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정치합본(요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헌법을 사용한 연대에 대해서 설명하라

2. 교회정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라

제1장 원 리

제2장 교회

제3장 교회의 직원

제4장 목사

제5장 치리 장로

제6장 집사

제8장 교회정치와 치리회

제9장 당회

제10장 노회

제12장 총회

제13장 장로, 집사 선거 및 임직

제14장 목사후보생과 강도사

제15장 목사, 선교사 선거 및 임직

제16장 목사 전임

제17장 목사 사면 및 사직

제18장 선교사

제19장 회장과 서기

제20장 교회 소속 각 회의 권리 및 책임

제21장 회의

제22장 총회 총대

제23장 헌법개정

제24장 헌법적 규칙

본문내용

사의 사면 이유를 물을 것이니 그 교회 대표가 오지 아니하든지 혹은 그 설명하는 이유가 충분하지 못하면 사면을 승낙한다. 그 교회는 허위교회가 된다.
자유 사직
목사가 그 시무 교회에 유익을 주지 못할 줄로 각오할 때는 사직원을 노회에 제출할 것이요 노회는 이를 협의 결정한다.
50. 목사의 권고 사면과 권고 사직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라
권고 사면
지교회가 목사를 환영하지 아니하여 해약하고자 할 때는 노회가 목사와 교회 대표자의 설명을 들을 후 처리한다.
권고 사직
목사가 성직에 상당한 자격과 성적이 없든지 심신이 건강하고 또 사역할 곳 있어도 5년간 무임으로 있을 때 노회는 사직을 권고한다.
제18장 선교사
51. 선교사에 대해 설명하라
1) 지교회 청빙이 없어도 선교사로 임직할 수 있다.
2) 자신이 원하지 않을 때 강권할 수 없다.
3) 봉급과 기타 비용은 파송하는 치리회가 담당한다.
제19장 회장과 서기
52. 회장의 직권을 상술하라
회원 회칙 준수케, 회석 질서 정돈, 개회 폐회 주관, 순서대로 회무지도, 신속한 방법으로 처리케, 타 회원의 언권을 침해하지 못하게 하며, 발언이 탈선 못하게 하고, 회원간에 모욕을 금하게 하며, 가부는 표결할 것이요, 가부동수인때는 회장이 결정한다. 매사건 결정을 공포할 것이요, 비상 저회도 할 수 있다.
제20장 교회 소속 각 회의 권리 및 책임
53. 속회 조직에 대해 설명하라(속회의 권한을 쓰시오)
각 지교회는 교회성장을 위하여 여러 가지 회를 조긱할 수 있다.
54. 속회란 무엇인가
1) 치리회 부속회의 약칭이다.
2) 청년회, 전도회 등을 가리킨다.
제21장 회의
55. 공동의회란 무엇인가
지교회 입교인을 회원으로 모이는 회를 공동의회라고 한다.
56. 공동의회 소집에 관하여 설명하라 : 당나라 제무상이 공동의회를 소집함
① 당회가 필요로 인정할 때 소집한다
② 제직회의 청원이 있을 때
③ 무흠 입교인 1/3이상의 청원이나
④ 상회의 명령이 있을 때
당회의 결의로 소집한다.
57. 회장의 직권에 대해 설명하라
1) 표결 중 가부가 동수일 때는 회장이 결정한다.(회장이 원하지 않을 때 그 안건은 자연히 부결된다)
2) 특별한 일로 회의를 진행할 수 없을 때 비상정회를 선언할 수 있다.
3) 매 사건의 결정을 선포한다.
58. 공동의회가 결의할 사항은 무엇인가
1) 당회가 제시한 사항
2) 예산 및 결산
3) 직원 선거
4) 상회가 지시한 사항
59. 제직회 회원은 누구 누구인가
시무목사, 장로, 안수집사, 서리집사, (권사, 전도사)
※권사, 전도사는 미조직 교회에서는 제직 회원이 될 수 있으나 조직된 교회에서는 당회의 허락을 받아야 한다.
60. 제직회의 임무에 대해 설명하라
