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강독- 운영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북한문학사에서 <운영전>의 가치평가

1. 『조선문학통사』 (1959)

2. 『조선문학사 1』(1977)

3. 『조선고전소설사 연구』(1986)

4. 『조선문학사 2』(1992)

Ⅲ.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까지의 과정을 그렸고 내부 이야기는 본격적인 연애담으로 궁녀 운영과 선비 김진사의 비극적 사랑이야기를 그렸다.
<운영전>은 작자 및 독자층이 지향하는 바를 운영의 애정으로 형상화하여 현실의 비극을 야기한 중세의 제도 및 윤리적 모순 등을 중세적 몽유록이라는 형식적 장치를 이용하여 애정을 가로막는 권위를 보다 강력하게 제시하여 주제를 형상화했다. <운영전>의 뛰어난 점은 바로 역사적 정의의 진보적인 의식과 이런 의식은 사실상 실현되지 않는 다는 모순을 반영한 것이다. 이런 모순으로 인하여 두 주인공은 결국은 파멸하게 되는 것이다.
<운영전>은 애정전기소설의 전통과 닮아 있으면서도 전기소설의 변화의 여러가지 지표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다. 무엇보다도 여성 인물, 특히 사회적인 제약을 많이 받는 궁녀를 전면적으로 등장시킨 점과 여성이 서술자로서 이야기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점이 그 변화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게다가 사랑의 문제를 <운영전>처럼 절박하게 보여주면서 결국은 비극으로 끝나고 마는 작품은 우리 고소설에서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그래서 <운영전>은 많은 학자들로 부터 지속적인 관심과 조명을 받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비단 우리나라에서 뿐만 아니라 북한문학사에 있어서도 그 가치를 인정하고 있으며, 그 가치는 시대가 변화됨에 따라 더 높이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김대현, <조선시대 소설사 연구>, 국학자료원, 1996
이상구, <17세기 애정전기소설>, 월인, 1999
박태상, <북한문학의 사적연구>, 깊은샘, 2006
정규복, <한국 고소설사의 연구>, 한국연구총서62, 1981
  • 가격3,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11.01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8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