있는가?>
<세계 내에서 일어나는 변화의 존재를 설명할 필요가 있는가?>
<<존재론>>
<궁극적 실재는 물질적인가 정신적인가?>
<궁극적 실재는 원자론적인가, 전체론적인가?>
<궁극적 실재는 개별자로 구성되어 있는가, 보편자로 구성되어 있는가?>
<<동태학>>
<세계 내에서 나타나는 모든 변화들을 과연 변화의 일반원칙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
<개개의 사건들을 설명하기 위해서 어떤 종류의 일반원칙이 합당하게 사용될 수 있는가?>
<세계 내에서 일어나는 변화의 존재를 설명할 필요가 있는가?>
본문내용
수 있으며 설명가능한 사건의 발생에는 언제나 어떤 목적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정신-물질의 문제에 관한 네 번째의 입장은 중립적 일원론이었다. 그것은 기계론-목적론 문제에 대해서 모든 설명가능한 사건들이 기계론적으로도 목적론적으로도 합리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입장을 취한다. 이런 견해를 ‘범목적기계론’이라고 부를 것이다. 범목적기계론자들은 세계를 하나의 목적을 지닌 기계로 간주한다. 이미 논의한 바대로 물질-정신의 문제에 관해서 여러 가지 다양한 이론이 있었던 것처럼 기계론 목적론이 문제에 있어서도 더 많은 입장들이 나올 수 있다. 우리의 계획은 인식 가능한 견해를 모두 논의하자는 것이 아니라 단지 주장될 수 있는 좀더 통상적인 견해를 이해하려고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세계 내에서 일어나는 변화의 존재를 설명할 필요가 있는가?>
여기서의 문제점은 특정한 이런 저런 변화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가 아니라 세계 내의 변화의 존재를 설명할 필요가 있는가 없는가 하는 문제다.어떤 철학자들은 변화는 세계에 대한 하나의 궁극적 사실이며 아무런 설명도 요하지 않고 어떤 설명도 할 수 없는 자명한 사실이라고 주장한다. 변화의 ‘지속성’에 대한 것이냐 변화의 ‘기원’에 대한 것이냐로 주장이 갈리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 나올 수 있는 첫 번째 견해는 ‘세계 내의 변화는 세계에 대한 하나의 궁극적 사실이기 때문에 설명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우주의 근본적인 측면으로 간주되는 것이다. 변화의 설명이 필요한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한 두 번째 입장은 ‘세계 내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세계의 근본 상태가 정지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설명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더구나 세계는 그의 정지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자연스러운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세계 안에서 나타나는 변화의 존재에 대한 설명이 필요한가에 대한 세 번째 의견은 앞서의 두 견해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이 입장은 변화라는 것이 자동적으로 다른 변화들은 산출할 수 있으며 정지의 관성뿐 아니라 변화의 관성도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첫 번째 견해와 일치한다. 그러나 세계의 근본적 상태는 정지라고 주장하는 점에서 두 번째 견해에 동조한다. 두 번째와 세 번째 견해들은 모두 능동적인 운동자의 개념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그런데 이 개념은 이해하기가 곤란한 개념이다. 이러한 원리는 좀더 세련된 방식으로 열역학 제2의 법칙[엔탈피(총열량) 증대의 법칙]에 진술되어 있는데 폐쇄된 체계에서는 일을 하는 데 유용한 에너지의 양이 항상 감소한다는 것이다. 이 문제와 기계론-목적론의 문제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변화의 존재를 설명할 필요가 있느냐 하는 문제에 있어서 이에 대한 첫 번째 이론―변화의 존재는 설명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은 기계론적인 접근에 동조할 것이다. 그러나 변화 자체의 시작뿐 아니라 그 지속성까지도 설명될 필요가 있다는 두 번째 입장은 목적론적인 견해에 대해 찬성을 보낼 것이다. 변화의 지속성을 설명할 필요는 없지만 변화의 시작은 설명해야 한다는 세 번째 입장은 운동이 처음 시작된 목적은 존재하지만 그 이후의 모든 운동은 기계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목적기계론적 이원론의 한 변종의 입장과 궤를 같이 한다.
이제 우리는 형이상학이 무엇인가 하는 것에 대한 우리의 논의를 다음과 같이 결론 내린다. 즉 형이상학이란 어떤 포괄적인 세계관을 발견하고자 노력하는 사변철학의 영역인데,그러한 세계관은 개별적인 사건들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틀로서 작용한다.이렇게 하여 우리는 사변철학의 다른 부분으로 관심을 돌릴 준비를 갖추었다.이 부분은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에 대한 포괄적인 견해를 개발하려는 시도이다.
