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도르노][문화산업][예술진리][미메시스]아도르노의 이념, 아도르노의 청년시절, 아도르노의 문화산업, 아도르노의 예술 진리, 아도르노의 자율성과 사회성, 아도르노와 미메시스의 관계에 관한 분석(아도르노, 예술진리, 미메시스, 자율성, 사회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도르노][문화산업][예술진리][미메시스]아도르노의 이념, 아도르노의 청년시절, 아도르노의 문화산업, 아도르노의 예술 진리, 아도르노의 자율성과 사회성, 아도르노와 미메시스의 관계에 관한 분석(아도르노, 예술진리, 미메시스, 자율성, 사회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아도르노의 이념

Ⅲ. 아도르노의 청년시절

Ⅳ. 아도르노의 문화산업

Ⅴ. 아도르노의 예술 진리

Ⅵ. 아도르노의 자율성과 사회성

Ⅶ. 아도르노와 미메시스의 관계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잇고 있고 이런 의미에서 아도르노와도 일맥상통한다. 그러나 포스트구조주의자들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주체철학, 반성철학만을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주체 개념, 진리, 이성, 역사철학, 변증법, 유토피아 등 모더니즘 철학과 미학에서 중심적 역할을 한 개념들 전체에 대해 똑같은 의심의 눈초리를 보낸다. 그들은 미메시스의 논리가 동일한 것, 항구적인 것(주체, 진리)을 재현과 복제를 통해 재생산하고 유지하는 미메톨로지의 폐쇄적 메카니즘에 복속되어 온 연관관계를 특히 언어와 주체의 전통적 구조에 대한 해체작업을 통해 폭로한다. 그리고 그들이 이러한 분석과 해체작업에서 밝혀내는 구조들은 아도르노의 미메시스구상을 비롯하여 미메시스의 새로운 측면들을 발견하는 작금의 인문, 사회과학적 연구들에서 얻어진 결과들과 많은 공통점을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도르노와 그 이후의 미메시스론의 차이를 간과할 수 없다. 그것은 아도르노의 철학이 궁극적으로 현실을 문제 삼고 실천을 통한 현실의 변화를 추구하는 한 실천적 함의를 갖는데 비해, 포스트모더니즘적 담론들에서는 그들이 전승된 담론과 텍스트들의 탈중심화만을 추구하는 한, 이러한 실천적, 정치적 차원이 상당한 정도로 배제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며 바로 이 점이 미메시스에 대한 구상에서도 흔적을 남기고 있다고 생각된다. 즉 해체주의는 미메시스에서 객체에 대한 지향성을 통해 지배적인 동일성 논리의 결함을 드러내고 전복시키는 주체성의 역할을 부각시키는 대신 미메시스를 단순히 로고스중심주의와 관련시키면서 재현의 구조에서 드러나는 역설, 모순, 균열을 파헤치는 데 치중한다. 그리하여 해체주의자들은 결국 미메시스의 실천적 측면을 놓치고 있으며, 섬세하고 치밀한 읽기에도 불구하고 현실을 변화시킬 수 있는 인식으로 나아가기보다 차라리 재현논리의 역설과 회의주의에 머물면서 모든 유토피아적 전망을 차단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 점에서 그들의 미메시스론은 역사적 경험과 희망의 변증법에서 자양을 취하는 아도르노의 미메시스구상과의 차이가 있다.
Ⅷ. 결론
1920년대 초 이후 반세기에 걸쳐 서구의 음악 비평을 주도했던 아도르노(Theodor W. Adorno, 1903-1969)의 음악이론과 철학에 대한 관심은 주로 쇤베르크(Arnold Schonberg)를 비롯한 제2 빈악파에 대한 그의 해석에 집중되어왔다. 그러나 신음악의 철학의 역사적 영향을 인정하더라도 그를 음렬 음악 이론가이거나 쇤베르크의 대변자로만 간주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오히려 그의 음악이론은 근대 이후 서양 음악의 전 영역을 포괄하며 그는 음악 창작(생산)과 수용(소비)의 기제와 음악의 내재적 원리를 사회철학적 기준과 음악적 가치와 연관시켜 논의한다. 이에 따라 그의 음악 이론은 기존의 음악사학적 관념이나 사실들에 도발적으로 문제를 제기한다. 그것은 음악사를 어떻게 해석하고 서술해야 하는가라는 음악사의 철학에, 특정 작곡가에 대한 평가와 해석의 측면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물론 강한 실증적 성격을 갖는 음악사학과 아도르노의 음악 해석이 쉽사리 양립될 수는 없지만 실증과 해석이 철저한 상호 배타적 관계는 아니기 때문에 아도르노의 그것은 쉽사리 사변이나 독단으로 매도할 수 없는 진실을 지니고 있다.
