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본문내용
연관성이 없을 때는 비참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러한 의지가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훈련된 사람에게는 가치 있는 자산이 된다. 바울에게는, 그의 귀가 하나님의 평가의 커다란 목소리에 집중되었기 때문에 사람의 목소리는 약하게 들렸다. 또한 더 높은 심판대 앞에 설 것을 의식했기 때문에 사람의 판단을 두려워하지 않았다(고후 8:21).
16. 지도자의 책임
지도자 자격에 대해 예수님은 섬기는 것을 말씀하셨으며, 이것은 세상적이거나 영적인 영역을 막론하고 진실인 것이다. 참된 지도자는 그 자신의 안락과 특권보다도 다른 사람의 복지를 우선적으로 생각해야 한다, 그리고 자신들의 문제와 어려움과 걱정으로 가득 찬 자기 밑에 있는 자들에게 연민과 관심을 나타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은 마음을 약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견고하게 하고 기운을 북돋아주는 연민이다. 그는 언제나 자기 수하에 있는 자들의 신뢰가 주님께로 향하도록 해야 한다. 그는 위급한 경우를 도움을 위한 새로운 기회로 삼는다. 하나님께서 모세의 뒤를 이을 지도자를 선택할 때, 하나님께 충성스러운 종으로 입증되었던 여호수아를 택하셨다는 것은 주목해 볼 가치가 있다(출 33:11).
지도자의 또 다른 책임을 징계하는 것이다. 이런 책임은 무거운 짐이며 사실 달갑지도 않은 것이다. 어떤 교회나 종교 단체에서 특별히 믿음과 윤리와 그리스도인의 행위의 건전함에 관해서 거룩한 수준이 유지되려면, 경건하고 충실한 훈련이 필요하다. 온유한 심령은, 비판적으로 흠잡기를 좋아하는 영성 이상의 것을 성취할 것이다. 징계를 필요로 하는 문제에 접근할 때는 다섯 가지 요지를 마음에 새여야 한다. (1) 가장 철저하고 편견이 없는 조사를 한 후, 취해져야 한다. (2) 사역과 개인 모두에게 이롭다고 생각될 때 행한다. (3) 항상 사랑하는 마음 가운에서 행해야 하고, 매우 사려 깊은 태도에서 행해져야 한다. (4) 언제나 영적인 필요와 위반자의 복귀를 고려해야 한다. (5) 많은 기도로 행해져야 된다.
세 번째 책임은 인도하는 것이다. 영적 지도자는 자기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를 알아야 하며, 동방의 목자들처럼 자기 양떼 앞에 있어야 한다. 이것이 목자장의 방법이었다. 그러나 아무리 경건하다고 해도 자기 의지가 확고한 사람들은 인도한다는 것이 간단한 일은 아니다. 지도자는 무자비하게 자기의 뜻을 고집해서는 안 된다. 호스트(D.E. Hoste)는 이 사실을 강조했다.
지도자의 직무에서 한 가지 중요한 기능은 시작하는 것이다. 어떤 이들은 새로운 모험적인 일을 시작하기보다는 얻은 것을 보존하려는 데 급급하며, 열정을 산출하기보다 규칙을 유지하는 데 마음을 쏟는다. 진정한 지도자는 비전이 있어야 할뿐만 아니라 모험을 좋아해야 한다. 그는 단지 대비하는 사람이기보다는 오히려 주도권을 쥔 사람이어야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안전하게 살기를 좋아하지만, 바울은 안전하게 살지 않았다. 그는 기대되는 위험들에 유의하며 기도하는 마음으로 대처해나갔다. 지도자는 진행하기 위한 계획들을 주도하든지 다른 이들의 계획을 인정하든지 해야 한다. 그는 뒤에 있는 자들을 인도하고 방향을 설정해주기 위해 앞에 있어야만 한다. 상당수의 실패는 새로운 생각을 가진 대담한 실험의 결과라기보다는 오히려 지나친 조심 때문이었다. 지도자는 자기 주위에 있는 조심스러운 사람들의 권고를 무시할 수 없다. 그들은 가끔 지도자를 무익한 실수로부터 구할 것이다, 그러나 만일 자신의 비전이 하나님의 비전이라고 느낀다면 지나친 조심 때문에 자기의 주도권이 억제되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
지도자의 필수 불가결한 기능은 책임을 지며 기꺼이 그 책임을 수행하는 것이다. 만일 그게 이것이 준비되지 않았다면, 그 직분을 맡기에는 부적격하다. 또한 지도자가 자신의 위치에서 일어나기 쉽고 더욱 부담이 되는 어려운 난관들을 부담스럽게 여겨 피하려고 한다면 그의 영향력은 그 정도에서 제한되고 만다. 여호수아는 위대한 지도자 모세의 발걸음을 따르는 데서 성가신 책임을 주저하지 않고 받아들임으로 그의 지도자적 자질을 나타냈다. 여호수아는 모세보다 자신의 부적당함을 변명할 더 큰 이유가 있었지만, 모세가 자기의 부적당함을 변명한 것과 같은 죄를 반복하지 않았다. 대신에, 그는 일에 대해서 신속하게 책임을 인정했고 자기 자신을 그 일에 드렸다. 하나님께 쓰임 받았던 사람들의 내적인 삶을 성찰하면서 그들의 영적인 효과면 에 기여했던 몇 가지 요소들을 살펴보면 용기를 얻게 될 것이다.
