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그리스인의 종교관
3. 그리스인의 국가관
4. 그리스인의 개인관
5. 그리스인의 예술관
6. 맺음말
2. 그리스인의 종교관
3. 그리스인의 국가관
4. 그리스인의 개인관
5. 그리스인의 예술관
6. 맺음말
본문내용
인하여 영혼의 도덕적 탁월함이 생기는 것이다. 또한 예술을 교훈적이라고 생각하였다. 비록 예술의 목적이 쾌락이더라도 조화를 이룬 쾌락을 통해 개인의 덕의 함양을 이루어 주기 때문이다.
그리스인에게 조각과 회화는 미학적 쾌락의 수단일 뿐만 아니라 국가 생활을 해석하고 표현하는 양식이기도 하였다. 다양한 신들의 조각상은 관습적 상징과 각 신들의 개성을 표현하였다. 그리스 조각은 국가 종교의 표현이었다. 조각을 통하여 국가의 이상적 측면을 대표하였다.
그리스에서 음악은 도덕적 성격이 강조 되었다. 플라톤이 음악을 바꾸는 것이 국가를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말할 정도였다. 그리스인들은 음악이 사람에게 어떤 종류의 감정을 불러 일으켜 일종의 쾌락을 느끼게 해준다고 생각하였다. 그 쾌락을 통하여 인간은 내적인 탁월함에 도달한다. 가장 아름다운 음악이 도덕적으로도 가장 훌륭한 음악이 되는 것이다.
그리스 시는 그들의 교육의 기초 과목이었다. 시를 통하여 호메로스 등의 고전을 배우고 사변적 사유를 배웠다. 그리스 인들은 도덕적 인간만이 시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시는 필수 교양이었다.
그리스 비극과 희극은 종교적인 성격을 띈다. 두 극 다 노래와 무용으로 구성되었다. 비극은 디오니소스 축제 때에 공연되었다. 그것은 종교와 결부되어 있는 것이다. 비극은 국가의 이상의 표현을 목적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고대 영웅의 운명과 삶 공연함으로 윤리적인 측면을 강조 하였다. 비극은 성격보다는 행위를 강조하였다. 그를 통해 보편적인 인간의 본성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희극은 해학극 형식의 빌어 그리스 인의 자유로운 일상생활 관찰하였다.
그리스인은 예술과 행위의 조화를 통하여 균형 있는 아레테를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그들은 예술을 통하여 내면적인 것을 외면적으로 완전히 드러내었다.
Ⅴ. 맺는말
그리스인의 이상은 실제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그들의 모든 부분에서 나타난다. 종교에서는 본질적 특성은 신인동형적 신에 대한 신앙이다. 이 신앙에 의해 인간의 능력과 자연의 능력사이에 조화가 성립 되었다. 이것은 인간의 이성이 아닌 상상력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다. 이런 조화의 원리는 그들의 영혼과 육신을 유기체로 보게 만들었다. 그리하여 외적 미를 통해 도덕적 탁월함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국가와 개인 간의 관계에서도 조화를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개인의 이상은 오직 국가 안에서만 의의가 있다고 생각했다.이러한 면을 볼 때, 그리스 문화는 본질적으로 조화의 문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화는 일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았다. 결국 그리스 사회의 조화를 이룬 것처럼 보였던 근본적인 모순으로 인하여 그들은 스스로 자멸한다. 종교는 초기 그리스인의 정신인 신화가 이성적 보편법칙이 대립함으로써 폐기되고 만다. 그리스인은 ‘그리스다움’을 잃어버린 것이다. 또한 외적 탁월함은 강자의 횡포의 정당성을 사회적으로 부여해주며 의미가 변질되었다.
그리스인은 궁극적 조화를 불완전하게나마 추구했지만 실현하지 못하였다. 궁극적인 조화는 어디에서도 실현될 수 없다.