1) 교회에서 위임하는 금전을 처리한다.
2) 매년 말 공동의회에서 1년간 경과 상황을 보고한다.
3) 익년도 교회 경비 예산을 편성한다.(채용은 공동의회에서 한다)
※제직회의 주 임무는 ‘재정처리’이다.
제22장 총회 총대
61. 총회 초대는 어떻게 뽑는가
1) 각노회 지방의 매 7당회에서 목사, 장로 각 1인씩 파송한다.
2) 7당회가 못되는 경우 4당회 이상에는 목사, 장로, 각 1인씩 더 파송한다.
3) 3당회 이하 노회는 목사, 장로 각 1인씩 언권회원을 파송한다.
62. 총회 총대 자격에 대하여 설명하라
1) 총회 전 정기노회에서 선택된 사람(총회 개회 6개월 이상을 격하여 택하지 못한다)
2) 새로 조직한 노회의 총대는 개회 후 임원 선거 전에 그 노회 설립 보고를 먼저 받고 총대로 허락한다
3) 총대 될 장로 자격 : 그 회에 속한 위임장로와 휴직 장로이다.
63. 총회 언권회원에 대해 설명하라
1) 본 총회의 파송으로 외국에서 선교하는 선교사
2) 파견증서만 가지고 와서 본 총회 산하에서 선교에 종사하는 외국 선교사
3) 본 총회의 증경 총회장
제23장 헌법개정
64. 정치, 권징조례, 예배모범의 변경에 대해 설명하라
1) 총회에서 각 노회에 수의한다.
2) 노회 과반수와 모든 노회의 투표수 2/3이상의 찬성표를 받은 후에 변경한다.
3) 각 노회 서기는 투표의 가부를 총회 서기에게 보고하고 총회는 그 결과를 공포, 실행한다.
65. 신조와 요리문답의 개정절차를 기술하라
① 총회는 그 의견을 제출하고
② 총회는 특별위원 15인 이상(목사와 장로)을 택하여 1년간 그 문제를 연구하게 한 후 총회에 보고하 게 한다(그 위원은 한 노회에서 2인 이상 될 수 없다)
③ 각 노회에 수의하여 노회중 2/3와 모든 투표수의 2/3의 가표를 받고
④ 그 다음 회가 채용하여야 한다.
각 노회 서기는 투표의 가부 수를 서면으로 총회 서기에게 보고한다.
66. 헌법의 개정절차를 기술하라
① 소속 노회 1/3 이상이 헌법을 개정하고자 헌의를 총회에 제출하면
② 총회는 각 노회에 수의하여 노회의 과반수와 모든 투표수의 2/3의 가표를 받고 변경.
각 노회 서기는 투표의 가부 수를 서면으로 총회 서기에게 보고한다.
③ 총회는 그 결과를 공포 실행한다.
제24장 헌법적 규칙
67. 교인을 구분하여 약술하라
1) 입교인(세례교인) : 입교인이란 유아세례교인으로 만 14세 이상이 되어 신앙을 고백한 자요, 세례교인이란 학습교인으로 15세 이상이 되어 신앙을 고백한 자로 입교인이나 세례 교인은 다 같은 권리와 의무가 있다.
2) 유아세례교인 : 입교인이나 세례교인의 자녀로 2세 미만인 때 세례 받은 자
3) 학습교인 : 원입 교인으로 만14세 이상이 되어 신앙고백을 한 자
4) 원입교인 : 예수를 믿기로 결심하고 공동예배에 참석하는 자
68. 교인의 이명이란 무엇인가
교인이 이주하거나 기타 사정으로 지교회를 떠날 때에는 6개월 이내에 소속 당회에 이명 청원을 하여야 한다. (이명증서가 새로 소속되는 당회에 접수되고 본시 소속되었던 당회에 접수통지가 있어야 한다.
69. 무흠 5년의 뜻을 설명하라
1) 수세 후 권징조례에 의해 벌 받음이 없이 5년을 경과한 자란 뜻
2) 책벌 받은 자는 해벌 후 5년을 경고한 자란 뜻.
70. 사직과 사면을 구별하라
1) 사직 : 직이 없는 일반신도가 되겠다는 뜻.
2) 사면 : 직은 그냥 두고 시무만 하지 않는 것.

키워드

교회,   정치,   합본,   요약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10.30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7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