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목차
Ⅰ.서론
Ⅱ. 교육심리학
1. 교육심리학의 의미
2. 교육심리학의 영역
Ⅲ. 학습심리학
1. 학습의 개념
2.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3. 손다이크의 학습이론
4.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5. 밴듀라의 사회학습이론
Ⅳ. 수업이론
1. 수업의 개념
2. 수업이론과 수업모형
Ⅴ. 교육평가
1. 교육평가의 개념
2. 교육평가의 가치와 의미
3. 교육평가의 기능
4. 교육평가의 유형
5. 평가도구의 구비조건
Ⅵ. 자기주도 학습
Ⅶ.동기유발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원리
1. 학습유형에 따른 동기유발방법
2. 학습동기유발을 위한 교사의 역할
3. 수업사태에서의 동기유발 방략
4. 학습동기유발을 위한 일반원리 및 선결조건
5. 동기유발방법(정원식․이영덕․김종서)
Ⅷ.결론
참고문헌
Ⅱ. 교육심리학
1. 교육심리학의 의미
2. 교육심리학의 영역
Ⅲ. 학습심리학
1. 학습의 개념
2.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3. 손다이크의 학습이론
4.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5. 밴듀라의 사회학습이론
Ⅳ. 수업이론
1. 수업의 개념
2. 수업이론과 수업모형
Ⅴ. 교육평가
1. 교육평가의 개념
2. 교육평가의 가치와 의미
3. 교육평가의 기능
4. 교육평가의 유형
5. 평가도구의 구비조건
Ⅵ. 자기주도 학습
Ⅶ.동기유발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원리
1. 학습유형에 따른 동기유발방법
2. 학습동기유발을 위한 교사의 역할
3. 수업사태에서의 동기유발 방략
4. 학습동기유발을 위한 일반원리 및 선결조건
5. 동기유발방법(정원식․이영덕․김종서)
Ⅷ.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에 미국 최초로 흑인인 버락 오바마가 대통령에 당선됐다. 미국 금융자본주의의 파산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시점에 등장한 오바마는 케인즈 주의에 기반한 국가의 시장 개입을 주장하고 있으며 교육정책 또한 변화를 암시하고 있다. 미국의 교육정책 변화는 미국 교육의 산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색이다. 때문에 오바마의 교육 공약은 미국 교육의 현실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기초 자료일 수밖에 없다.
오바마의 교육 공약을 통해 미국 교육의 현실과, 미국 교육을 교육 선진화 모델로 삼아 맹목적으로 뒤따라가고 있는 한국 교육정책의 문제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명박 정부에 들어와서 한국에서도 학업성취도 평가와 교육정보 공개, 교원평가 정책 등을 만들어 내게 한 NCLB정책과 우수 교원 양성 정책에 대해 살펴보자. 오바마 측은 필요한 자원의 제공 없이 NCLB 방침을 지키도록 학교에 강요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보면서 “NCLB가 교육 종사자들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아이들에 대한 약속을 어겼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예전처럼 진단에 따라 규격화된 시험을 강요하는 방식이 아니라 학생들이 기술을 사용하고 리서치를 진행하며, 과학적 조사를 통한 문제해결과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등의 교육을 실시해 그에 맞는 평가 방안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미국은 낙오되는 학생이 없게 하겠다는 NCLB법의 취지와 다르게 학업성취도를 올리기 위한 온갖 편법과 교육과정의 왜곡이 일어나고 있다. NCLB 교육개혁 하에서 윤리적 문제는 이미 현실화되고 있다. 주정부와 지방교육청은 연방정부의 지원금을 얻어내기 위해 일부러 시험 난이도를 낮추거나 불리한 보고 자료를 속이는 등의 방법으로 아동의 높은 학업성취도를 ‘거짓’ 증명한다. 또한 시험평가도구로서 선택형 문제 또는 단답형 문제를 주로 출제해 피상적인 지식만을 평가하거나 시험문제 답을 학생들에게 고의적으로 알려주는 등의 행태를 보이고 있다. 이른바 시험을 위한 교육, 성적 올리기 위한 교육으로 변질된 NCLB에 대한 근본적인 수정을 통해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력을 기르기 위한 교육으로 변화시키겠다는 것이 오바마 공약의 취지로 보인다.