그리스인에게 조각과 회화는 미학적 쾌락의 수단일 뿐만 아니라 국가 생활을 해석하고 표현하는 양식이기도 하였다. 다양한 신들의 조각상은 관습적 상징과 각 신들의 개성을 표현하였다. 그리스 조각은 국가 종교의 표현이었다. 조각을 통하여 국가의 이상적 측면을 대표하였다.
그리스에서 음악은 도덕적 성격이 강조 되었다. 플라톤이 음악을 바꾸는 것이 국가를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말할 정도였다. 그리스인들은 음악이 사람에게 어떤 종류의 감정을 불러 일으켜 일종의 쾌락을 느끼게 해준다고 생각하였다. 그 쾌락을 통하여 인간은 내적인 탁월함에 도달한다. 가장 아름다운 음악이 도덕적으로도 가장 훌륭한 음악이 되는 것이다.
그리스 시는 그들의 교육의 기초 과목이었다. 시를 통하여 호메로스 등의 고전을 배우고 사변적 사유를 배웠다. 그리스 인들은 도덕적 인간만이 시인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시는 필수 교양이었다.
그리스 비극과 희극은 종교적인 성격을 띈다. 두 극 다 노래와 무용으로 구성되었다. 비극은 디오니소스 축제 때에 공연되었다. 그것은 종교와 결부되어 있는 것이다. 비극은 국가의 이상의 표현을 목적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고대 영웅의 운명과 삶 공연함으로 윤리적인 측면을 강조 하였다. 비극은 성격보다는 행위를 강조하였다. 그를 통해 보편적인 인간의 본성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희극은 해학극 형식의 빌어 그리스 인의 자유로운 일상생활 관찰하였다.
그리스인은 예술과 행위의 조화를 통하여 균형 있는 아레테를 이룰 수 있다고 보았다. 그들은 예술을 통하여 내면적인 것을 외면적으로 완전히 드러내었다.
Ⅴ. 맺는말
그리스인의 이상은 실제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그들의 모든 부분에서 나타난다. 종교에서는 본질적 특성은 신인동형적 신에 대한 신앙이다. 이 신앙에 의해 인간의 능력과 자연의 능력사이에 조화가 성립 되었다. 이것은 인간의 이성이 아닌 상상력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다. 이런 조화의 원리는 그들의 영혼과 육신을 유기체로 보게 만들었다. 그리하여 외적 미를 통해 도덕적 탁월함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국가와 개인 간의 관계에서도 조화를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개인의 이상은 오직 국가 안에서만 의의가 있다고 생각했다.이러한 면을 볼 때, 그리스 문화는 본질적으로 조화의 문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화는 일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았다. 결국 그리스 사회의 조화를 이룬 것처럼 보였던 근본적인 모순으로 인하여 그들은 스스로 자멸한다. 종교는 초기 그리스인의 정신인 신화가 이성적 보편법칙이 대립함으로써 폐기되고 만다. 그리스인은 ‘그리스다움’을 잃어버린 것이다. 또한 외적 탁월함은 강자의 횡포의 정당성을 사회적으로 부여해주며 의미가 변질되었다.
그리스인은 궁극적 조화를 불완전하게나마 추구했지만 실현하지 못하였다. 궁극적인 조화는 어디에서도 실현될 수 없다.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 건국신화와 그리스 신화 비교
거꾸로 읽는 그리스 로마신화
고대 그리스 - 아테네와 스파르타를 중심으로
영화 - 나의 그리스식 웨딩을 보고....
한국인에게 있어 그리스 로마 신화의 의미와 앞으로 미치게 될 영향
고대 그리스인의 생활문화
고전주의와 그리스 건축 (Greek Architecture)
서양사서설 -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신화 정리
[독후감/서평] 그리스인 조르바 (Vios ke politia tu Aleksi Zorba)를 읽고 _ 니코스 카잔차...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문화
노예제에 나타난 그리스 사회의 성격
유럽여행 계획서(이탈리아-그리스-오스트리아-영국)
미국발 그리스사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