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줄거리
2. 생각해보아야 할 점
2. 생각해보아야 할 점
본문내용
그녀의 상처가 치유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사람을 용서한다는 것이 가능할까?
마. 신애가 바로 우리의 모습이 아닐까? 끊임없는 하나님의 사랑을 거부하는 우리의 모습.
바. 힘들고 어려운 이웃이나 형제들에게 하나님처럼 애통해하는 마음이 없이 언어로만 위로하는 우리의 믿음을 보시고 하나님께서 ‘거짓말이야’라고 하시지 않을까?
사. 전도의 올바른 방향을 점검해보아야 할 것 같다. 신애는 남편과 아이가 죽어서 영적으로 아주 큰 상처를 입고있는 사람이다. 물론 성령님의 역사를 기대할 수도 있지만, 우선 그녀의 상처를 치유해주면서 구원의 확신을 갖도록 말슴안에서 양육을 해야하는 과정이 빠져있는 것 같다. 물론, 기독교 영화가 아니지만, 실제 우리 주위에서의 전도가 약사부부의 방법과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마. 신애가 바로 우리의 모습이 아닐까? 끊임없는 하나님의 사랑을 거부하는 우리의 모습.
바. 힘들고 어려운 이웃이나 형제들에게 하나님처럼 애통해하는 마음이 없이 언어로만 위로하는 우리의 믿음을 보시고 하나님께서 ‘거짓말이야’라고 하시지 않을까?
사. 전도의 올바른 방향을 점검해보아야 할 것 같다. 신애는 남편과 아이가 죽어서 영적으로 아주 큰 상처를 입고있는 사람이다. 물론 성령님의 역사를 기대할 수도 있지만, 우선 그녀의 상처를 치유해주면서 구원의 확신을 갖도록 말슴안에서 양육을 해야하는 과정이 빠져있는 것 같다. 물론, 기독교 영화가 아니지만, 실제 우리 주위에서의 전도가 약사부부의 방법과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