2008년 3월 8일 중학교 진단고사, 10월 14일 학업성취도 평가를 일제고사 방식으로 치르고 교육정보 공시제도와 연계하고 있는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은 이미 미국에서는 폐해가 많아 없애려고 하는 NCLB를 적극 따르는 시대착오적인 정책이다.
미국 빈민가의 학생들은 절반 정도가 학교를 떠난다고 한다. 오바마 공약에서 가장 적나라하게 미국 교육의 현실을 드러내고 있는 것은 바로 30%에 육박하고 있는 높은 중퇴율과 이에 대한 대책이다.
“겨우 70%의 미국 고등학생들이 졸업을 한다. 흑인, 라틴계열의 학생들은 백인 학생들보다 졸업 확률이 현저히 낮다. 퇴학생들은 졸업생들에 비해 실업률이 두 배나 높다. 그리고 직업이 있는 경우 그 수당이 낮으며 승진에 제한이 있고 의료보험이 제공되는 경우가 드물다.”
실제 퇴학 문제는 고등학교 이전부터 발생하고 있고, 높은 문맹률 문제뿐만 아니라 범죄와 마약에 더 많이 노출되는 문제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바마 측이 제시하는 계획은 구체적이지만 과연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을 갖게 한다.
①장래에 퇴학당할 위험이 많은 학생을 가리기 위한 데이터 시스템을 조기 개발·사용
②다음과 같은 전략에 투자할 것 ▲학교 지도자들에게 경력 개발과 지도 제공, 다양한 학습자 필요에 기초해 적절한 정책과 커리큘럼을 도입하고 그에 맞는 교사들과 타 학교 인재 제공 ▲종합적이고 학교 전반에 걸친 개선 노력과 학생 지원 실행. 이는 학습 계획, 팀 티칭, 부모와의 협력, 멘토링, 강도 높은 읽기, 수학과목 지도와 연장된 학습 시간을 포함하여 졸업할 확률을 높인다.
미국 사회는 특정 계층이 다니는 사립학교와 일반 학생들이 다니는 국공립학교가 명확하게 구별되어 있다. 4%수준의 사립학교 출신들은 주요 대학으로 진학하여 미국 사회의 지배계층으로 자리매김 한다. 이반 일리치가 《학교는 죽었다》고 선언한 것은 미국 사회에서 교육이 ‘계급 재생산’ 의 통로로 작용하는 현실을 폭로한 것이다. 오바마는 흑인 출신으로 미국 상류 사회로 진입한 특별한 경우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하지만 오바마가 대통령이 되었다고 미국 사회가 교육을 통한 사회적 계층 이동이 활발하게 일어날 것 같지는 않다. 학교를 다닐 의미가 없어 떠나는 아이들을 사회 구조적인 시각으로 접근하지 못하고, 계층 간의 학력 격차를 여름방학을 이용하여 줄인다는 발상은 현 미국 교육의 문제를 너무 미시적으로 보고 있는 것 같기 때문이다.