무거운 책임을 수행했던 벤슨(Benson) 대주교는 그가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 지키던 규칙들을 『로버트 스피어의 일생』이라는 책에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에게 큰 도전과 감동을 주고 있다.
* 하루의 중요한 일을 시작하는데 꾸물거리지 말 것.
* 일이 많다거나 시간이 부족하다고 투덜대지 말 것이며 모든 시간을 사도록 할 것.
* 편지 답장할 때 괴로워하거나 투덜대지 말 것.
* 주어진 일에 고통을 느낌으로 맡겨진 일을 확대해서 보지 말며, 자유와 기뻐함으로 모든 것을 처리 할 것.
* 복잡한 일이나 하찮은 경험에 지나치게 신경 쓰지 말 것.
* 어떤 사람을 혹평하기에 앞서, 그를 향한 하나님의 진정한 사랑을 얻을 것, 네가 알고 있는 것과 네가 고려할 수 있는 모든 것이 확실한가를 점검할 것. 그렇지 않다면 아무리 좋은 의도로 누군가를 자극하기 위해 책망했다 할지라도 그 결과는 아무 효과도 없으며 유익도 없을 것이다.
* 다른 사람에 관해서는 되도록 침묵을 지키고, 분별없이 모든 것을 믿지 않으며, 이야기한 것을 마구 지껄이지 않는 것이 화평을 위해 잘하는 것이다.
* 과거의 자기 봉사에 대한 찬사, 감사, 존경을 윗사람이나 동년배에게 구하지 말 것.
* 자신의 충고나 의견이 관철되자 않을 때 불쾌한 감정을 가지지 말 것.
* 자신을 다른 사람과 대조할 때 유리한 위치에 놓지 말 것.
* 자신과 관계 있는 말을 하려고 애쓰지 말 것.
* 아무런 호의나 동정을 구하지 말고, 상냥스러움을 구걸하지 말 것.
* 비난을 나누거나 퍼뜨리는 것을 참을 것.
* 자신의 계획한 것과 실행한 것에 대한 명예가 다른 사람들에게 주어질
16. 지도자의 책임
지도자 자격에 대해 예수님은 섬기는 것을 말씀하셨으며, 이것은 세상적이거나 영적인 영역을 막론하고 진실인 것이다. 참된 지도자는 그 자신의 안락과 특권보다도 다른 사람의 복지를 우선적으로 생각해야 한다, 그리고 자신들의 문제와 어려움과 걱정으로 가득 찬 자기 밑에 있는 자들에게 연민과 관심을 나타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은 마음을 약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견고하게 하고 기운을 북돋아주는 연민이다. 그는 언제나 자기 수하에 있는 자들의 신뢰가 주님께로 향하도록 해야 한다. 그는 위급한 경우를 도움을 위한 새로운 기회로 삼는다. 하나님께서 모세의 뒤를 이을 지도자를 선택할 때, 하나님께 충성스러운 종으로 입증되었던 여호수아를 택하셨다는 것은 주목해 볼 가치가 있다(출 33:11).
지도자의 또 다른 책임을 징계하는 것이다. 이런 책임은 무거운 짐이며 사실 달갑지도 않은 것이다. 어떤 교회나 종교 단체에서 특별히 믿음과 윤리와 그리스도인의 행위의 건전함에 관해서 거룩한 수준이 유지되려면, 경건하고 충실한 훈련이 필요하다. 온유한 심령은, 비판적으로 흠잡기를 좋아하는 영성 이상의 것을 성취할 것이다. 징계를 필요로 하는 문제에 접근할 때는 다섯 가지 요지를 마음에 새여야 한다. (1) 가장 철저하고 편견이 없는 조사를 한 후, 취해져야 한다. (2) 사역과 개인 모두에게 이롭다고 생각될 때 행한다. (3) 항상 사랑하는 마음 가운에서 행해야 하고, 매우 사려 깊은 태도에서 행해져야 한다. (4) 언제나 영적인 필요와 위반자의 복귀를 고려해야 한다. (5) 많은 기도로 행해져야 된다.
