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낭종(ovarian cystoma)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난소낭종(ovarian cystom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대상 및 기간
3. 연구방법
4. 문헌고찰

Ⅱ. 본 론
1)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 자료 수집
2) Problem list
3) 간호진단 :

본문내용

:
#1. 수술과 관련된 통증
#2. 수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1. 수술과 관련된 통증 - 7/30
간호 사정
간호 진단
간호 목표
간호 계획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 평가 및 재계획
S :
“허리랑 배가 너무 아파요.”
“진통제 좀 주세요.”
“아파서 일어설 수가없어요.”
O :
인상을 찌푸리며 고통을 호소한다.
배를 감싸안고 옆으로 쪼그려 누워있다.
통증척도가 5점 만점에 4점이라고 대답한다.
수술과
관련된
통증
장기적 목표:
대상자는 더 이상 아프다고 말하지 않는다.
단기적 목표:
① 대상자는 7월 31일 6시까지 통증이 8에서 5로 줄었다고 말한다.
② 대상자는 7월 31일 20시까지 호흡수와 BP가 정상범위로 돌아온다.
1. 진통제를 투여한다.
2. 통증의 양상 및 정도를 사정한다.
3. v/s을 측정한다.
4. 편안한 체위를 취하게 해준다.
5. 안정을 취하게 한다.
6. 환자가 병실 앞을 걸 걸을 수 있도록 격려한다.
1-①.
처방된 진통제 Cnac를 1A 1M으로 inj한다.
1-②.
진통제의 반응을 사정하고 기록한다.
2. 통증척도를 통하여 통증의 정도와 특성을 파악한다.
3. v/s를 15분마다 측정한다.
4. 반좌위를 취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5-①.
가족에게 격려와 지지를 받도록 한다.
5-②.
잔잔한 음악을 통해 편안한 마음을 갖을 수 있도록 해준다.
6. 환자가 걸을 수 있는 만큼 걷도록 돕고, 매일 걷는 횟수와 거리를 증가시킨다.
1. Cnac은 진통제인데 수술 후의 통증을 완화시켜준다.
2. 통증척도는통증의 정도를 대상자의 주관적인 척도로 많이 사용된다.
3. 통증이 심하면 v/s의 호흡수와 맥박수, BP가 증가할 수 있다.
4. 반좌위는 통증의 정도를 경감시킬 수 있다.
5. 가족들을 통하여 용기를 얻어 마음을 든든히 할 수 있으며, 음악은 마음에 여유를 찾고 편안하게 할 수 있다.
6-①. 걸을 수 있는 거리를 점차 조금씩 늘려가는 것이 좋다.
6-②. 조기이상은 회복을 촉진하고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 할 수 있다.
1,2-①.
환자는 7월31일 6시에 통증이 8에서 5로 줄었다고 말하였다.
1,2-② 7월31일 14시에 통증으로 인해 고통스러워하는 표정 보이지 않는다.
2.(재계획)
8월1일에 통증척도를 통해 통증의 양상과 정도를 다시 한번 확인한다.
3. 7월31일 20시에 BP가 170/100에서 120/70으로, 맥박이 76에서 60으로 떨어졌다.
3.(재계획)
v/s를 30분마다 2번측정하며 그 이후에는 1시간마다 측정한다
4. 대상자는 반좌위를 통해서 통증이 많이 나아졌다고 말했다.
5. 대상자는 7월 31일에 가족을 통하여 용기를 갖게 되었다고 말했다.
6. 대상자는 19일에 병실 앞에서 천천히 걷는 운동을 보였다.
6. 대상자는 매일 운동하는 시간과 거리를 늘려가고 있다고 22일에 말했다.
#2. 수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 7/31
간호 사정
간호 진단
간호 목표
간호 계획
간호 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 평가 및 재계획
O:
oopherectomy를 시행하였다
폴리카테터를 삽입하였다.
수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장기적 목표:
대상자는 감염의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단기적 목표:
① 감염위험성을 감소시킨다.
② 대상자의 WBC 수치가 정상적인 범위를 유지한다.
1. 활력징후를 체크하고 특히 발열에 대해 사정한다.
2. 무균적으로 수술부위를 드레싱한다.
3. 발열에 대하여 설명한다.
4. 감염여부를 위해 검서를 실시한다.
5. 적절하게 수분과 영양을 공급해 준다.
1. v/s를 15분마다 4번, 30분마다 2번, 1시간에 1번 측정한다.
2-①.
간호수행시 철저히 손을 씻는다.
2-②.
글러브를 끼고 드레싱한다.
3. 추워도 이불을 하나만 덥도록 지도하며 그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4. 혈액학적 검사를 실시한다.
5. 적절한 수분과 식사를 제공한다.
1. 감염시 발열이 나타난다.
2. 간호시행 전,후 손씻기는 대상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균을 최소화한다.
3. 춥다고 이불을 많이 덥게 되면 열이 나서 감염되기 쉬운 환경이 될 수 있다.
4. 혈액학적 검사에서 WBC의 수치가 내려가면 감염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5. 적절한 수분과 영양은 신체방어기전을 유지하는데 중요하다.
1,2,3.
대상자에게 감염의 증상이 아타나지 않았다.
4. WBC수치가 5.0, 7.3 이 나왔다.
5-①.(재계획) 가스가 나오면 수술2일째부터 미음→죽→일반식이로 점진적으로 바꾸어준다.
5-②.
수술 7일 후에 퇴원을 하면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Ⅲ. 결론
대상자는 2007년 2월부터 아랫배의 무거움을 느끼시다 외래를 통하여 Benign neoplasm of ovary, Rt를 진단받으셨다. 2008년 7월30일 오전 10시30분에 본 병원에 입원하셔서 14시50분부터 15시35분 동안 Bilateral oophorectomy를 받으셨다. 10개월 전부터 혈압약과 위장약을 함께 복용하시고 계신 상태였다. 수술 후 질출혈로 인해 피가 나오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 분은 경과가 좋아서 그런 것은 전혀 보이지 않았다. 조기이상의 중요성과 병동 운동을 교육을 받아 시간나는 틈틈이 병실 앞을 천천히 걸어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번 실습을 통하여 V/S과 조기이상의 중요성을 알게되었고, 환자에게 투여되는 약을 알아가면서 이 환자에게 왜 이 약을 써야 하는지도 생각할 수 있었고, 공부할 수 있어서 너무 좋았던 것 같다. 산부인과 병동에서 수액세트 연결하기, fluid 교체하기, IV side 슈팅, IM, BST 등 많은 것을 직접하고 눈으로 배울 수 있어 정말 뜻깊은 시간이였던 것 같다.
잘 몰라서 환자분의 차트와, Lab 결과를 보는 방법에 대해서 많이 여쭤봤는데 친절하게 가르쳐주신 간호사 선생님들께 정말 감사했다.
* 참 고 문 헌 *
이경혜외(2004)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399~400쪽
가정의학백과사전 대성출판사
동인병원 간호사임상실습지침서 404, 405쪽
서울대약대 임상 약학실 - http://www.druginfo.co.kr
http://www.kimsonline.co.kr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9.10.20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75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