한편 가치관 교육과 관련하여 부모의 역할을 강조하고 안전한 학교 만들기 등이 주요한 정책으로 제시되어 있는 것은 미국의 학교가 교육의 공간으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참고문헌
초등학교 인격교육의 심리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봉제 저 | 서울대 대학원 발행, 국민윤리교육 전공
사교육행동의 원인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분석
이위갑 저 | 충북대 대학원 발행, 일반심리 전공
人本主義心理學의 人間觀에 根據한 敎會敎育의 方向모색
吳壽永 저 | 동아대 교육대학원 발행
認知心理學의 問題解決 槪念이 美術敎育에서의 創意性 啓發에 주는 示唆点
趙乙旋 저 | 서울敎育大學校 발행, 초등교육학과 초등미술교육 전공
사교육행동의 원인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분석
이위갑 저 | 충북대학교 발행, 심리학과 일반심리 전공
敎育神學과 宣敎神學 : 敎育心理學的 眺望을 중심으로
국동출 저 | 한양대학교 발행, 교육심리 전공
교육정책 결정과 집행과정에서의 사회적 이해관계 분석
이명희 저 | 한국교원대 대학원 발행, 일반사회교육 전공
학교 교육정책 형성과정 이해
최준렬 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발행
敎育政策 決定 및 推進 過程에서의 社會的 理解 關係 分析
崔燉珉 저 | 漢陽大 大學院 발행, 교육학 전공
미국 국제이해교육의 현황 분석을 통한 한국 국제이해교육에의 정책적 시사
김기홍 저 |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발행
한국 교과서 정책의 교육사적 이해
양진건 저 | 韓國敎育史學會 발행
오바마의 교육 공약을 통해 미국 교육의 현실과, 미국 교육을 교육 선진화 모델로 삼아 맹목적으로 뒤따라가고 있는 한국 교육정책의 문제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명박 정부에 들어와서 한국에서도 학업성취도 평가와 교육정보 공개, 교원평가 정책 등을 만들어 내게 한 NCLB정책과 우수 교원 양성 정책에 대해 살펴보자. 오바마 측은 필요한 자원의 제공 없이 NCLB 방침을 지키도록 학교에 강요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보면서 “NCLB가 교육 종사자들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아이들에 대한 약속을 어겼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예전처럼 진단에 따라 규격화된 시험을 강요하는 방식이 아니라 학생들이 기술을 사용하고 리서치를 진행하며, 과학적 조사를 통한 문제해결과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는 등의 교육을 실시해 그에 맞는 평가 방안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미국은 낙오되는 학생이 없게 하겠다는 NCLB법의 취지와 다르게 학업성취도를 올리기 위한 온갖 편법과 교육과정의 왜곡이 일어나고 있다. NCLB 교육개혁 하에서 윤리적 문제는 이미 현실화되고 있다. 주정부와 지방교육청은 연방정부의 지원금을 얻어내기 위해 일부러 시험 난이도를 낮추거나 불리한 보고 자료를 속이는 등의 방법으로 아동의 높은 학업성취도를 ‘거짓’ 증명한다. 또한 시험평가도구로서 선택형 문제 또는 단답형 문제를 주로 출제해 피상적인 지식만을 평가하거나 시험문제 답을 학생들에게 고의적으로 알려주는 등의 행태를 보이고 있다. 이른바 시험을 위한 교육, 성적 올리기 위한 교육으로 변질된 NCLB에 대한 근본적인 수정을 통해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력을 기르기 위한 교육으로 변화시키겠다는 것이 오바마 공약의 취지로 보인다.
2008년 3월 8일 중학교 진단고사, 10월 14일 학업성취도 평가를 일제고사 방식으로 치르고 교육정보 공시제도와 연계하고 있는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은 이미 미국에서는 폐해가 많아 없애려고 하는 NCLB를 적극 따르는 시대착오적인 정책이다.
미국 빈민가의 학생들은 절반 정도가 학교를 떠난다고 한다. 오바마 공약에서 가장 적나라하게 미국 교육의 현실을 드러내고 있는 것은 바로 30%에 육박하고 있는 높은 중퇴율과 이에 대한 대책이다.
“겨우 70%의 미국 고등학생들이 졸업을 한다. 흑인, 라틴계열의 학생들은 백인 학생들보다 졸업 확률이 현저히 낮다. 퇴학생들은 졸업생들에 비해 실업률이 두 배나 높다. 그리고 직업이 있는 경우 그 수당이 낮으며 승진에 제한이 있고 의료보험이 제공되는 경우가 드물다.”
실제 퇴학 문제는 고등학교 이전부터 발생하고 있고, 높은 문맹률 문제뿐만 아니라 범죄와 마약에 더 많이 노출되는 문제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바마 측이 제시하는 계획은 구체적이지만 과연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을 갖게 한다.