세 번째 책임은 인도하는 것이다. 영적 지도자는 자기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를 알아야 하며, 동방의 목자들처럼 자기 양떼 앞에 있어야 한다. 이것이 목자장의 방법이었다. 그러나 아무리 경건하다고 해도 자기 의지가 확고한 사람들은 인도한다는 것이 간단한 일은 아니다. 지도자는 무자비하게 자기의 뜻을 고집해서는 안 된다. 호스트(D.E. Hoste)는 이 사실을 강조했다.
지도자의 직무에서 한 가지 중요한 기능은 시작하는 것이다. 어떤 이들은 새로운 모험적인 일을 시작하기보다는 얻은 것을 보존하려는 데 급급하며, 열정을 산출하기보다 규칙을 유지하는 데 마음을 쏟는다. 진정한 지도자는 비전이 있어야 할뿐만 아니라 모험을 좋아해야 한다. 그는 단지 대비하는 사람이기보다는 오히려 주도권을 쥔 사람이어야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안전하게 살기를 좋아하지만, 바울은 안전하게 살지 않았다. 그는 기대되는 위험들에 유의하며 기도하는 마음으로 대처해나갔다. 지도자는 진행하기 위한 계획들을 주도하든지 다른 이들의 계획을 인정하든지 해야 한다. 그는 뒤에 있는 자들을 인도하고 방향을 설정해주기 위해 앞에 있어야만 한다. 상당수의 실패는 새로운 생각을 가진 대담한 실험의 결과라기보다는 오히려 지나친 조심 때문이었다. 지도자는 자기 주위에 있는 조심스러운 사람들의 권고를 무시할 수 없다. 그들은 가끔 지도자를 무익한 실수로부터 구할 것이다, 그러나 만일 자신의 비전이 하나님의 비전이라고 느낀다면 지나친 조심 때문에 자기의 주도권이 억제되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
지도자의 필수 불가결한 기능은 책임을 지며 기꺼이 그 책임을 수행하는 것이다. 만일 그게 이것이 준비되지 않았다면, 그 직분을 맡기에는 부적격하다. 또한 지도자가 자신의 위치에서 일어나기 쉽고 더욱 부담이 되는 어려운 난관들을 부담스럽게 여겨 피하려고 한다면 그의 영향력은 그 정도에서 제한되고 만다. 여호수아는 위대한 지도자 모세의 발걸음을 따르는 데서 성가신 책임을 주저하지 않고 받아들임으로 그의 지도자적 자질을 나타냈다. 여호수아는 모세보다 자신의 부적당함을 변명할 더 큰 이유가 있었지만, 모세가 자기의 부적당함을 변명한 것과 같은 죄를 반복하지 않았다. 대신에, 그는 일에 대해서 신속하게 책임을 인정했고 자기 자신을 그 일에 드렸다. 하나님께 쓰임 받았던 사람들의 내적인 삶을 성찰하면서 그들의 영적인 효과면 에 기여했던 몇 가지 요소들을 살펴보면 용기를 얻게 될 것이다.
무거운 책임을 수행했던 벤슨(Benson) 대주교는 그가 인생을 살아감에 있어 지키던 규칙들을 『로버트 스피어의 일생』이라는 책에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에게 큰 도전과 감동을 주고 있다.
* 하루의 중요한 일을 시작하는데 꾸물거리지 말 것.
* 일이 많다거나 시간이 부족하다고 투덜대지 말 것이며 모든 시간을 사도록 할 것.
* 편지 답장할 때 괴로워하거나 투덜대지 말 것.
* 주어진 일에 고통을 느낌으로 맡겨진 일을 확대해서 보지 말며, 자유와 기뻐함으로 모든 것을 처리 할 것.
* 복잡한 일이나 하찮은 경험에 지나치게 신경 쓰지 말 것.
* 어떤 사람을 혹평하기에 앞서, 그를 향한 하나님의 진정한 사랑을 얻을 것, 네가 알고 있는 것과 네가 고려할 수 있는 모든 것이 확실한가를 점검할 것. 그렇지 않다면 아무리 좋은 의도로 누군가를 자극하기 위해 책망했다 할지라도 그 결과는 아무 효과도 없으며 유익도 없을 것이다.
* 다른 사람에 관해서는 되도록 침묵을 지키고, 분별없이 모든 것을 믿지 않으며, 이야기한 것을 마구 지껄이지 않는 것이 화평을 위해 잘하는 것이다.
* 과거의 자기 봉사에 대한 찬사, 감사, 존경을 윗사람이나 동년배에게 구하지 말 것.
* 자신의 충고나 의견이 관철되자 않을 때 불쾌한 감정을 가지지 말 것.
* 자신을 다른 사람과 대조할 때 유리한 위치에 놓지 말 것.
* 자신과 관계 있는 말을 하려고 애쓰지 말 것.
* 아무런 호의나 동정을 구하지 말고, 상냥스러움을 구걸하지 말 것.
* 비난을 나누거나 퍼뜨리는 것을 참을 것.
* 자신의 계획한 것과 실행한 것에 대한 명예가 다른 사람들에게 주어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