아도르노는 미술사의 시대 구분 방식으로부터 많은 것을 빌리고 있는 기존의 음악사 시대 구분이 지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비판한다. 그의 음악적 시야의 근간에는 서양 근대 사회의 출발 이후 음악이 시민 사회의 흐름과 함께 전개되어왔다는 관점이 놓여있다. 즉 그는 시민 음악(burgerliche Musik)이라는 보다 포괄적인 개념으로 전체 음악사를 파악하고 있다. 시민 사회가 형성되고 전개되며, 위기에 처하고 몰락과 파탄으로 막을 내리는 사회사가 음악에 내재적으로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이런 관점은 지금까지의 어떤 저자의 음악사에서도 볼 수 없는 독창적인 관점이다. 이런 의미에서 아도르노는 체계적이고 독립된 음악 통사를 쓴 것은 아니지만 그의 음악 저술 전 작업은 기존 음악사를 비판하는 또 다른 음악사 서술이라 할 수 있다.
그는 근대이후 철학과 음악의 역사가 동일한 체계 안에서 전개된 것으로 파악한다. 특히 근대 음악을 주체와 객체의 변증법적 상호성에 바탕을 두고 해석한다. 이런 관점에서 연구자는 바로크 시대 바흐로부터 이차대전 이후 1950년대의 작곡가에 이르기까지 서양 주요 작곡가들에 대해 아도르노가 음악 소재 처리를 근거로 시민 사회의 각 단계와 대응, 유비(Analogie)시키고 있음을 발견하였고 또한 그 작곡가들은 그의 역사와 사회 철학에 근거하여 진보(Fortschritt)와 퇴행(Regression)이라는 기준으로 구분하고 있음을 주목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기준이 분명히 제시된 그의 대표적인 저작은 신음악의 철학(Philosophie der neuen Musik)이다. 여기에서 그는 쇤베르크를 진보, 스트라빈스키(I. Strawinsky)를 복고(Restauration)로 양극화시켜 대파국에 이른 서구 문명의 운명을 음악 속에서 읽어낸다. 그러나 아도르노는 음악 비평가로서 활동한 이래 초기부터 이 기준을 견지하였으며 서구의 많은 작곡가들이나 음악사적 주요 사실에도 이 기준을 적용시켜 평가한다. 즉 19세기 이후 신독일 악파를 중심으로 음악에서도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었던 음악적 진보의 개념은 아도르노에 의해 철두철미하게 새로이 규명되고 정립된다. 그것은 진보적 음악사관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는 아도르노가 근대 이후의 작곡가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해 기존의 음악사와는 구분되는 관점에서 음악사를 재구성하고 있다고 보고 그 실체를 그의 저작들을 통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 문병호, 아도르노의 사회이론과 예술이론, 문학과 지성사, 1993
◇ 배요한, 흐름으로 보는 서양 사상, 동인서원, 1998
◇ T.W 아도르노, 미학이론
◇ T.W 아도르노·호르크하이머, 계몽의 변증법
◇ T.W 아도르노·호르크하이머, 이성은 신화다 계몽의 변증법
◇ T.W 아도르노·하버마스, 김유동역, 현대비평과 이론, 1993
◇ T.W 아도르노, 홍승용역, 미학 이론, 문학과 지성사, 2005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10.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71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