①장래에 퇴학당할 위험이 많은 학생을 가리기 위한 데이터 시스템을 조기 개발·사용
②다음과 같은 전략에 투자할 것 ▲학교 지도자들에게 경력 개발과 지도 제공, 다양한 학습자 필요에 기초해 적절한 정책과 커리큘럼을 도입하고 그에 맞는 교사들과 타 학교 인재 제공 ▲종합적이고 학교 전반에 걸친 개선 노력과 학생 지원 실행. 이는 학습 계획, 팀 티칭, 부모와의 협력, 멘토링, 강도 높은 읽기, 수학과목 지도와 연장된 학습 시간을 포함하여 졸업할 확률을 높인다.
미국 사회는 특정 계층이 다니는 사립학교와 일반 학생들이 다니는 국공립학교가 명확하게 구별되어 있다. 4%수준의 사립학교 출신들은 주요 대학으로 진학하여 미국 사회의 지배계층으로 자리매김 한다. 이반 일리치가 《학교는 죽었다》고 선언한 것은 미국 사회에서 교육이 ‘계급 재생산’ 의 통로로 작용하는 현실을 폭로한 것이다. 오바마는 흑인 출신으로 미국 상류 사회로 진입한 특별한 경우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하지만 오바마가 대통령이 되었다고 미국 사회가 교육을 통한 사회적 계층 이동이 활발하게 일어날 것 같지는 않다. 학교를 다닐 의미가 없어 떠나는 아이들을 사회 구조적인 시각으로 접근하지 못하고, 계층 간의 학력 격차를 여름방학을 이용하여 줄인다는 발상은 현 미국 교육의 문제를 너무 미시적으로 보고 있는 것 같기 때문이다.
한편 가치관 교육과 관련하여 부모의 역할을 강조하고 안전한 학교 만들기 등이 주요한 정책으로 제시되어 있는 것은 미국의 학교가 교육의 공간으로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참고문헌
초등학교 인격교육의 심리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봉제 저 | 서울대 대학원 발행, 국민윤리교육 전공
사교육행동의 원인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분석
이위갑 저 | 충북대 대학원 발행, 일반심리 전공
人本主義心理學의 人間觀에 根據한 敎會敎育의 方向모색
吳壽永 저 | 동아대 교육대학원 발행
認知心理學의 問題解決 槪念이 美術敎育에서의 創意性 啓發에 주는 示唆点
趙乙旋 저 | 서울敎育大學校 발행, 초등교육학과 초등미술교육 전공
사교육행동의 원인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분석
이위갑 저 | 충북대학교 발행, 심리학과 일반심리 전공
敎育神學과 宣敎神學 : 敎育心理學的 眺望을 중심으로
국동출 저 | 한양대학교 발행, 교육심리 전공
교육정책 결정과 집행과정에서의 사회적 이해관계 분석
이명희 저 | 한국교원대 대학원 발행, 일반사회교육 전공
학교 교육정책 형성과정 이해
최준렬 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발행
敎育政策 決定 및 推進 過程에서의 社會的 理解 關係 分析
崔燉珉 저 | 漢陽大 大學院 발행, 교육학 전공
미국 국제이해교육의 현황 분석을 통한 한국 국제이해교육에의 정책적 시사
김기홍 저 |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발행
한국 교과서 정책의 교육사적 이해
양진건 저 | 韓國敎育史學會 발행
추천자료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
(교육심리학공통)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다중지...
교육敎育심리학4공통)1.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
[2015 교육심리학]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설명, 가드너다중지능이론 교육적시사점 2. 에...
가드너와 에릭슨 이론의 교육심리학적 함의 : 다중지능이론과 8단계설의 교육적 시사점을 중...
[교육심리학 공통]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
[콜버그도덕성발달이론 계속적강화 간헐적강화]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설명, 콜버그 도덕성...
[교육심리학]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2. 계속...
(2016년 교육심리학) 콜버그도덕성발달이론 설명, 콜버그 도덕성발달이론 교육적시사점 /계속...
교육심리학2017공통)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