<세계 내에서 일어나는 변화의 존재를 설명할 필요가 있는가?>
여기서의 문제점은 특정한 이런 저런 변화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가 아니라 세계 내의 변화의 존재를 설명할 필요가 있는가 없는가 하는 문제다.어떤 철학자들은 변화는 세계에 대한 하나의 궁극적 사실이며 아무런 설명도 요하지 않고 어떤 설명도 할 수 없는 자명한 사실이라고 주장한다. 변화의 ‘지속성’에 대한 것이냐 변화의 ‘기원’에 대한 것이냐로 주장이 갈리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 나올 수 있는 첫 번째 견해는 ‘세계 내의 변화는 세계에 대한 하나의 궁극적 사실이기 때문에 설명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변화는 우주의 근본적인 측면으로 간주되는 것이다. 변화의 설명이 필요한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한 두 번째 입장은 ‘세계 내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세계의 근본 상태가 정지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설명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더구나 세계는 그의 정지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자연스러운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세계 안에서 나타나는 변화의 존재에 대한 설명이 필요한가에 대한 세 번째 의견은 앞서의 두 견해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이 입장은 변화라는 것이 자동적으로 다른 변화들은 산출할 수 있으며 정지의 관성뿐 아니라 변화의 관성도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첫 번째 견해와 일치한다. 그러나 세계의 근본적 상태는 정지라고 주장하는 점에서 두 번째 견해에 동조한다. 두 번째와 세 번째 견해들은 모두 능동적인 운동자의 개념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그런데 이 개념은 이해하기가 곤란한 개념이다. 이러한 원리는 좀더 세련된 방식으로 열역학 제2의 법칙[엔탈피(총열량) 증대의 법칙]에 진술되어 있는데 폐쇄된 체계에서는 일을 하는 데 유용한 에너지의 양이 항상 감소한다는 것이다. 이 문제와 기계론-목적론의 문제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변화의 존재를 설명할 필요가 있느냐 하는 문제에 있어서 이에 대한 첫 번째 이론―변화의 존재는 설명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은 기계론적인 접근에 동조할 것이다. 그러나 변화 자체의 시작뿐 아니라 그 지속성까지도 설명될 필요가 있다는 두 번째 입장은 목적론적인 견해에 대해 찬성을 보낼 것이다. 변화의 지속성을 설명할 필요는 없지만 변화의 시작은 설명해야 한다는 세 번째 입장은 운동이 처음 시작된 목적은 존재하지만 그 이후의 모든 운동은 기계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목적기계론적 이원론의 한 변종의 입장과 궤를 같이 한다.
이제 우리는 형이상학이 무엇인가 하는 것에 대한 우리의 논의를 다음과 같이 결론 내린다. 즉 형이상학이란 어떤 포괄적인 세계관을 발견하고자 노력하는 사변철학의 영역인데,그러한 세계관은 개별적인 사건들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틀로서 작용한다.이렇게 하여 우리는 사변철학의 다른 부분으로 관심을 돌릴 준비를 갖추었다.이 부분은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에 대한 포괄적인 견해를 개발하려는 시도이다.
추천자료
[칸트의 사상][칸트의 철학]칸트의 사상과 철학에 관한 고찰(칸트 생애, 칸트 윤리학과 인식...
[법][법치][헌법][법형이상학][법치][법치주의][법의 형식성][법의 일반성][법치행정][정치발...
[사형제도]사형제도 폐지에 관한 찬성과 반대 주장 정리(존치론VS폐지론), 사형제도의 장단점...
[칸트][형이상학][이성비판]칸트의 사상, 칸트의 도덕철학, 칸트의 도덕과 종교, 칸트의 도덕...
아우구스티누스(성 어거스틴)의 이력과 이성관, 아우구스티누스(성 어거스틴)의 은총론과 神(...
[유교][질서관][교육사상][중용사상][문화자원][도덕교육]유교의 질서관, 유교의 교육사상, ...
[주자][주자학][성리학]주자의 태극론, 주자의 교육관, 주자학(성리학)의 개념, 주자학(성리...
정신건강의 개념과 이론적 관점 (정신건강론 중간고사 레포트)
아리스토텔레스 생애, 논리학, 범주, 추론, 삼단 논법, 형이상학, 정의된 형이상학, 질료와 ...
중국과 북한의 행정체계 비교『부제 - 4차원 시공간론의 적용』
[사회문제론 社會問題論] 사회문제를 보는 제시각 - 구조기능주의적 접근방법(Functional The...
[기독교상담 독서보고서] 『상담론』 [요약 및 서평] 존 맥아더 (John MacArthur) 저 {성경적...
데모크리토스(Democritos)의 원자론(原子論)과 불교의 극미론(極微論)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